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mode

검색결과 511건 처리시간 0.037초

사용 모드에 따른 반응지연 상황의 행동적, 정서적 효과 (The effect of behavioral and emotional change on usage mode and response-delay situation)

  • 주효민;김효선;김혜령;한광희
    • 감성과학
    • /
    • 제13권1호
    • /
    • pp.129-146
    • /
    • 2010
  • 시스템의 기능이 많아지면서 시스템의 반응시간은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반응지연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컴퓨터를 사용하는 상황을 바탕으로 이루어졌고 더 단순한 과제를 사용하는 기기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반응지연이 사용자들의 행동과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실험 1; 독립변인: 반응지연 정도, 종속변인: 행동적, 정서적 평가). 더 나아가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상황(활성화된 모드)에 따라 동일한 반응지연이 있을 경우 행동 및 감정 평가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실험 2; 독립변인: 반응지연 정도, 사용모드, 종속변인: 행동적, 정서적 평가, 스트레스, 정신적 노력). 그 결과, 반응지연이 있으면 과제를 수행하는 시간(효율성)이 길어지고 부정적인 감정이 유발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황(활성화된 사용 모드)에 따라서 동일한 과제를 수행하는 경우라도 그 평가에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즉,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과제를 했을 경우 반응지연이 있게 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이 경우 반응지연의 유무가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같은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서도 정신적인 노력이 더 많이 소모된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휴대전화 상황에서 반응지연 정도가 사용자들의 감정뿐 아니라 수행에도 영향을 줌을 확인하였고 동일한 과제의 제시한 경우라도 사용 환경에 따라 제품 평가에 차이를 보임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PDF

외부 입력기기 사용 정보 기반 셋톱박스 대기모드 전환 기술 (A Standby Mode Transition Scheme for Set-top Box Power Saving by the Use Information of External Device)

  • 김용호;최윤범;오남걸;김훈
    • 정보통신설비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24-130
    • /
    • 2010
  • This paper considers a power saving technique of set-top box (STB) that turns the signal into content which is then displayed on the television (TV) screen. A traditional power saving scheme, Auto Power Down (APD), was devise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STB. APD checks whether the user is watching TV over a period of time and enforces STB into stand-by mode when the check result reveals the user is not watching TV. This paper proposes an enhanced power saving scheme that transits STB operation mode to 'stand-by' immediately when STB recognizes the change of TV's external input signal. The proposed scheme does not require the monitoring time to check the users' watching TV, and transits to standby mode faster than the conventional APD, which results in better performance in power saving. Th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scheme achieves 2 to 11% improvement in power consumptio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PD.

  • PDF

AES 블록 암호에 OFB 모드를 적용한 ATM 셀 보안 기법 (ATM Cell Security Techniques Using OFB Mode on AES Block Cipher)

  • 임성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6호
    • /
    • pp.1237-1246
    • /
    • 2021
  • 본 논문은 AES 블록 암호에 OFB(Output Feedback) 모드를 적용한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셀 보안에 관한 것이다. ATM 셀은 사용자 데이터 셀과 유지 보수 셀로 구분되며 각 셀의 크기는 53 옥텟이며 5 옥텟의 헤더와 48 옥텟의 페이로드로 구성되어 있다. ATM 셀의 암호화/복호화를 위해서는 셀의 경계를 감지해야 하는 데 이는 헤더 내의 HEC(Header Error Control)필드를 이용하여 가능하다. 셀의 경계를 감지한 후에는 사용자 셀만 암호화하기 위하여 PT(Payload Type)코드를 이용하여 페이로드의 종류를 감지한다. 본 논문에서는 ISO 9160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ATM 셀의 보안 방법을 제시하였다.

감성모델을 이용한 음악 탐색 인터페이스 (Music Exploring Interface using Emotional Model)

  • 유민준;김현주;이인권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707-71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감성 모델을 이용하여 음악을 정렬한 후, 이를 바탕으로 음악을 탐색하는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먼저 다양한 곡들에 대한 Arousal-Valence 요소를 설문조사 한 후, 곡들의 다양한 audio feature 들과 Arousal-Valence 요소들간의 상관관계를 계산하여, AV모델을 수립한다. 그 후, 다양한 음악들을 수립된 AV모델에 대하여 정렬을 하여 음악을 배치한 후, 이를 마우스를 이용하여 탐색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기존의 관련 인터페이스보다 더욱 직관적으로 원하는 곡을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마우스의 위치에 따라서 여러 음악들이 페이드 인/아웃 되게 하였으며, 여러 가지 모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가장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사용자는 본 음악 탐색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더욱 감정적으로 원하는 음악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 PDF

최신 문화 예술공연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연구 (A Study of Information About Culture And Art Based On Application)

  • 구민정;신예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권4호
    • /
    • pp.65-69
    • /
    • 2015
  • 본 연구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최신 문화 관람 및 정보를 제공하는 App을 개발하여 사용자가 문화생활을 즐기고자 할 때 이 DB를 사용하여 각 뮤지컬, 연극, 영화 별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열람할 수 있고 또한 리뷰 등록 및 열람이 가능하다. 또한 관리자는 관리자(Administrator)모드로 로그인하여 문화 정보를 관리하고 사용자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스템 관리를 원활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User)모드로 로그인을 하여 문화 정보를 열람할 수 있고, 감상평을 기록하고 친구그룹의 추천기능을 통해 신뢰할만한 공연정보를 확인하여 여가생활을 문화 활동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참여설계를 통한 교실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학교공간 혁신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lassroom Space Planning through User Participation Design - Focusing on the case of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in Incheon -)

  • 손석의;김승제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11-17
    • /
    • 2021
  • This study is aimed at presenting an efficient management plan of user participatory design in a situation where the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is in progress. 2 schools that were the targets of the Incheon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in 2019 were selected for this, and features such as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at classroom, classroom usage plan, and the stepwise outcome of the user participatory design workshop were contemplated. Especially the workshop outcome was compared and analyzed quantitatively, focusing on the actual master plan and zoning plan, in order to identify the feature that opinions of various users are reflected on the actual plan.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reached. Firs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about the user preferential space influences the classroom usage plan of that classroom. Vague expressions about the whole space held a large majority of the objects for the linguistic expression of the preferential space. The expression mode as limited as the expression of the actions that users want to carry out in the spa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age purpose of the classroom was definite, it was confirmed that the demand for furniture·facility is relatively high. Second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zoning for each function, it seems that the stereotype, which is arranged on the basis of the chalkboard at the front of existing classrooms, was applied in the case of the learning zone. However, in cases of other functions, a tendency was identified that the user carries out an image description that reflects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space. Sufficient preparation will need to precede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user participatory design workshop and the acceptance of various opinions. It seems that especially the classroom usage plan, number of workshops, consultation of each step, and the education about the space expression mode affect the master plan.

W-CDMA TDD 방식에서의 효율적 간섭 제거 기법 (Effec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method on W-CDMA TDD Syetem)

  • 조영보;고균병;권동승;정인철;강창언;홍대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101-104
    • /
    • 2001
  • In TD-CDMA system, multi-user interference degrades the system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effective multi-user detection algorithm applicable to TDD mode. We certify a channel estimation capacity by using midamble an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ultistage interference canceller in the system complex aspect. In computer simulations, it is verified that proposed algorithm has lower complexity and better performance than conventional multi-user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Rayleigh fading channel.

  • PDF

반자율주행 맥락에서 AI 에이전트의 멀티모달 인터랙션이 운전자 경험에 미치는 효과 : 시각적 캐릭터 유무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AI Agent's Multi Modal Interaction on the Driver Experience in the Semi-autonomous Driving Context : With a Focus on the Existence of Visual Character)

  • 서민수;홍승혜;이정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92-101
    • /
    • 2018
  • 대화형 AI 스피커가 보편화되면서 음성인식은 자율주행 상황에서의 중요한 차량-운전자 인터랙션 방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반자율주행 상황에서 음성뿐만 아니라 AI 캐릭터의 시각적 피드백을 함께 전달하는 멀티모달 인터랙션이 음성 단일 모드 인터랙션보다 사용자 경험 최적화에 효과적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실험 참가자에게 주행 중 AI 스피커와 캐릭터를 통해 음악 선곡과 조정을 위한 인터랙션 태스크를 수행하게 하고, 정보 및 시스템 품질, 실재감,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 그리고 지속 사용 의도를 측정하였다. 평균차이 분석 결과, 대부분의 사용자 경험 요인에서 시각적 캐릭터의 멀티모달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지속사용 의도에서도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오히려, 정보품질 요인에서 음성 단일 모드가 멀티모달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운전자의 인지적 노력이 필요한 반자율주행 단계에서는 멀티모달 인터랙션이 단일 모드 인터랙션에 비해 사용자 경험 최적화에 효과적이지 않았다.

로보트제어를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의 설계 (Design of Programming Language for Robot Control)

  • 장성호;홍석교;이광원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36권2호
    • /
    • pp.129-139
    • /
    • 1987
  • In this paper the programming language for Hero-1 robot is developed using Apple II micro computer. The language is composed of main monitor mode, editing mode, execution mode, and debugging mode. The main monitor mode is a main flow of the whole language system and controls starting and terminating procedures of operating the controller, and monitors the others. The editing mode has capability to make a user's maniqulation program. Trajectory planning algorithms(point-to-point motion and linear approximate motion)have been realized in the robot language, and in the case of point-to-point motion, inverse kinematics have been solved for the desired point.

다수단 가변수요 통행배정문제를 위한 부분선형화 알고리즘의 성능비교 (A Performance Comparison of the Partial Linearization Algorithm for the Multi-Mode Variable Demand Traffic Assignment Problem)

  • 박태형;이상건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53-259
    • /
    • 2013
  • Investment scenarios in the transportation network design problem usually contain installation or expansion of multi-mode transportation links. When one applies the mode choice analysis and traffic assignment sequentially for each investment scenario, it is possible that the travel impedance used in the mode choice analysis is different from the user equilibrium cost of the traffic assignment step. Therefore, to estimate the travel impedance and mode choice accurately, one needs to develop a combined model for the mode choice and traffic assignment. In this paper, we derive the inverse demand and the excess demand functions for the multi-mode multinomial logit mode choice function and develop a combined model for the multi-mode variable demand traffic assignment problem. Using data from the regional O/D and network data provided by the KTDB,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e partial linearization algorithm with the Frank-Wolfe algorithm applied to the excess demand model and with the sequential heuristic proced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