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ser Generated Storytelling based on Social Network in MMORPG - " World of Warcraft", "Mabinogi" -

MMORPG에서의 사회적 네트워크 기반 사용자 스토리텔링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마비노기"를 중심으로 -

  • 송미선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 Published : 2009.01.28

Abstract

This paper studied out the prototype and the structure of UGS(User Generated Storytelling) based on social network in "World Of Warcraf" and "Mabinogi" as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 and started with issues based on SNS(Social Network Service) in Internet. SNS has been supported by storytelling which is made by users to go through the contents in game space as well as by developers. This study drew elements toward social network in game and its new possibility as storytelling applied by communication theories based on social psychology. Today SNS is a major topic in web environment and this issue has influenced the game design and UGC. Under this situation,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because it proves that the factors toward social network in MMORPG is analyzed by UGCs.

본고는 MMORPG "월드오브워크래프트" 와 "마비노기"에서 나타나고 있는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 이하 ‘SN’) 기반 사용자스토리텔링에 대한 유형 및 생성 구조에 대한 연구이며, SN을 기반으로 인터넷 이슈로 자리해 온 사회적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 이하 ‘SNS’)에 대한 논의에서부터 시작된다. SNS는 게임 콘텐츠를 즐기는 플레이어들에 의해서 개발자 스토리텔링을 넘어 사용자 스토리텔링이 구현되는데 일조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SN지향 게임의 요소와 이들이 지닌 스토리텔링의 열린 가능성을 사회심리학을 바탕으로 한 커뮤니케이션이론을 이용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본고는 웹에서의 SNS가 중요한 이슈로써 게임 설계 및 사용자 스토리텔링까지도 꾸준히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에서 MMORPG의 사용자 스토리텔링을 통해 게임의 SN지향 게임 요소를 살피는데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옥순, ""은유와 환유: 언술 은유와 기형도의 시", 문학과 지성사, 기호학연구, 제5집, p.162, 1999.
  2. J. Rosemery, 서강여성문학연구회, 환상성-전복의 문학, 문학동네, 2007.
  3. 박기순, 대인커뮤니케이션, 세영사, 1998.
  4. Dijk, Jan van, 배현석, 네트워크 사회,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5. 전경란, 디지털 게임의 미학:온라인게임스토리텔링, 살림, 2005.
  6. 오쿠노다쿠지, 허안나, 제3의 사회가 온다, 한국학술정보(주), 2000.
  7. 오창호, 사회심리와 인간소외, 푸른사상, 2005.
  8. Hewitt, P. John, 윤인진, 자아와 사회, 학지사, 2001.
  9. 송호근, 김우식, 이재열, 한국사회의 변동과 연결망,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10. 제시카 멀리건, 브리짓 패트로브스키, 송기범, 온라인 게임 기획, 이렇게 한다, 제우미디어, 2003.
  11. 이경연, "가상커뮤니티의 사회적 기반요소가 커뮤니티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9.
  12. 김윤배,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기호학적 생성구조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디자인 공예학과 시각디자인전공 박사학위논문, p.64, 2003.
  13. 류철균, "서사계열체이론", 디지털스토리텔링연구, 디지털스토리텔링학회, 살림, pp.21-30, 2006.
  14. 이동은, 윤현정, "디지털게임의 공간성연구", 디지털스토리텔링연구, 디지털스토리텔링학회, 살림, 2007.
  15. 이소영, "온라인 커뮤니티의 사회적 지지가 커뮤니티 공동체 의식과 동일시 및 웹사이트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p.10, 2005.
  16. 임장훈, "온라인 가상공간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방안", 한국콘텐츠학회, 2007.
  17. B. Rebecca, Second Person;Structure and Meaning in Role-Playing Game Design, The MIT Press, 2007.
  18. B. Richard, Game Design Reade: Hearts, Clubs, Diamonds, Spades:Players Who Suit MUDs, The MIT Press, 2006.
  19. P. Celia, First Person;Towards a Game Theory of Game, The MIT Press, 2004.
  20. W. Jill, Second Person;A Natwork of Quest in World of Warcraft, The MIT Press, 2007.
  21. H. Reingold, A Slice of Life in My Virtual Community, In Harasim.l.m(Ed), Global networks, Cambridge, Massachusetts:MIT Press, 1993.
  22. A. R. Stone, Will the real body please stand up-;Boundary stories about virtual cultures, in M. Benedikt(Ed.), Cyberspace:First steps, Cambridge, Massachusetts:MIT Press, 1991.
  23. http://www.playforum.net/mabinogi/gallery .comm-action=read&iid=10130002&pageNo=0&n um=4605&field=title&query=%EC%8B%9C%EC %B2%B4%EB%86%80%EC%9D%B4
  24.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58&query=view&p=1&category=&sort=PID&orderby=&where=&name=subject&subject=&content=&keyword=%B1%D7%B6%FB

Cited by

  1. Exploratory Approach of Social Gameplay Behavior Pattern : Case Study of World of Warcrafts vol.13, pp.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