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Satisfaction Index Model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7초

어린이도서관 웹사이트 이용자 만족도 분석: D 어린이도서관 사례중심으로 (An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on a Case of D Children's Library Website)

  • 배영미;김희섭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33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어린이도서관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만족도를 분석하고 나아가 이용자 만족도, 충성도, 불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만족도 분석 방법은 김희섭과 박용재의 모형을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이용자 만족도는 크게 콘텐츠품질, 서비스품질, 그리고 시스템품질의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었다. 자료 수집은 D 어린이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 중 유효자료 130부를 SPSS 18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어린이도서관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충성도는 높았지만 이와는 반대로 불평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용자 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요인들로는 (1) 콘텐츠 차원에서는 유용성, 정확성, 이해용이성, 신뢰성, 최신성, (2) 서비스 차원에서는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공감성, 그리고 (3) 시스템 차원에서는 응답시간, 상호작용, 접근용이성, 사용용이성 등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사용 특성별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지수 분석 (An Analysis of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of Smart Phone by Usage Characteristics)

  • 홍정식;이상천;박종훈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56-64
    • /
    • 2020
  • This paper is a follow up to the previous study which reveals that smartphone users are divided into three sub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usage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these groups are called as 'general', 'entertainment', and 'work-assistant', taking into account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The 'general' is a group whose smartphone usage characteristics are not focused on a specific purpose, the 'entertainment' is focused on music, internet, SNS, picture, and e-banking, and the 'work-assistant' is on work, GPS, diary. Inter-relation betwee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the purchase determinants to the groups is investigated. In addition, Kano analysis of quality attributes is also performed, which includes quality type, satisfaction/dissatisfaction index, and PCSI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The analysis result are as follows. Firstly, inter-relation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differs by user group. 'Internet', 'Ease of use', and 'Performance' purchase determinants are evaluated as competitive determinants in 'work-assistant' user group. Secondly Kano quality typ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also differs by user group. 'Application' was classified as an attractive (A) types to 'entertainment' group and so on. 'Internet' 'Failure/Bug', 'Touch response rate' and 'Charging' are located in 'Nice' Region of S-PCSI Diagram and have to be considered as strategic quality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some helps in establishing a customer tailored quality strategy.

Kano 모델과 PCSI Index를 활용한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품질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for the Elderly in Public Libraries Using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PCSI Index) and Kano Model)

  • 엄재은;김성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15-14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품질의 품질 속성을 Kano 모델에 근거하여 분류하고 만족계수와 불만족계수를 도출해 서비스 품질의 우선 개선순위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의성군 A 도서관을 이용하는 노인이용자를 대상으로 LibQUAL+의 22개 문항으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Kano 모델에 기반하여 LibQUAL+의 3가지 영역으로 부문별 품질 요인들을 분류하고 Timko의 고객만족계수를 통해 각 서비스 품질마다 이용자가 느끼는 만족 지수와 불만족 지수를 산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잠재적 고객 만족개선지수(PCSI Index)를 구해 실제 요구사항이 충족되었을 때 이용자 만족이 얼마나 개선될 수 있는지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서비스 품질 속성은 매력적 품질 9개, 일원적 품질 7개, 무관심 품질 1개, 당연적 품질 5개로 분류되었다. 서비스 품질 개선 순위에서 1위는 '도서관 전자자료의 자유로운 교외접속', 2위는 '연구, 학습에 필요한 인쇄 및 전자저널 소장', 3위는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도서관 홈페이지'로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는 노인 서비스 제공 시 우선적으로 관리 및 개선해야 할 품질 요인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VMS 교통정보 제공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Model of Providing VMS Traffic Information)

  • 홍지연;이수범;연복모;임준범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1-19
    • /
    • 2009
  • 현재 여러 가지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첨단교통체계(ITS)가 활발히 도입되고 있으며, ITS의 한 분야인 교통정보제공서비스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도로이용자들에게 제공되는 교통정보가 얼마나 효용이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단순설문조사에 그치고 있고, 교통정보의 효용성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아 교통정보로 인해 발생되는 이용자 편익을 산정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통정보의 이용자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이용자 만족도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표적인 정보제공 매체인 가변전광표지(VMS)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용자만족도 모형을 구축한 결과 욕구충족성, 신뢰성, 이해성, 효율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 이해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VMS의 경우 정보에 제공되는 문자, 그림, 표현등이 얼마나 이용자들에게 쉽게 이해시키는지가 그정보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이용자의 신뢰성, 효율성, 욕구 충족성 순으로 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도가 나타났다.

  • PDF

사용자 리뷰 토픽분석을 활용한 모바일 쇼핑 앱 고객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stomer Satisfaction of Mobile Shopping Apps Using Topic Analysis of User Reviews)

  • 김광국;김용환;김자희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1-62
    • /
    • 2018
  • 현재 모바일 쇼핑 시장의 빠른 성장에도 불구하고 주요 사업자들은 심한 경쟁 속에서 지속적인 영업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쇼핑 시장은 과도한 경쟁보다는 고객만족도와 고객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들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기술수용 모형과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요인을 추출하고 있어 고객의 직접적인 요구를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쇼핑 앱 사용자들의 직접적인 요구사항을 도출하기 위하여 사용자 리뷰 토픽분석을 시행하여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이고 다양한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미국 고객만족도 지표 모형을 참조한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을 수립하여 도출된 요인들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중요도를 평가하고 고객만족도가 고객 불평과 고객충성도에 주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토픽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연계한 연구 프레임워크는 다른 모바일 서비스의 고객만족도 연구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로자산관리를 위한 포장종합평가지수의 속성과 변화과정의 모델링 (Internal Property and Stochastic Deterioration Modeling of Total Pavement Condition Index for Transportation Asset Management)

  • 한대석;도명식;김부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1-11
    • /
    • 2017
  • PURPOSES :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ment of a stochastic pavement deterioration forecasting model using National Highway Pavement Condition Index (NHPCI) to support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Using this model, the deterioration process regarding life expectancy, deterioration speed change, and reliability were estimated. METHODS : Eight years of Long-Term Pavement Performance (LTPP) data fused with traffic loads (Equivalent Single Axle Loads; ESAL) and structural capacity (Structural Number of Pavement; SNP) were used for the deterioration modeling. As an ideal stochastic model for asset management, Bayesian Markov multi-state exponential hazard model was introduced. RESULTS:The interval of NHPCI was empirically distributed from 8 to 2, and the estimation functions of individual condition indices (crack, rutting, and IRI) in conjunction with the NHPCI index were suggested. The derived deterioration curve shows that life expectancies for the preventive maintenance level was 8.34 years. The general life expectancy was 12.77 years and located in the statistical interval of 11.10-15.58 years at a 95.5% reliability level. CONCLUSIONS : This study originates and contributes to suggesting a simple way to develop a pavement deterioration model using the total condition index that considers road user satisfaction. A definition for level of service system and the corresponding life expectancies are useful for building long-term maintenance plan, especially in Life Cycle Cost Analysis (LCCA) work.

자연휴양림 이용자 만족도 모형연구 - 구미 옥성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 (Model Study on the Level of User Satisfaction for Recreational Forest - Focused on The OK-SUNG Recreational Forest -)

  • 강기래;이기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4호
    • /
    • pp.435-443
    • /
    • 2009
  • 자연휴양림은 산림의 공익적 기능 중 자연과 가장 가까이에서 휴식과 심신의 안정, 주변인들과 친목 도모를 위한 좋은 시설 중의 하나다. 국내 자연휴양림은 1988년을 시작으로 2006년 말 현재 123개소가 지정 고시될 정도로 급격한 증가가 있어 왔다. 이처럼 양적인 증가에 따른 이용자 중심의 만족에 대한 요구도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양적인 팽창에 비례하여 질적인 이용만족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본 연구는 2007년 11월에 신설 개장한 구미 옥성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개별 설문을 통하여 이용자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여러 속성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설문 분석은 물리적 분야, 심리적 분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통하여 만족도 모형을 구축하였다. 물리적 분야에서는 환경적 요인이 더 큰 만족도를, 심리적 분야에서는 내적휴양요인이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용자 만족도 모형을 통하여 향후 있을 자연휴양림의 시설 및 서비스 개선작업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운영자 및 이용자 모두에게 적절하고 수준 높은 휴양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Gamification in Fitness App Based on Kano Model

  • Jing Ren;Chang-wook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6권2호
    • /
    • pp.136-148
    • /
    • 2024
  • In recent years, public attention to health and wellness issues has increased. The integration of smart fitness hardware and innovative technologies have made the development of smart fitness a trend. The number of fitness applications in the market has surged, and demand for an optimal experience is increasingly high. This study selects Sweatcoin, Home Workout, Six Pack in 30 Days, and Fitness Coach & Diet as research subjects from the top ten global mobile health and fitness apps in 2022 based on download rankings. The research is based on eight gamification elements: motivation, challenge, achievement, relationships, sharing, reward, level, and competition, identified through preliminary studies. We distributed a total of 166 questionnaires to users and collected 163 valid responses for data analysis. The Kano Model was used to study the desires of fitness enthusiasts using fitness apps. To reduce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the Better-Worse Method was employed for satisfaction index analysis. Based on the final analysis, we propos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for the four fitness apps to better meet user needs and create a more attractive and efficient application experience.

SERVICE QUALITY EVALUATION INDICATORS FOR ASP-BASED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Lee, Seul-Ki;Yu, Jung-Ho;Kim, Chang-Du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453-1462
    • /
    • 2009
  • It is very important for performance of information system that we make an effort to raise user's satisfaction by continuously grasping user's requirement by evaluation of PMIS based on ASP service quality and reflecting this to information system. However, It is lack that developments of suitable evaluation index of PMIS based on ASP service quality. Hereupon,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evaluation indicators. First, The evaluation area is classified by form the foundation of D & M IS Success Model (2003);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Second, The detail evaluation item which include considerations which are gotten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PMIS based on ASP is grouping by form the foundation SERVQUAL which is a service quality evaluation tool proposed PZB(1988). It is suitable to evaluate PMIS based on ASP service quality in construction industry and able to evaluate various aspects.

  • PDF

공공공사 사후평가의 사용자 만족도 평가모델에 대한 기초연구 (A Foundation Study for User Satisfaction Degree's Estimated Model of Post-Evaluation in the public construction)

  • 김재우;조창연;신태홍;권순욱;김예상;진상윤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32-435
    • /
    • 2008
  • 건설공사의 품질을 확보하고 예산의 절감을 도모하는 등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평가지표와 그에 대한 투명성 확보가 필요하다. 건설부문을 포함한 공공사업의 경우 대규모 예산투입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 결과물로 인한 편익을 산정하기 어려울 경우가 많아 공공사업의 효율성과 효용성이 떨어진다고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500억 원 이상의 공공공사 중 사후평가를 실시하는 시설물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를 정량화하는 것을 범위로 하여, 공공공사 사후평가 시 체계적이고 정량적인 측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주민 호응도와 사용자 만족도 항목을 중심으로 하는 사후평가 측정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