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sing SNS

검색결과 1,089건 처리시간 0.035초

대학생들의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proneness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 김소연;박미지;박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54-46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 만족도를 파악하고, 두 변수간의 상간관계를 파악하여, 대학생의 대인관계 향상 및 SNS 중독 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와 K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6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6월 30일부터 7월 30일까지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온라인 설문을 이용하여 자가 보고식으로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만족도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57, p<.01)를 보여주어 SNS중독경향성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만족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성별(t=.05, p=.963), SNS인맥수(t=.66, p=.513), SNS에서만 유지하는 인맥정도(t=-1.24, p=.216)에 따른 SNS중독경향성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SNS사용목적 중 정보수집을 위해 SNS이용하는 경우 대인관계 만족도가 더 높았지만(t=3.02, p=.030), SNS사용목적에 따른 SNS중독경향성의 유이한 차이는 없었다(t=0.39, p=.759). 따라서 대학생의 대인관계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본 연구에서 규명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대학생의 SNS중독을 예방하고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우울과 의사소통능력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NS addiction, Depression and Communication skill of nursing students)

  • 권명진;김지현;정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05-41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우울 및 의사소통능력 정도를 알아보고 SNS 중독경향성 관련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2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0월 11일부터 11월 24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LSD와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이 되었고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 차이는 연령(t=2.47, p=.044), SNS 사용시간(F=10.20, p<.001), SNS 사용 장소(t=2.54, p=.01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보면, SNS 중독경향성은 우울과 양의 정적상관관계를 보여 우울이 높을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의사소통능력과 SNS 중독경향성은 유이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SNS 중독경향성의 영향변수로는 우울(${\beta}=.265$, p<.001), SNS 사용시간(${\beta}=.265$, p<.001)이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SNS 중독경향성을 15.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며, 대학생의 SNS 중독을 조기 선별할 수 있는 검사의 필요와 취약 그룹에 대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이 요구되어진다.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Their SNS Addiction through Self-esteem)

  • 양인숙;황선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71-381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ocial network service (SNS)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Descriptive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employe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the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Sobel test and Bootstrap method, and Kappa squared mediation effect size measure were used to identify the mediator's significance. A convenience sample of 195 subjects was recruited from two universities in Korea.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22.58{\pm}1.81$. The subjects showed relatively high levels of SNS addiction with a mean score of $14.33{\pm}4.80$. The overall model significantly explained 37.0% of variances in the subjects' SNS addiction after controlling gender, age, grade, major, period of SNS using, time spent on SNS per day, and times accessed SNS per day. Of the predictors, time spent on SNS per day,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elf-esteem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NS addiction. Self-esteem was the mediator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NS addiction. Conclusion: When developing strategies for preventing SNS addiction, interventions for reducing time spent on SNS per day, not having upwar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improving the self-esteem should be considered. These findings might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developing effective strategies for preventing SNS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Online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NS Addiction Tendency)

  • 김윤성;이지민;박은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89-196
    • /
    • 2022
  • 본 연구는 성인의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온라인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486명을 대상으로 SNS 중독경향성 척도, 거부민감성 척도, 온라인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 PROCESS Macro 3.5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SNS 중독경향성, 거부민감성, 온라인 사회적 지지는 모두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적 지지는 남자집단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라 거부민감성으로 인한 SNS 중독경향성이 남자집단에서 다르게 나타남을 의미한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녀 집단에서 SNS 중독경향성을 확인하는데 거부민감성과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대학생들의 SNS 이용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에서 SNS친구들의 반응성 인식 및 자아존중감의 조절 효과 (The Moderating Roles of Perceived Responsiveness of SNS Friends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College Students)

  • 최정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433-442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인의 SNS이용과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에서 SNS 친구들의 반응 및 자아 존중감의 조절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국의 대학생(여학생 N = 264, 남학생 N = 239)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자료를 활용해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SNS이용의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SNS 친구들의 반응성 인식은 사회적 지지 인식에 대해 강한 주효과를 보였다. 또한 SNS 이용, SNS 친구들의 반응성 인식, 자아존중감 간의 삼원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는데, 즉, 자아존중감이 낮은 대학생들 사이에서만 SNS 이용과 SNS 친구들의 반응성 인식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는 기존의 이론을 정교화하는데 기여하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SNS 기반 심리적 정신건강 중재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함의를 제공한다.

감정요소를 이용한 SNS 메시지 분류기 구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SNS Message Classification by Emotion Factors)

  • 김재영;김명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17-222
    • /
    • 2011
  • 최근 SNS가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고 많은 사용자들이 이 SNS를 하나의 다른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사용하고 있다. SNS를 이용하는 개인 사용자들은 자신의 소식과 감정의 변화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SNS를 이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정을 나타내는 감정 요소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분류하는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감정 성분 추출은 OMLS(Ocean-Monmouth Legal Services)에 있는 감정 어휘를 이용하여 로젯(Roget)의 시소러스와 워드넷(WordNet)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초.중학생의 SNS에서의 긍정적.부정적 행동 분석 (Analyzing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SNS Behavior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이수정;연정화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8
    • /
    • 2013
  • SNS는 온라인과 현실 세계의 경계를 다양한 사람들이 연결되어 양방향 소통, 인맥관리, 정보 전달 등의 기능을 하는 사회적 연결망 서비스로써 국내 외 SNS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해왔으며, 최근에는 그 성장세를 가속화하고 있다. 그러나 SNS에 대한 연구가 성인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초 중학생의 사용 실태와 SNS 사이버행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 중학생들의 SNS 사용실태와 사용동기, SNS의 적극적 기능사용 정도, 의존경향성, SNS에 대한 인식과 SNS에서 이루어지는 사이버행동과의 관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별과 학년을 불문하고 개인정보도용 행위가 가장 많았으나, 낯선이와 접촉 행위는 학년이 오를수록 또는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SNS 의존경향성은 부정적 사이버행동과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정적 사이버행동 전반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고, 학년에 따른 차이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 PDF

SNS 구전정보 특성이 외식상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SNS 수신자 특성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 (Effects of SNS WO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in Restaurant Food - Focused on the SNS WOM Receivers Characteristics as Moderator -)

  • 박대섭;한지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39-52
    • /
    • 2016
  •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NS WOM characteristics 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s perceived in restaurant participants an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SNS receivers' characteristics on formulated model. Survey method was employed to consumers who are using SNS to find restaurant foods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n Seoul area. A total of 250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230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missing and unusual data.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ividness of SNS WOM characteristics had a greater effect on attitude of restaurant food than timeliness, but the consensus and neutrality of SNS WOM characteristics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of restaurant food. Second, SNS receivers characteristic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vividness and timeliness of SNS WOM characteristics and attitude. However, SNS receivers characteristics did not have a moderating role relationships between consensus and neutrality of SNS WOM characteristics and attitude. Third, attitude of restaurant fo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What Affects the Value of Information Privacy on SNS?

  • Jung, Woo-Jin;Lee, Sang-Yong Tom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5권2호
    • /
    • pp.289-305
    • /
    • 2015
  • The dramatic growth of social networking sites (SNS) has created a myriad of privacy concerns. Our study focuses on how much monetary incentive SNS users are willing to accept in exchange for disclosing their SNS information by accepting friend requests. First, we focused on information privacy in SNS, and estimated the value of information privacy by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Second, we attempted to estimate how SNS users' willingness to accept would change when demographic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vary. Privacy-sensitive SNS users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higher education, less SNS experience, and higher security consciousness. On the contrary, those who make good use of SNS and use open-based SNS are less sensitive to privacy. In summary, privacy-sensitive SNS users are fearful or uneasy when they have insufficient control of SNS information. Considering 14 conditions on the value of information privacy on SNS, the mean value of SNS information per person is 173,957 won. If we apply this value to Facebook users, the total Facebook information value would be 1.91 trillion won, considering that there are 11 million users in Korea.

모바일 폐쇄형 SNS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심층인터뷰와 실증분석 (Factors Affecting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Mobile Closed Social Network Services: In-depth Interviews and An Empirical Investigation)

  • 소택화;고준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4권3호
    • /
    • pp.21-46
    • /
    • 2015
  • Purpose Social Network Service (SNS) users feel fatigue in process of using open type of SNS like Facebook and Twitter. Compared to the open SNS, the closed SNS takes an closed form to prevent privacy exposure, and they are more practical and advantageous to form deeper social relationships. This study attempt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obile closed SNS characteristics (such as usefulness, playfulness, perceived security, psychological privacy, social influence, and belonging) on the users' continuous SNS usage inten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used a mixed methodology combining in-depth interviews and empirical validatio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obile closed SNS characteristics on the continuous SNS usage intention of users. Findings Analytical results from a survey of 210 mobile closed SNS users showed that except perceived security, the effects of the five SNS characteristics on continuous SNS usage intention were significant.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mobile closed SNS services and suggesting SNS related marketing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