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s' Personality Typ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3초

사용자 성격유형에 따른 주거공간 실내디자인 요구에 관한 연구 (Study on Users' Housing and Interior Design Needs Affected by Personality Types)

  • 이헌주;박수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88-97
    • /
    • 2013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various users' diverse interior design needs for their housing and interior design through the personality, which is intrinsic and consistent traits of the individual. The survey research followed the literature reviews including personality studies and interior design assessments. 176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s controlled by age, sex, and major answered the questionnaire. Their housing and interior design attitudes, the semiotic assessment of interior design styles, and interior design preference were compared in accordance with four pairs of preference dichotomy of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Extraversion -Introversion, Sensing-iNtuition, Thinking-Feeling, Judging-Perceiving. As a result, the framework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needs by the users' personality types are proposed. It shows specific needs for 16 types of personality based on eight preference dichotomy: extroversion-open, introversion-closed, sensing-functional, intuition-emotional, thinking-restricted, feeling-receptive, judging-simple, and perceiving-creative.

Adaptive Recommendation System for Tourism by Personality Type Using Deep Learning

  • Jeong, Chi-Seo;Lee, Jong-Yong;Jung, Kye-D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1호
    • /
    • pp.55-60
    • /
    • 2020
  • Adaptive recommendation systems have been developed with big data processing as a system that provides services tailored to users based on user information and usage patterns. Deep learning can be used in these adaptive recommendation systems to handle big data, providing more efficient user-friendly recommendation servi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hat uses deep learning to categorize and recommend tourism types to suit the user's personality. The system was divided into three layers according to its core role to increase efficiency and facilitate maintenance. Each layer consists of the Service Provisioning Layer that real users encounter, the Recommendation Service Layer, which provides recommended services based on user information entered, and the Adaptive Definition Layer, which learns the types of tourism suitable for personality types. The proposed system is highly scalable because it provides services using deep learning, and the adaptive recommendation system connects the user's personality type and tourism type to deliver the data to the user in a flexible manner.

독서교육에 있어서 청소년의 성격유형과 독서성향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 of Personality Type and Reading Tendency of the Youth in Reading Education)

  • 한윤옥;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9-8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주요 봉사대상자이며, 성격형성에 매우 중요한 시기인 청소년의 성격유형별 독서성향과 행태가 어떻게 다른지를 밝혀내어 성격에 기반한 예방적 차원의 독서지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생과 중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분석에 이용된 설문지는 총 583부(초등학교 324부, 중학교 259부)였다. 연구결과 개인적 적응, 사회적 적응, 문화적 적응영역 모두 7-9개 주제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성격유형에 따른 독서교육 방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AR Tourism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Character-Based Tourism Preference Using Big Data

  • Kim, In-Seon;Jeong, Chi-Seo;Jung, Tae-Won;Kang, Jin-Kyu;Jung, Kye-D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1호
    • /
    • pp.61-68
    • /
    • 2021
  •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y has enabled users to quickly share a lot of data online. We can analyze big data on information about tourist attractions and users' experiences and opinion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t can als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types of tourism. This paper analyz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commends customized tourist sites and proposes a system to provide the sacred texts of recommended tourist sites as AR services. The system uses machine learning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tourism type preference. Based on this, it recommends tourist attractions according to the gender and personality types of users. When the user finishes selecting a tourist destination from the recommendation list, it visualizes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tourist destination with AR.

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대학도서관 맞춤형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stomized Services of University Libraries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s of College Students)

  • 곽우정;노영희;안인자;장징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1-114
    • /
    • 2019
  • 본 연구는 MBTI 성격유형별로 이용자를 분류하고, 성격유형별로 선호하는 도서관의 정보자원 및 서비스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격유형과 선호하는 자원 및 서비스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기반으로 MBTI 성격유형에 맞춰 대학도서관의 맞춤형 정보서비스 제공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MBTI 유형에 따른 자료/정보원 및 서비스 선호도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태도지표 유형별 분석에서 자료형태 선호도와 사분할 유형별 분석에서 디지털콘텐츠 유형 선호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가지 성격유형별 분석에서도 디지털콘텐츠 유형에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에서는 성격유형에 맞는 자료와 디지털콘텐츠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도서관에서 이용자에 대한 MBTI 성격유형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후 이용자가 도서관에 참고정보서비스를 요청하거나 도서, 정보 등을 요청할 때 형태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콘텐츠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용자 MBTI 성격유형과 정보시스템 지속사용의도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MBTI Personality Types and Continuous IS Usage Intention)

  • 남길우;김상훈;김창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53-161
    • /
    • 2011
  •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이 조직에 수용된 후의 이용단계에서 사용자의 성격유형이 지속적인IS 사용의도에 중요한 영향요인들 중 하나임을 추론하였고, 개인의 성격유형판별지표인 MBTI에 근거한 IS 사용자 성격유형에 따라 IS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의 수준이 어떻게 다른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330명의 IS 실무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정보시스템 수용후 단계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속적인 사용의도는 IS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자기주도성은 사용자 성격유형과 IS에 대한 기대일치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용자 성격유형과 3가지 매개변수들(기대일치,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은 사용자의 지속적인 IS 이용의도의 중요한 에측변인들임이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정보시스템 수용 후의 단계에서 IS 성공요인을 규명하는데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뿐 아니라, 조직내 정보시스템의 구축 운영과 관련한 인사관리 업무수행에 있어서 실무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유명인 이미지를 활용한 MBTI 성격 유형 시각화 방식 제안 (A proposal of visualization method of MBTI personality types using celebrity images)

  • 신호선;이강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8호
    • /
    • pp.491-498
    • /
    • 2016
  • 본 논문은 MBTI 성격 유형을 '5요인 성격 특성 요소'로 분류한 카테고리화, 각각의 유형에 해당하는 유명인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시각화를 기반으로 한다. 이 두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MBTI 성격 유형을 시각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해당 시스템은 기존의 문자화되어 있는 유형의 특성을 시각화하여 이해하기 쉽게 보여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전체적인 시스템은 '5요인 성격 특성 요소'를 활용하여 카테고리 별 특성을 반영한 배경 생성 과정과 16가지 MBTI 유형에 해당하는 유명인 이미지의 결합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5요인 성격 특성 요소'는 MBTI 성격 유형을 4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데 각각의 카테고리 별 특성은 색상 및 선과 같은 시각적 요소들을 이용하여 배경을 만드는 기반이 된다. 둘째, 유형별 유명인의 이미지는 문자적 설명을 대신한다. 유형을 대표하는 유명인의 이미지에는 각기 다른 채도를 적용하여 이용자가 직관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했다. 결과적으로, 해당 시스템은 이용자가 이용자 본인의 원 유형과 유사 유형 및 반대 유형 그리고 타 유형에 대한 정보까지도 얻을 수 있게 한다.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이용행태와 사회적 지지감 인식: 성격, 이용동기, 이용방식을 중심으로 (Social Media Use and the Users'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 김영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07-419
    • /
    • 2015
  • 근래 소셜미디어 이용이 대중화되면서 누가, 어떻게, 왜 이용하는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 관점에서 대표적 소셜미디어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의 이용행태와, 소셜미디어 이용자가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토이다. 이를 위해 전국규모 대학 학생대상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 240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용자 개인성향과 이용동기에 따라 이용정도에 차이가 있고 소셜미디어 이용방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쓰기 등 적극적 이용방식은 대인관계나 자기이미지 노출동기와, 보기만 하는 소극적 이용은 습관적 동기와 연관되었다. 또한 소셜미디어 이용이 빈번할수록 이용자의 사회적 지지감이 증가해서 소셜미디어에 자주 접속하는 것으로 세상과 연결되어 있다고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소셜미디어에서 활동하는 방식은 사회적 지지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소셜미디어 소통행위 자체만으로 사회적 지지감을 갖게 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A Study on Design Concept of an App with Matching Enneagram and Character

  • Park, Jong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1호
    • /
    • pp.19-24
    • /
    • 2022
  • "Know thyself" is one of the most famous ancient proverbs. We need to know ourselves to understand others and find true ourselves. Enneagram is one of the tools we can use to do it. It has drawn more and more attention from people by its effectiveness and spiritual depth. It has been widely promoted in both business management and spirituality contexts. It has many concepts to be understood. Holy ideas and virtues are understood to be restored to find our true self which is the purpose of using the Enneagram. Actually, holy ideas and virtues are similar with character qualities which comprise character. In this paper, holy ideas and virtues are matched with corresponding character qualities. To promote transformative process of character development through Enneagram, an app was designed. It has 2 levels. Level 1 is to find personality type and show corresponding character qualities of 9 personality types to users. Level 2 is to find subtypes and Enneagram Levels of Development for further purpose.

Linguistical approach with Automatic MBTI Identification Model based on Measuring Bioelectricity Patterns

  • Hyun-Tae Kim;Ye-Jin Jin;Hye-Jin Jeon;Janghwan Kim;R. Young Chul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3호
    • /
    • pp.200-210
    • /
    • 2023
  • Until now, it is popular to use question-and-answer-based for human personality. The current inspection of representative personality types includes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and job suitability evaluations. The problem of these inspection methods is influenced by the user's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status during MBTI inspection.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d MBTI Identification Model based on measuring bioelectricity patterns. We adapt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 Eight Constitution, to this model. We develop an automatic MBTI identification algorithm that maps the Eight Constitution via biological current patterns to identify MBTI personality types. By utilizing the algorithm proposed in this research, it is anticipated that users will be able to measure MBTI more easily and accurat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