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ing frequency and period

검색결과 1,565건 처리시간 0.027초

일부대학생들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성경험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in College Students)

  • 남명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39-25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measure the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in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better sex education programs and direction.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259 students in K college of Kyongnam and collected during the period of June 1 to June 20, 1998. Data was analyzed using a statistical computer package: SPSS to manipulate the data along with frequency, mean, t-test, F-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enc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Sex related knowledge marked 12.01 at a maximum level of 25. In the areas of Sex physiology(51.8%), genital physiology(49.9%), venereal diseases(44.3%) and contraceptive methods (38.1%), students were shown to have certain levels of knowledge. 2. Sex related attitudes marked 15.35 at a maximum level of 35. The most frank attitudes concerned 'premartial coitus in males' and the most conservative attitudes concerned 'extramarital coitus in females'. 3. Concerning sexual behavior 80.7% of the respondents had associated with the opposite sex. The most frequent behaviors were walking arm in arm (male : 28.6%, female: 36.2%). Their main problems were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sex(male : 39.2%, female: 24.5%), frustrated sexual desire(male : 26.0%, female: 9.8%) and unwanted pregnacy(male: 15.2%, female: 7.8%) To solve sex problems, respondents intended to consult their friends(male : 35.7%, female: 46. 7%) and become active in sports or recreation (male: 23.4%, female: 11.4%). About 81.2% of male students had a masturbation experience, but only 11.4% of female did, 40.0% of male students had a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but only 13.3% of females did, 7.8% of male students used contraceptive methods, but only 2.9% of females did. 12.3% of male students had a rape experience, but only 10.5% of females did. The proportion of male students who made someone pregnant was 12.3%,however pregnant female were only 6.8% and the proportion of male students who forced someone to have an abortion was 12.3%, females who experienced an abortion were only 5.7%. 4. Regarding genital physiolog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 t = -7.342, p=0.000). Regarding contraceptive method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ther's education level(F= 2.421, p=0.036) 5. In sexual attitud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t = 4.456, p = 0.000), religion(F=4.315, p=0.000), high school(F=3.150, p=0.045), habitation form(F= 3.164, p=0.0025 and methods of acquiring sexual knowledge(F=2.990, p=0.012). 6. The variables regarding sexual experience were gender, high school, economic status, habitation form, method of acquiring sexual knowledge, and parental attitudes toward sex.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sex education is required and must be taught as a regular course in the curriculum of all Korean schools at all levels.

  • PDF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Post-Mastectomy Patients)

  • 김현주;소향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2-9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steem,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to determine the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post-mastectomy patients. The study,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done with structural questionnaires. A total of 51 post-mastectomy subjects from C university hospital in Kwang-ju, South Korea completed mail-in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during a three month period from March to June, 1999.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Lawstone's(1982) perceived health status scale, Rosenberg's(1965) self-esteem scale, the modified self-efficacy scale(Shere et al, 1982), and the modifie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Walker et al, 1987).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according to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varimax rot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measurement resulted in six factors. Each factor was labelled as follows: self-actualization, nutrition, stress management, exercise, health responsibility and interpersonal support. The total percent of variance explained by the six factors was 58.4%. 2. The mean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85.92(range 58~117). The scores of six factor were nutrition 3.20, self-actualization 2.59, stress management 2.58, interpersonal support 2.58, health responsibility 2.49, and exercise 2.34 on a four point scale. 3. When the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factors were compar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Factor I: self-actualization,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 frequency of pregnancy (F=3.06, p=.037). Factor II: nutrition differed significantly by drinking experience(t=-2.26, p=.028) and the pre- or post stage of menopause(F=2.69, p=078). FactorIII: stress management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regularity of mensturation(t=-2.12, p= .042). FactorIV: exercise differed significantly by type of religion (F=2.49, p=.072), marital status(F=5.03, p=.010), and feeding type (F=2.64, p=.036). Factor V: health responsibility differed significantly by regularity of mensturation(t=2.18, p=.037). 4. The total health promoting behavior scor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esteem and perceived health status(r=.610, p.006; r= .378, p=.006). The score of selfactualization also corresponded with selfesteem and perceived health status(r=.556, p=.001; r=.343, p=.013). 5. The predictor to explain the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elf-esteem, which accounted for 37.1% of the total variance. The predictor to explain the score of self-actualization was self-esteem, which accounted for 30.9% of the total variance. The score of nutrition was primarily affected by both premenopause and drinking experience, which accounted for 13.1% and 9.5% respectively. Finally, the score of exercise was dictated by marriage, Buddhism, no experience of breast feeding, which accounted for 17%, 9.8%, & 5.2% respectively. In conclusion, self-esteem is the main predictor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post-mastectomy women. These findings suggest a need for nursing strategies which promote self-esteem in such patients.

  • PDF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안전관리 실태 및 피폭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radiation safety management of dental hygienist and anxiety of radiation exposure)

  • 이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32-439
    • /
    • 2018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방사선 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안전관리 행위, 방사선 피폭 불안감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방사선 안전 관리 수준을 향상하고 방사선 취급에 대한 올바른 인식 전환과 불안감을 줄이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연구하였다. 연구기간은 2017년 9월 10일부터 10월 31일까지 전라북도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80명을 대상으로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기술통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방사선 질 관리에 대한 지식 정도의 평균은 8.07 였고, 정답률은 75.3% 였다. 태도 정도는 96.1%가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방사선 안전관리 행위는 촬영자는 4.11 였고, '방사선 촬영 시 항상 TLD(개인선량계)를 착용한다'는 4.58 로 가장 높았다. 환자 방사선 안전관리 행위는 3.86 였고, '방사선촬영 전 가임기 여성의 임신 여부를 확인한다'는 4.69 로 가장 높았다. 방사선 피복 뷸안감은 3.86 였고, '임신 중 일 때 태아의 건강 문제로 염려된다'는 4.13로 가장 높았다. 방사선 피폭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방사선 안전관리 행위가 낮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방사선 촬영경력이 낮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월 소득이 많을수록, 직위가 높을수록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치과위생사는 방사선 질 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안전관리 행위는 높았으나, 방사선 피폭 불안감은 높은 불안감을 가지고 있어 방사선 안전 관리 수준을 향상시켜 방사선 피폭 불안감을 줄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머중재 프로그램이 혈액투석환자의 불안, 우울과 유머대처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umor Intervention Program on Anxiety, Depression and Coping of Humor in Hemodialysis Patients)

  • 김경희;이명화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5-108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humor intervention program, administred to the hemodialysis patient as an adaptive coping mechanism. The research design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study method had been done by investigating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rough the questionnaire on 36 patients who had been out patient hemodialysis room at B hospital in Pusan from August 18 to September 15, 1998. The humor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1 TV comedy, 1 home video and 1 comedy film. The humor intervention program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20-30 minute 3 times every other day at hemodialysis room.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by Spielberger's State Anxiety Inventory, Zung's Self Rating Depression Scale, Lefcourt & s Humor Coping Scale.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had been done for the hemogeneity test in which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ad been tested by $X^2$-test and the hemogeneity test had been tested by t-test before using the humor intervention program which is for anxiety, depression and coping of humor. To test the hypothesis the t-test had been given for the difference of anxiety, depression and coping of humor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Anxiety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2. Depression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3. Coping of humor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even though humor intervention program did not have any efficient effect on hemodialysis patients in reacting to anxiety, depression and coping humor, it caused very positive reactions from patients, and it also reducted anxiety of patient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a little bit. If this program could be sufficiently applied ac cording to the character of every patients with a little bit different appliences such as selection of humor intervention program, frequency and period, it will be used as an efficient the humor intervention program.

  • PDF

조경기사 시험의 학명 문제와 조경식재공사에 적용되고 있는 수종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pecies of Tree Applied to Scientific Name Questions of Engineer Landscape Architecture Examination and Landscape Planting Construction)

  • 정용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12
    • /
    • 2019
  • 조경기사 필기시험 중 학명으로 출제되고 있는 수종들이 최근 조경산업 현장에서 얼마나 이용되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해 보기 위해 연구하게 되었다. 최근 6년 동안 축적된 조경기사 필기시험 중 학명의 연도별 출제빈도와 최근 6년 동안 출제된 학명문제 수종과 조경식재공사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수종들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경식재과목에서 학명문제의 연도별 출제 빈도를 분석한 결과, 문항수가 점차 증가하면서 2013년도에 56.6%로 정점을 찍은 후 2014년부터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최근 6년간 조경기사 필기시험의 문항 및 보기에 출제된 학명문제 수종은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화화나무(Sophora japonica), 박태기나무(Cercis chinensis), 주목(Taxus cuspidata) 등 163개 수종이었으며, 같은 기간 조경식재공사에 사용된 수종은 소나무(Pinus densiflora),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산수유(Cornus officinalis), 수수꽃다리(Syringa dilatata) 등 169개 수종이었다. 조경식재공사 관계자 인터뷰 결과, 수종 선정시 교목과 관목의 비율, 꽃과 단풍 등의 생태적 특징을 중시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형태적 특징, 경관적 특징, 경제성, 수급상황 등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명문제에 출제된 163개 수종 중 조경식재공사에 사용되지 않은 수종은 70개로 42.9%, 조경공사 식재에 사용된 169개 수종 중 학명문제에 출제되지 않은 수종은 76개, 44.9%로 나타났으며, 학명문제에서는 낙엽교목, 상록관목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조경식재공사에서는 상록교목, 낙엽관목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전력구 터널 건설안전 확보를 위한 디스크커터 마모측정시스템 시작품 개발 및 성능검증 (Development of disc cutter wear sensor prototype and its verification for ensuring construction safety of utility cable tunnels)

  • 김정주;류희환;송승우;도승철;이지윤;정호영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91-111
    • /
    • 2024
  • 전력구 터널은 송전선로 지중화 사업의 일환으로 대부분의 경우 쉴드 TBM을 활용하여 건설된다. TBM 챔버는 터널 내부 중 유일하게 암반과 흙을 마주하는 공간이며, 붕락과 부딪힘 사고 등 사고노출 빈도가 가장 높은 곳이다. 현재 챔버 외부에서 디스크커터 마모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부재하기 때문에 근로자의 수시점검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BM 챔버 내부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챔버 오픈회수 절감을 통해 공사기간 단축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하여 디스크커터 마모측정 기술 개념을 정립하고, 시작품을 제작하였다. 선행기술을 고찰하여 자기센서가 굴착환경에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자기센서, 무선통신 모듈, 전원공급, 외부 케이싱, 그리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종합한 마모측정 센서 패키지를 개발하였다. 실제 굴착환경에서 시작품 성능검증을 수행하기 위해 3.6 m 토압식 쉴드 TBM을 활용한 실대형 굴진시험을 수행하였다. 실대형 굴진시험 결과 8개의 시작품 중 5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였다. 최대 3,000 kN의 추력과 1.5 RPM의 회전속도 안에서 센서측정값이 무선통신을 통해 시스템에 원활하게 표출되는지 확인하였고, 센서 케이싱이 파손되지 않아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스마트폰 사용자 특성에 따른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만족도 차이 (Differences on Satisfaction of Healthcare Applications by Smartphone Users' Characteristics)

  • 심훈;김유정;박미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410-419
    • /
    • 2016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일반적 특성과 스마트폰 및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이용 특성에 따른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인지도, 정보품질, 용이성 측면에서의 만족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4년 9월 17일부터 21일까지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사용 경험이 있는 193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 중 연령, 교육수준, 경제수준에 따라, 스마트폰 및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이용 특성 중 스마트폰 운영체계, 스마트폰 사용기간, 설치된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수 및 주요 정보 출처, 사용 빈도와 사용하지 않는 이유에 따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모바일 헬스케어의 효과적 확산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배포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이용자의 특성과 요구를 확인하고 이를 반영해야 한다. 또한 개발된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지속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이용 동기를 지속적으로 유발하고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이 함께 적용되어야 한다.

초등학교 교사의 약물교육 실태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Drug Educ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정미숙;이화자;김영혜;김명희;어용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88-297
    • /
    • 2003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s about drug education amo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bjects consisted of nurse-teachers 175, class-room teachers 240 and athletics teachers 53 at the elementary schools in Pusan city. The data collecting period was December 23th through December 28th, 2002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10.0 program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x^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mportance of the drug education in special curriculum has been agreed with 96.0% of nurse-teachers, 90.4% of classroom teachers and 92.4% of athletics teachers. 2. For the drug education, nurse-teachers used to get information through the professional knowledge books(61.1%), and internet (33.1%), on the other hand class-room teachers(80.0%) and athletics teachers (48.9%) used to get information from various media. 3. Until now, the drug education has been performed by 80.6% of nurse-teachers, 34.2% of class-room teachers and 41.5% of athletics teachers. After drug education, the results of self-evaluation showed that 73.8% of nurse-teachers and 51.9% of athletics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it, but 69.5% of class-room teachers were not. In terms of the education methodology, most nurse-teachers(85.8%) usually used both verbal lecture and multi-media materials for teaching, but class-room teachers(97.8%) and athletics teachers(81.8%) just gave the verbal lecture. 4. About practical difficulties of drug education, the biggest problem was the absence of no systematic curriculum for nurse-teachers(22.9%), the insufficient expert knowledge for class-room teachers (26.3%) and a lack of education materials for athletics teachers(37.7%). The subjects were responded that the well-qualified personnel in charge of dru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ere nurse-teachers (52.0%) or nurse-teachers and class-room teachers.

  • PDF

HLA 기반 실시간 분산 M-SAM 시뮬레이션에서 RTI성능 측정 및 분석 (Performanc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RTI in the HLA-based Real-time Distributed M-SAM Simulation)

  • 최상영;조병규;이길섭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1권2호
    • /
    • pp.149-156
    • /
    • 2005
  • HLA는 시뮬레이션 표준 아키텍처로서 민수 및 국방 시뮬레이션 분야에서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국내외에서 워게임과 같은 구조적 시뮬레이션에서는 HLA를 적용한 성공적인 개발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시율레이터나 인터넷 게임과 같은 실시간 분산 시뮬레이션에서는 그 적용 사례가 아직까지 관찰되고 있지 않다. 그 이유는 실시간 분산 HLA 시뮬레이션에서는 네트워크 수준에서 RTI를 통한 메시지 전송시간이 컴퓨팅 능력, 시뮬레이션 노드 개수, 전송방식, 전송패킷의 크기에 영향을 받고, 응용 수준에서 메시지의 사건처리시간이 메시지 처리방식에 의존하여 실시간 제약조건을 설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차후 M-SAM 시뮬레이터의 개발을 위하여 RTI의 실시간 제약 조건의 수준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Af 환경에서 6대의 PC상에 HLA 기반의 실험용 시뮬레이터를 개발하고 RTI의 성능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이전의 연구에서 제시되지 않았던 다수 노드 환경에서 실제 운용 시나리오와 부하에 따른 메시지 지연시간, RTI 부하 및 RTI 패킷전송 비율에 대한 정량적인 특성 값을 얻을 수 있었고, 이 결과는 향후 M-SAM 시뮬레이터 또는 유사 응용체 계의 개발에서 표적 수, 전송주기 및 메시지 처리방식에 대한 설정지침으로 활용이 기대된다.

종축 비행성 요구도 및 안정성 여유 만족을 위한 비행제어법칙 최적화 및 평가 (Optimization and Evaluation of Flight Control Laws to Satisfy Longitudinal Handling Quality and Stability Margin Requirements)

  • 김성현;고득원;이태현;김동환;김병수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8-15
    • /
    • 2021
  • 본 논문은 고기동 제트항공기의 종축 비행성 요구도를 만족하기 위해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설계 방법에 관해 기술한다. 대상 항공기는 모델 역변환 기법이 적용되었으며, 제어이득 최적화로 종축 단주기 비행성 요구도를 만족하지만, 안정성 여유 항목이 고려되지 않았다. 안정성 여유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개선을 위해 시행 착오법 등을 통한 이득의 직접 재조정이 필요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추가적인 보상기와 최적화 구속조건을 추가한 제어이득 최적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최적화 결과에 대한 비행성 만족도를 재평가하였으며, 최적화 구속조건으로 설정된 비행성 요구도가 반영하지 못하는 시간 반응의 수렴성과 정상상태 오차에 대한 추가적인 제어법칙 평가 기준 설정 및 그 결과에 관해 기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