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Studies

검색결과 2,835건 처리시간 0.03초

User study의 추이 및 문제점에 관한 고찰 (On the trends and the problems of User Studies)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1권
    • /
    • pp.19-43
    • /
    • 1984
  • There are two broad classes of user studies, in terms of their purposes or a n.0, pplications. One class might be termed basic studies, in which the purpose is to create or obtain knowledge regarding information needs and uses with no particular a n.0, pplication. The second type of study might be termed a n.0, pplied. The aim of second type is preparing standards to evaluate and improve existing information systems or to design new systems. The trends of user study tend toward basic research from a n.0, pplied ones. Furthermore, not only the broad-based studies change with special setting up and subdivided studies, but also the scopes of user study vary social scientist, human scientist, and even common users from limited natural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earlier. The aims of this paper is to summarize continuously pointed problems of user studies and to survey the state of the arts by reviewing the trends of user studies. The major problems of user studies are terminology, conceptualization, and methodology. These terms are essential to this study, and very important to decide the research fields and to select a method of survey, respectively. And in order to predict the user needs, studies of 'information needs' are inevitable instead those of 'information demands' which principally studied till nowadays. On the other hand, to reduce the problems of user studies, it is needed more qualitative studies ever than before and cooperation with other areas, for example, behavioral 'science, psychology, communication science and so forth.

  • PDF

이용자 연구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on The Information User studies)

  • 한복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107-125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 of information user studies. The following findings are made. The literature on information user studies during 1980-1990 reveals 120 titles. The faculty members of university tend to publish their results in scientific journals and university publication while non-faculty members are more likely to represent their research papers in unpublished master thesis and bulletin. Subject distribution of research were classified into ten: user studies, material use studies, information needs and uses, user education, library use pattern, citation analysis, journal use, catalog use, information system, non-use study. Survey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survey reserch and literature research use jointly, experimental research and citation analysis were employed for information user studies.

  • PDF

이용자 행태 연구방법론상의 일반화 영역 유형에 관한 연구 (Typology of the Scope of Generalization in User Behavior Study)

  • 김양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435-455
    • /
    • 2006
  • 이용자행태에 관한 경험적 연구의 양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연구방법이나 방법론적인 시각에서 이러한 연구들을 분석한 시도는 많지 않았으며, 방법론상 이론적인 틀의 부재 또한 지적되어왔다. 이와 같은 측면을 반영하여 본 연구는 최근에 수행된 이용자행태 연구를 대상으로 연구결과 일반화, 즉 외적타당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최근 JASIST에 실린 이용자행태논문으로 하여 미국정보학계의 이 분야 연구특징 분석에 주안점을 두었다. 연구대상이 된 논문 별로 연구결과 일반화와 관련된 다양한 사례를 설명하고 각 사례별 유형을 식별한 후 이를 토대로 연구 방법론적 틀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열람목록의 이용자연구 (OPAC user studies)

  • 사공복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9-118
    • /
    • 1998
  • CLR-OPAC 연구와 그 이후에 수행된 주요 온라인 열람목록의 이용자연구 결과를 분석, 종합하였다. 각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적 특성, 이용자 교육, 이용자 인터페이스의 세가지 범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이용자 연구에 사용되는 각 데이터수집방법의 장단점과 각 방법을 통하여 입수할 수 있는 데이터의 유형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 PDF

국내 정보이용자연구 동향분석 (Analyzing the Trends of the Korean Information User Studies)

  • 이지연;김준섭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01-223
    • /
    • 2016
  • 정보이용자연구는 인간과 인문환경을 대상으로 삼는 연구 분야로서, 본질적으로 연구의 활용성과 확장성이 높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정보이용자연구에 대한 연구동향과 실태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아, 정보이용자연구의 가치 있는 연구 결과물들의 공유와 확산이 미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0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문헌정보학 학술지 5개에 게재된 5,392편의 논문들 중, 정보이용자연구를 주제로 또는 정보이용자연구를 방법론으로 활용하여 생산된 논문들을 전수조사한 다음, 주제 분류표 및 분류 원칙을 설계하여 분류하고, 국내 정보이용자연구의 생산성과 연구동향을 질적인 내용 분석을 가미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보이용자연구는 도서관 주제가 가장 많았다. 또한 정보이용자연구 결과물을 활용하여, 타 인접 학문과의 연계를 바탕으로 학계에의 또는 사회 제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Observable Behavior for Implicit User Modeling -A Framework and User Studies-

  • Kim, Jin-Mook;Oard, Douglas W.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3-189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 framework for observable behavior that can be used as a basis for user modeling, and it reports the results of a pair of user studies that examine the joint utility of two specific behaviors. User models can be constructed by hand, or they can be teamed automatically based on feedback provided by the user about the relevance of documents that they have examined. By observing user behavior, it is possible to obtain implicit feedback without requiring explicit relevance judgments. Four broad categories of potentially observable behavior are identified : examine, retain, reference, and annotate, and examples of specific behaviors within a category are further subdivided based on the natural scope of information objects being manipulated . segment object, or class. Previous studies using Internet discussion groups (USENET news) have shown reading time to be a useful source of implicit feedback for predicting a user's preferences. The experiments reported in this paper extend that work to academic and professional journal articles and abstracts,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ting behavior and reading time. Two user studies were conducted in which undergraduate students examined articles or abstracts from the telecommunications or pharmaceutical literature. The results showed that reading time can be used to predict the user's assessment of relevance, that the mean reading time for journal articles and technical abstracts is longer than has been reported for USENET news documents, and that printing events provide additional useful evidence about relevance beyond that which can be inferred from reading time. The paper concludes with a brief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reported results.

  • PDF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의 학제적 융합 가능성 도출 연구 (Exploration on Possibility of the Disciplinary Convergence of the User Studies and the Research in Practice)

  • 이지연;감미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9-155
    • /
    • 2018
  • 본 연구는 실증적 데이터의 검토 및 분석을 통해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의 특징을 발견하고,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의 융합 가능성을 논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용자연구의 개척 및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실용연구 분야 중 UX 연구를 선택하여 비교하였고, 이용자연구 영역과 UX 영역의 주제어 및 분야별 중복도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국내 이용자연구 3,370개 논문과 국내 UX 연구 2,413개 논문, 국외 이용자연구 3,875개 논문과 국외 UX 연구 2,515개 논문을 수집하였고, 단순 출현빈도를 포함한 계량정보학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맵핑 및 순위 선정, 시기별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의 이용자연구와 UX 연구 중복도는 국외보다 낮은 편이었고, 분야 간 협업의 활발성이 중복도와 연관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었다. 시기별 분석을 통해 이용자연구와 UX 연구간 중복되는 키워드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발견하였기에, 향후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 간의 융합이 활발히 일어날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