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ing SNS

검색결과 1,085건 처리시간 0.031초

수정된 원형/행동경향 모형을 통한 SNS이용자들의 상호작용성이 이용저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NS Users' Perceived Interactivity on Using Reluctant Intention Using Modified Prototype/willingness Model)

  • 박수홍;조희영;양회창
    • 통상정보연구
    • /
    • 제16권3호
    • /
    • pp.3-23
    • /
    • 2014
  • 본 연구는 최근 SNS의 폭발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공개형 SNS에 비해 폐쇄형 SNS가 활성화되고 있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SNS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업이나 SNS를 이용해 마케팅전략을 구사하는 기업들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SNS 이용저하의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대학생 이상의 남녀 성인 총 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이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8명을 제외한 197명의 유효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정된 원형/행동경향 모형에서 제안한 두 가지의 경로인 즉흥적이거나 상황에 반응하여 행동하는 행동경향의 경로와 합리적으로 생각하여 행동하는 경로가 각각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론적 근거와 수정지수를 사용한 수정모형 분석결과 상호작용성은 즉흥적이거나 상황에 반응하여 행동하는 행동경향 경로 뿐 아니라, 합리적으로 생각하여 행동하는 행위의도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NS사용을 통한 자기표현이 대인관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구 : 개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Using SNS to Interpersonal Relation and Quality of Life : Focused on the moderating role of communication capability)

  • 한상연;마은정;홍대순;김은영;박주현;이인성;김진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2권1호
    • /
    • pp.29-64
    • /
    • 2013
  •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elf presentation on SNS to interpersonal relation and quality of life. Especially, we performed exploratory analysis that how SNS affect to quality of life and wether the change of interpersonal relation is mediating effect to quality of life and intention to use. And we also suggest that the capability of communication would be a moderator. In the results, firstly, the using SNS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it as mediation variable can positive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ing SNS, quality of life, and Intention to use. In the moderating analysis, SNS users who responded higher communication capability have significantly more higher effect on the change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quality of life. Secondly, the change of interpersonal relation after use of SNS as a mediation variable serves to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SNS and the quality of life in the positive direction.

SNS상에서의 자기표현행위가 오프라인 대인관계 및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The Effect of Self-Presentation on SNS to Interpersonal Relation and Intention to Use)

  • 마은정;한상연;배성주
    • 지식경영연구
    • /
    • 제14권2호
    • /
    • pp.25-48
    • /
    • 2013
  • SNS is one of the fastest service entering in mature stage. But now there are not any empirical analysis the effect of SNS from user point of view.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 presentation on SNS to interpersonal relation and intention to use. we set online presentation self-efficacy and involvement as two antecedent factors. And we suggest that the purposes of using SNS be Image improvement and knowledge contribution. The change of interpersonal relation in offline is set a result of using SNS and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online self-presentation and intention to use. In the results, firstly, we confirmed that the online presentation self-efficacy and involvement are predisposing factors for online self-presentation on SNS in the positive direction. Secondly, the using SNS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of interpersonal relation. Especially,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 is originated from image improvement and knowledge contribution. Thirdly,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 have also significantly more higher effect on the intention of use.

  • PDF

SNS 접속형태와 이용심리에 의한 지속사용의도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Continuous Use Intention by SNS Connection Type and User Psychology)

  • 홍희경;최정일;한경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957-967
    • /
    • 2017
  • 본 연구는 SNS 이용의 중지를 원하면서도 SNS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이용자들의 심리와 접속형태 중심으로 접근하였다. 개념적 틀로써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과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PCM)을 사용하였으며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을 도출하였다. 가설의 검증은 AMOS 18.0과 SPSS 18.0을 이용하였고, SNS 이용 경험이 있는 IT 계열 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결측값 및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44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SNS 이용 의도에 대한 긍정과 부정의 심리요인이 이용자에게 공존함을 인식하고 각 요인이 SNS 지속사용의 유인요인과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향후 개선된 SNS의 서비스 방안 제공 및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틀마련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SNS 품질 특성이 사용자 만족도와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Social Network Service o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 김병곤;윤일기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1권1호
    • /
    • pp.35-51
    • /
    • 2014
  • The popularity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providing web sites has increased continuously by using a variety of mobile device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security of SNS, efficiency of SNS, safety, empathy of SNS quality, easy of use of SNS, assurance of SNS, service variety of SNS are having positive impact to some degree on the user satisfaction. Further, the user satisfaction of SNS user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SNS users. This results show that various SNS qualities are necessary to actively explore and obtain further information that users intend to find, while they are insufficient in function to provide the information other users require or exchange information with other users through the SNS.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정서와 대인관계 능력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ademic Emo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n SNS Addiction Tendency by Gender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 전해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269-27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정서와 대인관계 능력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1-4학년 남녀대학생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에 자가보고식으로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총 130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연령, 하루 평균 SNS 사용시간, 주관적으로 인식한 SNS 의존도, 본인의 SNS 사용정도에 대한 인식을 통제한 상태에서, 남자대학생의 경우 대인관계능력(${\beta}=-.41$, p=.009)만이 SNS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파악되었으며, 약 16%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F=2.26, p=.049). 여자대학생의 경우, 하루 평균 SNS 사용시간(${\beta}=.42$, p<.001)과 긍정학업정서(${\beta}=.27$, p=.010)가 SNS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파악되었으며, 약 2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F=5.19, p<.001). 그러므로 남녀 대학생의 SNS 중독과 관련된 심리 사회적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남자대학생의 경우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 전략이 요구되며, 여자대학생의 경우 SNS 사용시간을 줄이고 긍정학업정서를 지지해 줄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

A self-portrait of the information society: An Arguments on the SNS users' Responsibilities

  • Seo, Ran-Su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159-172
    • /
    • 2020
  •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가 인터넷, 스마트폰과 함께 크게 발전하고 있다. 친근한 SNS이지만 그 실체를 깊이 생각해 보면 정말 다양한 얼굴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사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 툴이기도 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이기도 하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인프라이기도 하고, 공통의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모이는 커뮤니티이기도 하다. 최근 몇 년간은 사업도구와 쇼핑, 결제수단도 삼키려 하고 있다. SNS의 확산이 현실 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확대되고 있으며 사회학의 관점에서 다루어지는 일도 늘어나고 있다. 또한 SNS의 기술적인 측면에 주목하면, 대규모 액세스를 처리하는 인프라, 쾌적한 이용을 지지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사람들의 행동을 보다 깊게 이해하기 위한 빅데이터 분석인 아무래도, 여러 가지 기술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렇게 평소에는 아무렇지 않게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SNS를 통해 들여다보면 그 실태는 의외로 심오하고 다면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SNS의 역사와 현황을 조감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다른 매체와의 비교를 통해 그 위상을 찾고자 시도하였다. 사회와의 관계 관점에서는 악플이나 SNS를 이용한 범죄 등의 SNS 활용시의 리스크, 법적 문제가 될 수 있다. SNS상의 행위나 사업자가 제정하는 가이드라인에 대해 해설도 필요하다. 따라서 SNS에 대한 다양한 법적 문제를 논의하도록 할 것이다. 또, SNS의 활용 사례로서 재해대응에 있어서의 SNS 활용 사례를 소개하겠다. 더 기술적인 관점에서, SNS의 네트워크 기반 기술과 SNS의 정보활용에 대한 해설을 받고, 이런 기사들이 SNS를 이해하고 안전하게 이용하는데 도움을 주고 SNS를 더욱 활용하거나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SNS 사회적 상호작용 과부하에 따른 테크노스트레스 (The Impact of Technostress on Social Interaction Overload in Social Network Service)

  • 이새봄;문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5-33
    • /
    • 2017
  • 상호작용 속도의 증가는 과잉 관계(over-relations)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과잉 관계로 인한 심리적, 시간적 부담으로 SNS에 대한 피로감을 느껴 SNS 이용을 기피하는 이용자들이 생기고 있다. SNS 피로감(fatigue), SNS 불안감(anxiety) 등 SNS 이용으로 인해 발생된 부작용에 관한 사항들은 'SNS 스트레스'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NS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을 스트레스라는 관점에서 살펴보며, 스트레스의 발생 원인을 상호작용의 과잉에서 찾고자 한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총 26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SEM(Structural Equation Model) 분석 결과, 모든 연구가설이 채택되었다. 정보공유와 커뮤니케이션 모두 사회적 상호작용 과부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상호작용 과부하가 스트레스를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증적으로 SNS 피로감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상호작용성을 대입해 SNS가 가진 특징이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안드로이드기반 근거리 SNS (Android based Local SNS)

  • 이충렬;안병구;안홍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93-98
    • /
    • 2010
  • 최근들어 급격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이용하는 사용자도 같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 근거리 SNS 시스템을 제안 개발한다. 제안 개발된 시스템의 주요한 특징과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안 개발된 SNS 시스템은 사용자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다른 사용자를 주변검색을 하며, 친구추가가 되면 웹/DB로 SNS 서비스를 할 수 있게 스마트폰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한다. 둘째, 안드로이드 전체의 기본적인 UI를 변경하지 않는 선에서 제작을 하여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도 거부감이 들지 않고, 최대한 직관적이면서 사용하기 쉬운 접근 방법을 가지고 디자인 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평가는 OPTIMUS-Q/ANDROID 2.1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성능평가 결과 안드로이드 기반 블루투스로 주변검색을 함으로써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의 접속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였다. 현재 제안된 시스템의 효과적인 성능 향상 지원을 위해서 안드로이드에서 블루투스의 오토페어링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SNS 이용자의 폐쇄형 SNS로의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SNS Users' Switching Intention Toward Closed SNS)

  • 박현선;김상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135-160
    • /
    • 2014
  • SNS는 소통의 매체이자 공유와 인맥관리를 위한 도구로서의 긍정적인 측면을 제공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개방형 SNS에서 불특정 다수와의 소통에 대한 피로감과 사생활 노출에 대한 불안감 증가와 같은 부정적인 측면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SNS 이용자들은 서비스 이용중단을 결정하거나 특정 지인들과 그룹을 형성하여 소통하는 폐쇄형 SNS로 서비스 전환을 결정한다. 하지만 개방형 SNS가 약한 연결 관계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새로운 관계를 확산시키고 다양한 정보와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다양한 경제 및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SNS 이용자들이 개방형 SNS에서 폐쇄형 SNS로 이동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라 판단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이주를 설명하는 유용한 프레임워크로 알려진 Push-Pull-Mooring 모형을 근거로 SNS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개방형 SNS의 부정적 요인으로 제안한 푸쉬 효과의 약한 연결성과 프라이버시우려, 폐쇄형 SNS의 긍정적 요인으로 제안한 풀 효과의 즐거움, 소속감이 폐쇄형 SNS으로의 전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 이용자의 상황적 요인으로 제안한 무어링 효과 중 SNS 피로감은 푸쉬 효과와 SNS 전환의도 간의 관계를, 그리고 사용자저항은 풀 효과와 SNS 전환의도 간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방형 SNS와 폐쇄형 SNS가 시장에서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정책을 제안하고 이용자들의 인식 전환을 유도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