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tility tunnel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7초

도심지 노면하부 지반함몰 및 공동탐사 사례 연구 (Study on Subsurface Collapse of Road Surface and Cavity Search in Urban Area)

  • 채휘영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7권6호
    • /
    • pp.387-392
    • /
    • 2017
  • 최근 도심지 도로 하부 지반함몰 사고는 상수관로, 하수관거, 통신관로, 가스관로, 배전지중관로, 지하철 등의 다양한 공익시설 및 지하구조물이 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설물의 부적절한 시공, 노후로 인한 시설물 손상, 유지관리 소홀이 그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도로함몰은 도로하부에서 매설관 파손 등의 원인으로 공동이 발생한 후 공동이 성장 확대되어 포장면 하부까지 도달하고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하중을 도로포장 부분이 지탱할 수 없을 정도의 소성변형이 발생하여 갑자기 함몰이 발생할 경우 인명피해 및 교통장애를 초래하는 등 사회전반적인 안전과 경제 발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 서울시에서는 도로 하부의 공동이 함몰되기 이전 단계에서 3D GPR 탐사를 통해 발견하여 복구함으로써 지반함몰에 따른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는 노력이 우선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 사례를 소개하였다.

고속철도 개통이 항공여객 수요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서울-제주간 노선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opening of high speed rail way on the change in the air passenger's demand - Focused on Seoul and Jeju line -)

  • 이준규;유광의;김덕녕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6-33
    • /
    • 2012
  • Competition between air transportation and railways has grown fiercer in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with the rise of high-speed railways. In South Korea, air passenger travel has been rapidly decreasing since the initial launch of the Seoul-Pusan KTX line in 2004 and second opening that followed in 2010. Further expansion of the high-speed railway is expected. At present, research efforts to verify the validity of constructing an underwater express railway tunnel between Ho-nam and Jeju Island are taking place. Considering the possible high speed railway connection between Seoul and Jeju Island, this thesis has analyzed the choice behavior of existing passengers of the major and low-cost carriers. For this, Stated Preference (SP) research has been performed for three variables, including fare, travel time and the number of runs, to estimate the substitution rate of each of the three variables. Binomial Logit Model has been estimated with the obtained data. The estimation of the model has found that airline passengers of major and low-cost carriers are willing to pay approximately 7,200 KRW and 5,000 KRW, respectively, to reduce travel time by one hour. If the number of runs in one day increases, it has been estimated that the passengers are willing to pay additional fares of about 390 KRW and 30 KRW,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ubstitution rate between the number of runs and the travel time was found to be somewhat insignificant. If the construction of the Seoul-Jeju line progresses in the future, this study could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determining fares, travel time and the number of runs.

유도배수공법을 적용한 지하차도 설계 및 유지관리방안 (Suitability Assessment and Maintenance Planning of the Guided Drainage Method on Underpass Structure)

  • 진규남;이정민;김영진;박재현;조계춘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1호
    • /
    • pp.97-109
    • /
    • 2012
  • 현재 지하차도 설계 지하수위는 철도, 지하철 및 공동구의 설계기준과 기존사례를 준용하여 지표면 이하 1.0m를 기준으로 설계하고 있으며, 대부분 과다설계 요인과 친환경적이지 못하다는 지적받고 있는 부력방지 앵커공법이 모든 현장에 획일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종하늘도시 사업지구에 시공중인 지하차도 구조물과 관련하여 국내외 지하차도 설계, 유지관리 현황을 조사하고 지하수 유도배수계획의 현장 적용성을 검토하여 지하차도 유도배수공법의최적 설계방안 및 유지관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유역을 중심으로한 유출지하수에 대한 대체수자원 활용방안 등은 향후 지하차도 부력방지공법의 가이드라인으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터널굴착용 투입형 연마재 워터젯 시스템의 연마재 투입량과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 인자 (Influencing factors for abrasive flow rate and abrasive flow quality of abrasive injection waterjet systems for tunnel excavation)

  • 주건욱;오태민;조계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417-430
    • /
    • 2014
  • 도심지 내 지하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 연마재 워터젯 시스템(abrasive waterjet system)을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암반굴착 공법이 개발되어 활용 중에 있다. 연마재 워터젯 시스템을 활용한 굴착(절삭) 수행 시 적정량의 연마재를 투입하고 연마재입자의 유동성을 원활하게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을 통해 연마재 입자의 유동성과 관련된 영향인자들을 연마재 관 설치높이, 연마재 관 길이, 연마재 관 굴곡도 그리고 연마재 관 내경으로 나누어 연마재 투입량 및 유동성 수준을 평가하였다. 또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연마재 투입량 및 연마재 입자 유동성에 관한 최적 조건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암반 굴착용 워터젯 공법이 도심지 내 터널, 공동구, 수직구 건설 등 다양한 지반 구조물 굴착 작업 시, 최적 연마재 투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선통신 및 위치인식 통합기술을 활용한 지하구조물 현장지원시스템 최적 요소기술 연구 (A Study on Optimal Technical Factors of USFSS Based on Integrated Techniqu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Location Awareness)

  • 장용구;정재형;이준우;김현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8-58
    • /
    • 2009
  • 최근 들어, 건설시공에 있어서 현장 내 작업자의 안전관리는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특히, 터널, 공동구 등 지하구조물에서는 건설 중 붕괴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지하구조물의 특성상 유 무선 통신환경의 구현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위험사고 발생 시 구조를 위한 현장투입요원과 구조자의 위치추적 및 음성통신이 어려워 구조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구조물 시공시 건설시공의 열악한 환경에 적합하고 작업자의 3차원 위치추적 및 통신 연락이 가능한 무선통신 및 위치인식 통합기술 기반의 지하구조물 현장지원시스템에 대한 최적의 요소기술을 도출하였다.

  • PDF

얼음두께를 이용한 결빙시험조건의 간접 확인기법 (Indirect Verification of the Icing Test Condition Using Ice Thickness)

  • 김유경;박남은;최기오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944-951
    • /
    • 2018
  • 회전익기의 결빙운용능력이 요구될 경우 자연결빙 비행시험전 풍동시험과 인공결빙시험을 선행하면 개발기간을 단축시킬수 있다. 한국형기동헬기의 경우 인공결빙 시험을 수행하여 각 시험조건에서 방 제빙기능의 정상작동을 확인 후 자연결빙시험을 수행하였다. 인공결빙시험에서 시험조건인 액적량(LWC)과 액적 평균직경(MVD)을 확인하기 위해 정밀센서인 구름기상정보관측기(CCP)를 사용하는데 시험환경, 장비오차등의 이유로 측정치의 불확실성이 존재할 수 있어 시험조건 확인이 다방면으로 필요하다. 동체에 착빙된 얼음두께로부터 LWC를 계산하여 측정값과 비교한 결과, 시험조건을 간접적으로 검증해 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모달시험기법을 이용한 자갈궤도의 침목지지조건평가 (Evaluation of Sleeper Supporting Condition for Railway Ballasted Track using Modal Test Technique)

  • 최정열;윤태정;정지승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537-542
    • /
    • 2023
  • 최근 도심지 주변으로 집중되는 신축구조물 및 공동구 확장 등과 같은 인접굴착공사로 인해 운영중인 철도 구조물의 변형이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구조물에 대한 구조검토 및 보수보강에 집중되고 있으며 궤도에 대한 검토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토공노반 상 자갈궤도의 경우 노반과 도상자갈이 강결된 구조가 아니므로, 미소한 수준의 변형으로도 도상자갈 이완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침목 지지조건이 불안정한 조건으로 유도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해야한다. 또한 불안정한 지지조건으로 열차탈선의 위험이 매우 높은 궤도형식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반 변형에 따른 자갈궤도의 변형특성과 궤도지지성능의 상관관계를 실험 및 해석적으로 입증하고, 자갈궤도의 상태 및 궤도지지강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광섬유선형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 신호처리방법 및 광신호처리 시험모듈 개발에 관한 연구 (Fire Detection Signal Processing Method Using an Optical Fiber Linear Detector and the Development of an Optical Signal Processing Test Module)

  • 김시국;이영신;김동은;임우섭;이춘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27-34
    • /
    • 2016
  • 본 논문은 화재위험성이 높은 터널 및 지하공동구 등 열악한 환경조건에서도 가장 적응성 있는 화재감지로 화재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광섬유선형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한가닥의 광섬유를 이용하여 m 단위의 온도표시 및 수 km 이상의 장거리 화재감시가 가능하고, 고신뢰성 및 장수명 등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국외의 경우 열악한 장소에 대부분 채용하고 있는 시스템이다. 이로 인해 국내에서도 향후 그 수요가 크게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광섬유선형감지기를 제외한 광신호 구동 및 분석 모듈은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수입의 의존도를 줄이고자 광섬유선형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의 국산화 기술개발을 위해 1차적으로 위치 및 온도 측정의 신호처리 방법을 도출하고, 신호처리 검증을 위해 광신호처리 시험모듈을 설계 제작하여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지하공간통합지도 자동갱신을 위한 지하구조물 제출 표준 설계 (Design of Standard Submission Format for Underground Structures : An Automated Update of the UnderSpace Integrated Map)

  • 박동현;장용구;류지송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69-476
    • /
    • 2021
  • 지하공간통합지도는 지반침하 예방을 목적으로 2015년 4월 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올해까지 전국 시급 지자체 구축 완료를 앞두고 있다. 지하공간통합지도의 활용을 위해 2018년 9월부터 지하안전영향평가 전문기관 대상의 종이도면 제공, 2019년 5월부터 지하정보 활용시스템을 통한 지자체 담당자 대상의 서비스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갱신없이 구축 당시의 정보만으로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어 최신성·정확성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로 정보의 활용성 및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간통합지도의 핵심구성요소인 지하구조물(지하철, 지하상가, 지하보도, 지하차도, 지하주차장, 공동구)을 대상으로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42조제2항에 따른 준공도면 제출을 위한 표준 서식을 설계하여 지하공간통합지도 갱신체계 구축의 초석을 다지고자 하였다. 그 결과 3차원 지하구조물 자동갱신을 위한 준공도서 제출 표준을 마련하였으며, 자동가공정보에 대한 위치정확도 검증 결과 직선구간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곡선 구간에서는 허용오차 내에서 오차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표준 서식을 기반으로 자동 갱신된 지하구조물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고 향후, 지하공간통합지도의 활용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