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Generated Contents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31초

Realization of a Motion-based Interactive System Using Extraction of Real-time Search Terms

  • Lim, Sooyeon;Lee, Dong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2권2호
    • /
    • pp.31-3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alize interactive art based on user's motions information using real time internet search terms. For this purpose, real-time search terms and related news information were extracted from three domestic and foreign portal sites, and the extracted information was used to generate content for interaction with the user. For interaction between the generated content and the user, a motion-based interactive technology that optimizes the intentions and experiences of the user was developed. A motion-based interactive system can be used to develop an immersive interface that induces user interest.

인터넷 UCC 기반 디지털콘텐츠 서비스의 소비자 참여와 확산에 관한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Consumer's Participation and Diffusion of Internet UCC-based on Digital Contents Services)

  • 김연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3호
    • /
    • pp.201-212
    • /
    • 2009
  •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investigate patterns and diffusion of consumer participation on Internet UCC based on digital contents services. A sample survey of internet users was conducted,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629 respondents and consumer streaming data were analyzed. Some of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follows. Research can find out that patterns of user participation in UCC. The major genres of UCC are like daily lives of individuals, humors, parodies of star entertainers and types of contents like still pictures or images, texts are relatively highly generated comparing with multimedia UCC. Although participants have been being increased in UCC recently, the consumers as prosumers who are classified in contents generating group are ten percents at the most. In generating community-based UCC such as posting answers of questions and activities in Blog, prosumers who are in contents making group(recreational group) show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simple participants(consuming only).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fun & entertainment, arousal, self-expression, user friendly web interface variable commonly posited a significant effect in multimedia UCC Services between two groups. Information sharing and perceived usefulness posited a significant effect in recreational group.

유비쿼터스 비즈니스를 위한 참여자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속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ttribute of User Generated Content in Ubiquitous Technology)

  • 이홍주;장정주;안중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87-295
    • /
    • 2009
  • 최근 정보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발맞추어, 기업에서는 새로운 수익모델을 찾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최근에 문화와 정보기술을 융합한 디지털 콘텐츠가 많은 수익을 창출하게 되면서, 다수의 기업들이 UGC(User Generated Contents)와 같은 참여자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제시된 UGC의 속성과 유비쿼터스 정보기술로 구현할 수 있는 비즈니스를 분석하여, 유비쿼터스 정보기술 환경에서 UGC의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위한 속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문헌연구와 전문가 분석방법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시한 UGC 속성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향후, 기업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참여자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비즈니스를 성공적으로 개발할 수 있을 것 이다.

  • PDF

MMORPG에서의 사회적 네트워크 기반 사용자 스토리텔링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마비노기"를 중심으로 - (User Generated Storytelling based on Social Network in MMORPG - " World of Warcraft", "Mabinogi" -)

  • 송미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87-196
    • /
    • 2009
  • 본고는 MMORPG "월드오브워크래프트" 와 "마비노기"에서 나타나고 있는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 이하 ‘SN’) 기반 사용자스토리텔링에 대한 유형 및 생성 구조에 대한 연구이며, SN을 기반으로 인터넷 이슈로 자리해 온 사회적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 이하 ‘SNS’)에 대한 논의에서부터 시작된다. SNS는 게임 콘텐츠를 즐기는 플레이어들에 의해서 개발자 스토리텔링을 넘어 사용자 스토리텔링이 구현되는데 일조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SN지향 게임의 요소와 이들이 지닌 스토리텔링의 열린 가능성을 사회심리학을 바탕으로 한 커뮤니케이션이론을 이용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본고는 웹에서의 SNS가 중요한 이슈로써 게임 설계 및 사용자 스토리텔링까지도 꾸준히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에서 MMORPG의 사용자 스토리텔링을 통해 게임의 SN지향 게임 요소를 살피는데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사용자를 위한 향상된 콘텐츠 및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을 위한 RCBAC 기반 분류 방법 (A Categorization Method based on RCBAC for Enhanced Contents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 for User)

  • 조은애;문창주;박대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01-110
    • /
    • 2012
  • 최근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는 모바일 디바이스 기능과 보급의 향상과 맞물려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가입도 많아지고 있고, 서비스 사용도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들의 수요에 비해서 각각의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벤더들은 데이터 소유자가 다양한 루트로부터 생성한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과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여러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콘텐츠들을 사용자가 정책으로 정한 관계에 따라 접근할 수 있도록 할 경우, 정책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부적절하게 노출될 수 있고 이는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것이 자명한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들의 통합 관리 방안은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들이 사용자로부터 생성된 콘텐츠를 공유할 때, 이에 사용되는 정책을 암호화한 상태에서 제3자에 의해 분류하도록 하여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동시에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분류하여 접근 제어 권한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여러 장치들로부터 생성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하여 RCBAC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정책 공유 시 관계들 간의 유사도를 암호화 한 상태에서 측정하여 공격자로부터 사용자 정책 및 컨탠츠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탁아기관 급식을 위한 식단작성 전산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omputer-based Menu Planning Program for Day-Care Centers)

  • 곽동경;이혜상;김숙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45-252
    • /
    • 1992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computer-based menu planning program for day-care centers maximizing food preference score among children and satisfying such constraints as expense, nutrients, and season. Children's preference about 142 menu items was surveyed among 382 children of day-care centers. A 16-bit personal computer compatible with IBM-PC/AT was used. The data base files were created by dBASE III Plus, and processing programs were created by using FORTRAN language. Children preferred bread or a la carte menu items to cooked rice in main dish category. Deep fat fried or stir-fried menu items were more preferred than kimchi or cooked vegetables in side dish category. Preference scores for menu items were influenced by cooking methods or main ingredients. The contents of the computerized system show that when the program runs, the user should type inputs of cycle, season, and menu pattern, then the computer lists a series of menu satisfying the criteria of constraints. The user can examine and select a set of menu from the menu lists. Menus are generated seasonally. Menu lists are generated weekly and monthly basis with the contents of menu items, preference scores and price. Nutrient reports are also generated on a weekly and monthly basis with the contents of calories, 12 nutrients and price. Recipes for each menu items are also generated.

  • PDF

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콘텐츠 변환 시스템 연구 (Mobile Contents Transformation System Research for Personalization Service)

  • 배종환;조영희;이정재;김남진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2호
    • /
    • pp.119-128
    • /
    • 2011
  • 최근 사용자 정보와 주변 환경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센서의 기술과 휴대 디바이스의 성능이 매우 발달되어 왔다. 이러한 기술 발달로 인해 사용자는 매우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휴대한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가 제한적이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디바이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주변의 센서를 통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특정 콘텐츠를 선정하고, 선정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휴대한 디바이스 특성에 맞게 변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Semantic-based Query Generation For Information Retrieval

  • Shin Seung-Eun;Seo Young-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권2호
    • /
    • pp.39-43
    • /
    • 2005
  • In this paper, we describe a generation mechanism of semantic-based queries for high accuracy information retrieval and question answering. It is difficult to offer the correct retrieval result because general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do not analyze the semantic of user's natural language question. We analyze user's question semantically and extract semantic features, and we .generate semantic-based queries using them. These queries are generated using the se-mantic-based question analysis grammar and the query generation rule. They are represented as semantic features and grammatical morphemes that consider semantic and syntactic structure of user's questions. We evaluated our mechanism using 100 questions whose answer type is a person in the TREC-9 corpus and Web. There was a 0.28 improvement in the precision at 10 documents when semantic-based queries were used for information retrieval.

  • PDF

UCC 비디오 서비스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신뢰도 도출 (Evaluating the User Reputation through Social Network on UCC Video Services)

  • 조현철;한요섭;김래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273-277
    • /
    • 2009
  • 최근 들어 사용자들이 직접 저작하고 이를 공유하는 UCC(User Created Content)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방대한 UCC를 사용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질이 낮은 UCC를 필터링하는 알고리즘이나 UCC의 검색 또는 추천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UCC 컨텐츠를 제공할 때 컨텐츠의 품질을 추정할 수 있는 요소로 사용자 신뢰도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UCC 컨텐츠 제공 서비스 상에서 사용자 간의 소셜활동을 기반으로 소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사용자 신뢰도를 계산하기 위한 소셜 활동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신뢰도를 계산하며, 다양한 소셜 정보 요소를 적용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영상미디어콘텐츠에 대한 실감 서비스 모델 (Actual Feeling Service Model for Video-Media Contents)

  • 이지혜;윤용익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53-459
    • /
    • 2009
  • 최근 인터넷 사용자 사이에서 미디어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웹상에는 방대한 양의 다양한 미디어콘텐츠가 유통되고 있다. 특히 이들 미디어콘텐츠 사이에서 인터넷 사용자들의 눈과 귀를 매료시키는 형태의 콘텐츠로서 영상미디어콘텐츠가 각광받고 있다. 또한 웹 2.0 시대에 발맞추어 인터넷 사용자들은 전문가들에 의해 제작된 콘텐츠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자신이 제작한 콘텐츠를 서로 개방하고 공유하는 새로운 형태의 유통 흐름을 창출하였다. 웹상에 유통되는 영상미디어콘텐츠는 전문가에 의해 만들어진 전문적인 콘텐츠도 있지만, 대부분 웹 2.0 시대의 핵심 이슈인 UCC(User Create Contents)의 형태로 제작된 비전문적인 콘텐츠가 주를 이룬다. 하지만 비전문가인 일반 인터넷 사용자들에 의해 제작된 콘텐츠는 촬영된 영상 정보만을 제공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웹 2.0 시대의 소비자로서의 인터넷 사용자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한 영상이 아니라 다양한 효과를 추가한 실감 있는 영상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단순 정보만으로 표현된 미디어 콘텐츠를 온톨로지 개념을 기반으로 주제와 의미를 파악하여 미디어콘텐츠에 적합한 실감을 제공할 수 있는 실감서비스모델(AF-VS : Actual Feeling Video Service)의 구성방법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