• 제목/요약/키워드: V-I tracer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7초

NMOS 소자의 제작 및 평가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NMOS Devices)

  • 이종덕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36-46
    • /
    • 1979
  • 본 연구에서는 N -채널 실리콘 게이트 제작기술에 의하여 일련의 크기를 가지는 커페시터와 트렌지스터들이 제작되었다. 그 결과 다양한 이온 주입 조걸, 즉 B 의 경우 에너지 30keV∼60keV와 도오스 3 × 10 ~ 5 × 10 개/㎠ 그리고 P 의 경우 에너지 1001keV∼ 175keV와 4 ×10 ~ 7×11개/㎠ 도오스 영역에서 이들에 대한 D.C. 인자들의 측정치들이 이론적인 계산치들과 비상, 분석되어 있다. 이 D.C. 인자들에는 threshold전압, 공핍층의 폭, 게이트 산화물 두께, 표면상태, 가동 하전입자 밀도, 전자의 이동도 그리고 마지막으로 누설전류가 있는데, 이중 실제 MOS의 제작에 있어서 특허 중요한 threshold전압에 있어서는, 커어브트레이서와 C - V plot을 통하여 측정된 값들이 실제 재산에서 이용된 SUPREM II 컴퓨우터 프로그램에 의한 결과와 훌륭히 접근하고 있다. 그 밖에 여기나온 D.C.인자들 중에서 도오핑 수준은 기판의 역 게이트 바이어스에서 threshold전압들로 부터 계산된 것이고, 역전도는 정의된 subthreshold 기울기로 부터 추산된 것임을 밝혀 둔다. 마지막으로 이와같은 D. C. 시험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볼 때 만들어진 커페시터와 트렌지스터들이 N -채널 MOS I. C. 기억소자용으로 적합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흰쥐에서 올리고펩타이드 함유 리포솜의 근육주사후 체내동태 및 임파이행 (Pharmacokinetics and Lymphatic Delivery of Oligopeptide after Intramuscular Injection of Oligopeptide-bearing Liposomes to Rats)

  • 신대환;조병석;최규석;송석길;이종길;정연복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8권3호
    • /
    • pp.191-197
    • /
    • 2008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pharmacokinetics and lymphatic delivery of the oligopeptide, a model peptide of X antigen epitope peptides, after the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of the peptide-bearing liposomes in rats. $^{14}C$-labelled peptide was used as a tracer to analyze the peptide levels in plasma, bile, urine, tissue homogenates, and lymph nodes (superior cervical nodes, brachial nodes and superior mesenteric nodes). Model peptide rapidly disappeared from the plasma by 30 min (${\alpha}$ phase) after i.v. administration, which was followed by the late disappearance. The apparent plasma half-lives ($t_{1/2({\alpha}),app}$) of the peptide at the ${\alpha}$ phase when administered at a dose of 0.2-1.0 mg/kg were about 5 min. The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C_{max}$) was $1.52\;{\mu}g/mL$, after the i.m. administration of the peptide at a dose of 1.0 mg/kg. The bioavailability, which was calculated from the time zero to last quantitative time, of the i.m. administered peptide was over 60%. Of the various tissues tested, the peptide was mainly distributed in the kidney after the i.m. administration. The peptide levels in the kidney 3 hr after the i.m. administra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C_{max}$). The cumulative amounts of the peptide found in the urine 72 hr after the administration of 1.0 mg/kg were 2-folder higher than those in the bile, suggesting that the peptide is mostly excreted in the urine. Moreover, the concentrations of the peptide in the lymph nodes were as high as that of the plasma and the tissues. In conclusion, the peptide concentration in the lymph nodes was maintained by 24 hr after the i.m. administration of the peptide-bearing liposomes.

저온온열치료에 의한 종양 내 저산소상태 개선효과를 $^18F$-Fluoromisonidazole의 섭취 변화를 이용한 평가 (Feasibility of Reflecting Improvement of Tumor Hypoxia by Mild Hyperthermia in Experimental Mouse Tumors with $^18F-Fluoromisonidazole$)

  • 이상욱;류진숙;오승준;임기천;천기정;이소령;송도영;임수정;문은숙;김종훈;안승도;신성수;이경룡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288-297
    • /
    • 2004
  • 목적: 종양 내에서 산소공급 부족현상으로 발생하는 저산소증 조직에서 저온온열치료($42^{circ}C$)와 nicotinamide에 의한 perfusion limited 저산소증의 개선 효과를 마우스 종양 모델을 이용하여 종양 내 $[^18F]FMISO$ 섭취변화를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C3H 마우스에 $[^18F]FMISO$를 정주하고 11개 장기에서 $\%ID/g$을 구하여 biodistribution을 관찰하였다. 또한 같은 마우스에 동종 종양세포인 SCC7을 이식하여 종양모델을 만들고 저온온열치료($42^{circ}C$)와 nico-tinamide를 투여한 마우스와 대조군 마우스에서 $[^18F]FMISO$의 섭취정도 차이를 $\%ID/g$, autoradiography, PET scan을 시행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결과: 대조군에서 종양의 FMISO의 섭취는 5.1+/-2.28 $\%ID/g$였고, 종양/근육, 종양/혈액의 섭취비는 2.2와 1.8이었다. 실험군에서는 각각 2.4+/-0.64 $\%ID/g$, 1.4와 1.2를 나타내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21). Autoradiography에서 대조군의 종양 내부에 FMISO가 섭취됨을 확인하였고, 저온온열치료와 nico-tinamide를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섭취가 감소된 것을 관찰하였다. 결론: C3H 마우스와 동종 종양세포인 SCC-VII을 이용한 종양모델에서 $[^18F]FMISO$가 종양내에 섭취가 되어 자산소증 종양모델로 적절함을 확인하였고, 저온온열치료($42^{circ}C$)와 nicotinamide에 의한 perfusion limited 저산소증 개선효과를 $[^18F]FMISO$의 종양 내 섭취가 감소하는 것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