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ser Mental Model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Developing the Design Guideline of Auditory User Interface for Domestic Appliances (가전제품의 청각 사용자 인터페이스(AUI) 설계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Lee, Ju-Hwan;Jeon, Myoung-Hoon;Ahn, Jeong-Hee;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1-8
    • /
    • 2006
  • 본 연구는 가전제품의 제품군과 그 기능들에 따라 차별화 가능한 인지적, 감성적 '청각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라인(Auditory User Interface Design Guideline)'을 마련하고, 가전제품의 작동기능 정보와 직관적으로 연합 가능한 청각신호(auditory signal)를 제작할 수 있는 지침을 제시하여 GUI 중심의 제품 설계에서 한 차원 확장되고 사용자의 다중감각적 특성이 적용된 디자인 방법을 실무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특히 AUI 에 대한 체계를 확립함으로써 브랜드 정체성(Brand Identity) 및 기업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다는 목적을 함께 고려하였다. 이러한 연구가 필요했던 이유는 가전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심적 모형(mental model)과 감성 측면에서의 접근에 대한 요구 때문인데, 이는 AUI 의 체계적 적용이 아닌 임의적 연결(mapping)으로 인한 버저(buzzer) 청각신호의 짜증(annoying) 발생이 빈번한 사례들에서 출발한다. 또한 GUI 의 변화와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AUI 의 업그레이드 필요성과 가전제품에서의 감성 마케팅 경향을 반영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와 함께 멀티미디어 환경의 급속한 확산으로 다중감각적 정보제시(multimodal display)가 요구되는 상황에 걸맞은 시도이다. 본 연구는 특정 가전제품이나 특정 기능이 지니고 있는 인지적, 감성적 차원의 속성을 청각신호(auditory signal)의 다양한 속성들로 유발하는 관계를 추출하고, 이를 형성하는 기본 메커니즘에 대한 경험적 자료를 제시하여, 가전제품의 AUI 디자인에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연구의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결과보다는 전체적인 계획과 진행과정의 절차를 소개하여 관련분야 연구 진행의 참조적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Process for User Needs-based Chatbot: Focusing on Design Thinking Methodology (사용자 니즈 기반의 챗봇 개발 프로세스: 디자인 사고방법론을 중심으로)

  • Kim, Museong;Seo, Bong-Goon;Park, Do-Hyung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5 no.3
    • /
    • pp.221-238
    • /
    • 2019
  • Recently, companies and public institutions have been actively introducing chatbot services in the field of customer counseling and response. The introduction of the chatbot service not only brings labor cost savings to companies and organizations, but also enables rapid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Advances in data analytic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driving the growth of these chatbot services. The current chatbot can understand users' questions and offer the most appropriate answers to questions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The advancement of chatbot core technologies such as NLP, NLU, and NLG has made it possible to understand words, understand paragraphs, understand meanings, and understand emotions. For this reason, the value of chatbots continues to rise. However, technology-oriented chatbots can be inconsistent with what users want inherently, so chatbots need to be addressed in the area of the user experience, not just in the area of technolog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presents the importance of the User Experience as well as the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cloud, and IoT technologies.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the importance of user experience have provided people with a variety of environments and changed lifestyles. This means that experiences in interactions with people, services(products) and the environment become very important. Therefore, it is time to develop a user needs-based services(products) that can provide new experiences and values to people. This study proposes a chatbot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user needs by applying the design thinking approach, a representative methodology in the field of user experience, to chatbot development. The process proposed in this study consists of four steps. The first step is 'setting up knowledge domain' to set up the chatbot's expertise. Accumulating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ed domain and deriving the insight is the second step, 'Knowledge accumulation and Insight identification'. The third step is 'Opportunity Development and Prototyping'. It is going to start full-scale development at this stage. Finally, the 'User Feedback' step is to receive feedback from users on the developed prototype. This creates a "user needs-based service (product)" that meets the process's objectives. Beginning with the fact gathering through user observation, Perform the process of abstraction to derive insights and explore opportunities. Next, it is expected to develop a chatbot that meets the user's needs through the process of materializing to structure the desired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function that fits the user's mental model.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actual construction examples for the domestic cosmetics market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process. The reason why it chose the domestic cosmetics market as its case is because it shows strong characteristics of users' experiences, so it can quickly understand responses from users. This study has a theoretical implication in that it proposed a new chatbot development process by incorporating the design thinking methodology into the chatbot development process. This resear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hatbot development research in that it focuses on user experience, not technology. It also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companies or institutions propose realistic methods that can be applied immediately. In particular, the process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accessed and utilized by anyone, since 'user needs-based chatbots' can be developed even if they are not experts.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studies are needed because only one field of study was conducted. In addition to the cosmetics market,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various fields in which the user experience appears, such as the smart phone and the automotive market. Through this, it will be able to be reborn as a general process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chatbots centered on user experience, not technology centered'.

Developing the Design Guideline of Auditory User Interface for Digital Appliances (가전제품의 청각 사용자 인터페이스(AUI)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사례)

  • Lee, Ju-Hwan;Jeon, Myoung-Hoon;Han, Kwang-Hee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3
    • /
    • pp.307-320
    • /
    • 2007
  •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provide a distinctive cognitive, emotional 'Auditory User Interface (AUI) Design Guideline' according to home appliance groups and their functions. It is an effort to apply a new design method to practical affairs to overcome the limit of GUI centered appliance design and reflect user multimodal properties by presenting a guideline possible to generate auditory signals intuitively associable with the operational functions. The reason why this study is required is because of frequent instances given rise to annoyance as not systematic application of AUI, but arbitrary mapping. This study tried to provide a useful guideline of AUI in home appliances by extracting the relations with cognitive, emotional properties of a certain device or function induced by several properties of auditory signal and showing the empirical data on the basic mechanism of such relations.

  • PDF

Developing User Interface Metaphors for Driver Information Systems (운전자 정보시스템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타포 개발)

  • Park, Yong-S.;Han, Sung-H.;Park, Won-Kyu;Cho, Young-Seok
    •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 /
    • v.28 no.2
    • /
    • pp.57-67
    • /
    • 2009
  • This study proposed a practical metaphor development process that consisted of three steps: 1) identifying major functions, 2) developing metaphor candidates, and 3) evaluating appropriateness of the candidates. In the first step, a total of 27 functions might be implemented in a driver information system (DIS) in the near future. Then, three metaphor candidates were selected from existing metaphors, which were reported to be more practical than others by previous studies. Finally, the candidates were evaluated on their appropriateness for driver information systems by using a quick and simple survey. As a result, two metaphors (a PC and a secretary) were identified as the most appropriate ones. The two metaphors can be used to design a variety of interfaces and interactions for driver information system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process proposed i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developing metaphors for emerging devices with a variety of functions (e.g. PMPs, MP3s, and electronic dictionaries) as well as driver information systems.

Making Thoughts Real - a Machine Learning Approach for Brain-Computer Interface Systems

  • Tengis Tserendondog;Uurstaikh Luvsansambuu;Munkhbayar Bat-Erdende;Batmunkh Amar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5 no.2
    • /
    • pp.124-132
    • /
    • 2023
  • In this paper, we present a simple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statistical features and demonstrate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brain-computer interface (BCI) based light on/off control system. This research shows study and development of light on/off control system based on BCI technology, which allows the users to control switching a lamp using electroencephalogram (EEG) signals. The logistic regression algorithm is used for classification of the EEG signal to convert it into light on, light off control commands. Training data were collected using 14-channel BCI system which records the brain signals of participants watching a screen with flickering lights and saves the data into .csv file for future analysis. After extracting a number of features from the data and performing classification using logistic regression, we created commands to switch on a physical lamp and tested it in a real environment. Logistic regression allowed us to quite accurately classify the EEG signals based on the user's mental state and we were able to classify the EEG signals with 82.5% accuracy, producing reliable commands for turning on and off the light.

A Study on User's Mental Model for Services and User Interface of Interactive TV (인터랙티브 TV의 서비스 및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멘탈모델에 관한 연구)

  • Cheon, Jeong-Eun;Han, Ah-reum;Yeoun, Myeong-He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74-78
    • /
    • 2009
  • 인터랙티브 TV 시장이 활성화됨에 따라 DCATV와 IPTV의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사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TV의 서비스 및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멘탈모델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조사를 통해 인터랙티브 TV의 2가지 유형인 DCATV와 IPTV의 기술적 차이점과 서비스 동향을 파악하였다. 둘째, 헬로우TV, C&M, 브로드앤TV, 쿡TV, 마이 엘지TV 등 인터랙티브 TV의 사례들을 비교분석 하였다. 셋째, 헬로우TV를 중심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종합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DCATV와 IPTV의 서비스 및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멘탈모델이 다르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케이블TV채널'과 요청에 따라 다운로드 되는 'VOD'라는 두 가지 서비스는 인터랙션 방식과 제공 단위에 있어서 상이하며, 따라서 개념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IPTV와 달리 두 가지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DCATV에서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2가지의 멘탈모델을 병립시키지 못해 인지적 혼란을 느꼈고 VOD서비스에 대해서도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다. 이는 VOD 명칭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생각되며 VOD명칭에 대한 개선이 필요했다. 이에 새롭게 변화된 쿡TV에서는 VOD란 명칭을 TV다시보기로 개선함으로써 명칭 개선이 필요함을 증명했다. 이러한 발견 점은 차후 인터랙티브 TV의 인터페이스 개발시 컨셉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teractivity in the Interactive Space I ; Focus on the Analysis of Intersubject & Interaction Factors (상호작용 공간의 상호작용성 영향요인 I ; 인터서브젝트(Intersubject)와 인터랙션(Interaction) 요인의 세부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 Lee, Jeo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5
    • /
    • pp.152-164
    • /
    • 2010
  • Interactive space became one of the major design paradigms. For elevating the interactive effect, we need user-centered design methodology which uses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teractivity. This research is the first one of three linked- studies and categorizes the three main factors on the interactivity-Interface /Intersubject/Interaction. 'Interface' is the field for the interactivity. It will be the main subject for the second study. 'Intersubject' is the performer for the interactivity. Its specific attributes are analyzed in terms of user's needs for interactivity and six subdivisions are analyzed-functional & artistic need /external & subconscious need/info-communication & sympathy need. 'Interaction' is the performance for the interactivity. Its specific attributes are discussed in terms of behavioral interactive process and again sixsub-steps are analyzed-junction/immersion/ mental model/action/transformation/neo-experience.

A Study of One-to-One Custom Application for Breast Cancer Patient -Focusing on Service Design Methods- (유방암 환자를 위한 1:1 맞춤형 애플리케이션 연구 -서비스 디자인 방법을 중심으로-)

  • Chae, Min-Young;Kim, Seung-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7
    • /
    • pp.367-373
    • /
    • 2017
  • The study aims to suggests mobile application service that helps to reduce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 after surgery for breast cancer patients constantly increasing. At first, I analyze literature research to understand the breast cancer and similar services for achieving study purposes. After I finally design a mobile application that offers to customed one-to-one specialist coaching service focused on post-treatment management by using a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model. In detail, first, I analyze the current program and comprehend user needs through interviews with the person such as breast patient, protector, nurse, salesperson in cancer center. Second, I specify the entire scenario, concept and keyword based on the persona and the customer journey map representing user. Third, I propose the mobile application for the ultimate goal by producing prototype to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specific functional descriptions. I hope this service will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Resolving the Game Design Discrepancy between the Game Designer and the Gamer by Employing a Knowledge Representation Model (지식표상모델을 활용한 개발자 및 사용자의 게임기획에 대한 불만족 해소방안)

  • Park, Yong-Hyun;Kyung, Byung-Pyo;Ryu, Seuc-Ho;Lee, Dong-Lyeor;Lee, Wan-B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3
    • /
    • pp.127-136
    • /
    • 2009
  • According to 2008 game white paper, it is reported that both the game developer's and the gamer's dissatisfactions about a game design have been increased recently. It is required to enhance the style of the development work flow and the communication manners to reduce such dissatisfactions.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which can be used not only to simplify the development work flow but also to provide a satisfactory communication skill between the developer and the users. By speculating the mental recognition model, a knowledge representation model based on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has been devised. Our approach can be successfully employed to conceive the user feedback and to articulate the original game design elements, thus provides a more concrete and flexible design process.

A Comparative Study of Two Paradigms in Information Retrieval: Centering on Newer Perspectives on Users (정보검색에 있어서 두 패러다임의 비교분석 : 이용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중심으로)

  • Cho Myung-D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4
    • /
    • pp.333-369
    • /
    • 1993
  • 정보검색 시스템을 대하는 대부분의 이용자의 대답은 '이용하기에 어렵다'라는 것이다. 기계적인 정보검색을 기본 철학으로 하는 기존의 matching paradigm은 정보 곡체를 여기 저기 내용을 옮길 수 있는 물건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기존의 정보시스템은 이용자가 시스템을 구성한 사람의 의도 (즉, indexing, cataloguing rule)를 완전히 이해한다면, 즉 완전하게 질문식(query)을 작성한다면, 효과적인 검색을 할 수 있는 그런 시스템이다. 그러나 어느 이용자가 그 복잡한 시스템을 이해하고 정보검색을 할 수 있겠는가? 한마디로 시스템을 설계한 사람의 의도로 이용자가 적응해서 검색을 한다는 것은 아주 힘든 일이다. 그러나 우리가 이용자에 대한 인식을 다시 한다면 보다 나은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고 본다. 우리 인간은 아주 창조적이어서 자기가 처한 상황에서 이치에 맞게끔 자기 나름대로의 행동을 할 수 있다(sense-making approach). 이 사실을 인식한다면, 왜 이용자들의 행동양식에 시스템 설계자가 적응을 못하는 것인가? 하고 의문을 던질 수 있다. 앞으로의 시스템이 이용자들의 자연스러운 행동 패턴에 맞게 끔 설계된다면 기존의 시스템과 함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한 시스템이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도서관 및 정보학 연구에 있어서 기존의 분류. 목록에 대한 연구와 이용자체에 대한연구(예를 들면, 몇 시에 이용자가 많은가? 어떤 종류의 책을 어떤 계충에서 많이 보는가? 도서 및 잡지가 어떻게 양적으로 성장해 왔는가? 등등의 use study)와 함께 여기서 제시한 제3의 요소인 이용자의 인식(cognition)을 시스템설계에 반드시 도입을 해야만 한다고 본다(user-centric approach). 즉 이용자를 중간 중간에서 도울 수 있는 facilitator가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용자의 다양한 패턴의 정보요구(information needs)에 부응할 수 있고, 질문식(query)을 잘 만들 수 없는 이용자를 도울 수 있고(ASK hypothesis: Anomolous State of Knowledge), 어떤 질문식 없이도 자유스럽게 Browsing할 수 있는(예를 들면 hypertext)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눈에 보이는 이용자의 행동패턴(external behavior)도 중요하지만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는 이용자의 심리상태를 이해한다면 훨씬 나은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이용자가 '왜?' '어떤 상황에서,' '어떤 목적으로,' '어떻게,' 정보를 검색하는지에 대해서 새로운 관심을 들려서 이용자들이 얼마나 우리 시스템 설계자들의 의도에 미치지 못한다는 사실을 인식 해야한다. 이 분야의 연구를 위해서는 새로운 paradigm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단지 'user-study'만으로는 부족하며 새로운 시각으로 이용자를 연구해야 한다. 가령 새롭게 설치된 computer-assisted system에서 이용자들이 어떻게, 그리핀 어떤 분야에서 왜 그렇게 오류 (error)를 범하는지 분석한다면 앞으로의 computer 시스템 선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실제로 많은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면 시스템 설계자가 가졌던 이용자들이 이러 이러한 방식으로 정보검색을 할 것이라는 예측과(즉, conceptual model) 실제 이용자들이 정보검색을 할 때 일어나는 행동패턴 사이에는(즉, mental model) 상당한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이 차이점을 줄이는 것이 시스템 설계자의 의무라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Computer에 대한 새로운 지식과 함께 이용자들의 인식을 연구할 수 있는, 철학적이고 방법론적인 연구를 계속하나가면서, 이용자들의 행동패턴을 어떻게 시스템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지를 연구해야 한다. 중요하게 인식해야할 사실은 구 Paradigm을 완전히 무시하라는 것은 아니고 단지 이용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추가하자는 것이다. 그것이 진정한 User Study가 될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하며, 컴퓨터와 이용자 사이의 '원활한 의사교환'이 필수불가결 한 지금 우리 학문이 가야 할 한 연구분야이다. (Human Interaction with Comput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