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Experience-based Design

검색결과 481건 처리시간 0.029초

전시콘텐츠 적용 환경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의미 고찰 (A Study on the meaning of Database follow the application of Visual Contents)

  • 김민수;윤세균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7-26
    • /
    • 2005
  • 지금의 정보환경에서 전시콘텐츠는 미디어의 작동 논리 하에서 생산되고 그 빛을 발한다. 그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고 문화 산출물을 제작하는 일은 군화 생산자들에게 기존에 없던 표출형태를 바꿀 수 있는 환경을 이해하는 일이 선행된다고 볼 수 있다. 이것 중에 데이터 구조와 매체 안에서 작동되는 데이터베이스 논리를 살펴보는 것은 전시콘텐츠의 형식과 내용을 구성하는데도 많은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정보기술의 통합적인 환경에서 다중화 된 플랫폼에 유용적인 문화 산출물을 투입 시켜야 하는 데도 중요하다. 지금의 전시물들은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의 작동논리를 안고 그 표면 디자인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정보는 미학적으로 표현되고 하나의 품(品)으로 제시되며 유희적 환경을 촉진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것은 웹이나 게임의 형태로 제공되기도 하고, 손에 지닐 수 있는 단말기나 상이한 컴퓨터 환경을 언급하면서 다양한 미디어 환경을 수렴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비선형적 관점과 기표가 과하게 작용하는 환경으로 이동하는 중에 미디어의 움직이는 논리를 파악해야 하는 것은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 작동논리를 바탕으로 다매체 사회에서 정보능력을 갖춘 매체인간으로서의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자연적 환경과는 좀 다르게 전개되는 가상의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들에게 미증유의 경험을 증대시켜 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접해보지 못한 기표 우위의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것은 선조성에 기반 한 감각을 바탕으로 새로운 환경에 따른 서사(narrative)를 제공할 것이다.

  • PDF

공익성게임의 재미요소가 유저의 게임체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등산행동(燈山行动)>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Influence of The Interesting Elements of Public Welfare Games on the User's Game Experience - Focused on 'Mountaineering LightsUp')

  • 전완신;경병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323-32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사회의 소외계층 돕기를 주제로 한 공익성게임인 <등산 행동(燈山行动)>을 연구 사례로 삼았으며, 이 게임을 이용하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저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또한 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AMOS를 활용하여 <등산 행동(燈山行动)>의 게임의 재미 요소가 유저들의 게임 체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게임의 재미 요소 즉 목표, 장애물, 소속감, 분위기, 스토리성, 정보, 유저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유저들의 게임 체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유저의 게임 체험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재미 요소는 유저 간의 커뮤니케이션이었으며, 영향을 가장 적게 미치는 것은 스토리성이었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게임 플레이의 획일성, 높은 난이도, 보급률 부족, 게임 피드백 부족, 스토리 부족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 역시 제안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 범위를 확대하고 연구 내용을 보완해 앞으로의 공익성 게임의 디자인과 발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대화형 이러닝 콘텐츠에 관한 사용자 경험(UX) 질적 평가 (User Experience(UX) Qualitative Evaluation of Dialogue e-learning contents)

  • 이영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623-631
    • /
    • 2020
  • 코로나 19라는 전세계적 위기를 맞이하여 이러닝은 '뉴노멀(new normal)'이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표준과 일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일방향적, 교수자 중심적 독백형 이러닝 콘텐츠 분석 평가하였다. 총 20명의 성인 학습자가 참여하였고, 1:1 인터뷰를 통한 사용자 경험 평가를 진행하였고, 질적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용자 경험 평가 결과, 대화형 이러닝은 다양한 의견에 공감할 수 있고 새로운 이러닝 형태로 신선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독백형과 대화형 이러닝 콘텐츠에 관한 개인적 선호에 관해 55%의 학습자가 대화형을 선호한다고 답하였고, 실제 경험을 공유하며 참신하다고 답하였다. 한편, 내용 이해 효과성측면에서 선호도는 60% 학습자가 독백형을 선택하였고, 충분한 개념 설명과 정확한 지식 전달을 지적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화형 이러닝 콘텐츠 설계와 개발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틱톡(Tik Tok) 이용자의 연애유형이 연애 동영상의 이용 동기,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ik Tok Users' Love Types on Love Videos' Motivation and User Satisfaction)

  • 조맹;양천;이상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703-720
    • /
    • 2022
  • Based on the love styles theory used in psychology, this paper classifies users(Passionate Love, Game-playing Love, Friendship Love, Practical Love, Possessive Love, Altruistic Love) and investigates satisfaction with the motivation for using TikTok love videos(Entertainment, Social Relationship, Love skills-learning, Self-verification, Problem-solving) according to the theory of use and satisfaction. First, 414 users were selected to conduct TikTok surveys to collect data. The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among the six love types, game-playing type and possessive type have a positive (+) impact on entertainment motivation and love skill-learning motivation. Game-playing type also have a positive (+) impact on social relationship motivation and self-verification motivation. In addition, altruistic type and possessive type are also factors to strengthen the motivation of self-verification. The altruistic type, possessive type and practical type will improve the problem-solving motivation. Finally, through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game-playing love type, entertainment motivation, love skill-learning motivation and self-verification motivation can improve user satisfaction. The above results enrich the research of user classification as well as providing inspira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communication efficiency of TikTok's video and enhancing user experience.

사용자경험 차이를 고려한 TV(디지털미디어) 서비스 초기메뉴의 구조 최적화 연구 - 시선추적 실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the Digital Media Service Menu Structure based on the Differentiations of User Experience with special reference to Eye Tracking Test)

  • 이상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45-452
    • /
    • 2010
  • 본 연구는 IPTV와 디지털케이블 등의 미디어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들에게 메뉴 구조의 개선을 위한 실무적이고 이론적인 바탕이 될 수 있는 시선추적 실험에 대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디지털미디어 서비스가 출시된 이후 사업자들은 다양한 형태의 메뉴 구조를 선보이고 있는데, 연구 결과 실제 실시간 방송 메뉴와 같은 초기 상위에 위치하는 메뉴의 경우는 수직적 메뉴 구조에서 사용자의 시선이동이 빠르게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반면 VOD서비스 등과 같이 중간 이하에 위치하는 메뉴의 경우는 상하 시선운동 보다는 좌우 시선운동이 빠르게 반응하였는데, 수평적인 메뉴 구조에서 빠른 시선이동을 통한 서비스 탐색이 이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상기와 같은 탐색적인 실험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보다 정교한 연구모형과 실험대상을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할 경우 실무적인 공헌도가 매우 높은 연구로 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연구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기업들과의 논의를 통해 본고의 공헌점을 높이고자 하였다.

저드 파트너쉽의 대규모 복합상업공간에서 나타나는 공간구성과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공간구문론에 의한 공간구조 분석을 통해서 -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in Mass-Complex Commercial Space by Jerde Partnership's - Through Analyzing the Space Structure by Space Syntax -)

  • 김윤정;장소은;박찬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188-196
    • /
    • 2010
  • The Commercial space are changed gradually large scalized and complexed to introduce different culture exchanges and experience. However, the mass-complex commercial space are limited as of their complexed space composition or degree of space depth, which may become factors causing people to get tired easily. Thus, having a design strategy is important to create economical effectivenes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for the people to stay longer and do their consumption activities through more experiences and social interchanges. Recently, Jerde Partnership's who designed many complex commercial spaces made a commercial success by their unique design strategy to setup a new space and lead the interaction between space and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ed on Jerd's design concept to analyze Jerd Partnership's design strategy and space related structure to propose their space construction and design method for mass-complex commercial spa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Jerde Partnership's causes the abundant space experience of the user through mass and space constitution to have a theme and a story. (2)They builds an excursion type line of flow system with an organic curve, and a non-daily experience by the change of the space scale and the application of various programs is enabled and guides the stay for the long time. (3)They builds the doorway of various courses and a circulation system through the open space and controls depth of the space. In addition, various events are performed in the center of such a circulation system, and this event makes a unique place.

공동주택의 코어계획기법에 대한 연구 -유럽의 사례를 중심으로(II) -코어의 계획기법에 대한 사례연구 - (A Study on the Planning for Access Area in the Multifamily Housing Based on the Analysis of European Examples(II) - A Case Study focussed on the Planning Skills -)

  • 전남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77-88
    • /
    • 2003
  • The access area, so called "core" in the housing block, makes a buffer zone between public open space and private interior space, as well as offers chances of communication for the users. Planning and design of this area, however, tend to be not attended, comparing with another spaces in the multifamily housing block. This paper is aimed at investigating examplary model European cases and, thus, finding out some positive and applicable planning skills for multifamily housing in Korea. This study covers following aspects; firstly, the important social meaning of core area was analyzed in comparison of Korea and Europe, secondly, intensive studies on the spots, visiting German, Austrian and Dutch cases, made it possible to grasp the prevailling tendency toward assessment of this area in the Continent, Thirdly, useful planning elements and skills by European examples for more user friendliness, more economization and raising the quality of spatial design and sequential experience were founded out with regard to various core types. and lastly, some concrete guidelines for planning are presented for the improvement of so far monotnousely designed core area in the local multifamily housing. Consequently those European cases made it clear that the planning of core area is closely related to the total design of housing blocks. This study maybe conducive not only to the planning of this area, but also further to the increase of the quality of life in multifamily housing.y housing.

어포던스 디자인 관점의 안전가이드라인 개발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Model of Safety Guideline based on Affordance Design)

  • 김회광;김효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447-454
    • /
    • 2017
  • 인간의 욕구는 기본적인 생활환경을 구성하는 요인에서부터 출발하게 된다. 안전 가이드라인 개발 모형은 행동유도를 통해 위협 요인의 발생 시점에서 집단 심리와 체계적인 환경에서 벗어난 의식의 절단에서 출발하게 된다. 안전 가이드라인 설계와 방법론은 시퀀스별 모형으로 주관화와 객관화가 반복해서 도출되어야 하며,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공공 서비스의 시간 순차적인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다양하고 복잡한 위협요인은 감성경험과 사용자경험, 기술경험의 가치를 반영한 모형으로 구축하기 위해 사용자 관점, 관리자 관점의 모형으로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안전 가이드라인 개발모형으로 추출하고자 한다. 명확한 설계와 자료조사를 통해 일반 사용자의 수평적, 수직적 사고의 문제를 전환시키고, 이해관계자의 프로토타입 도출과 인사이트를 도출하게 된다. 이렇게 도출된 인사이트는 안전 가이드라인 개발방법론은 동일한 문제의식에서 출발된 다차원 서비스 모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사기 조작버튼에 따른 사용성 상관관계 연구 (Evaluation of Correlations in Copier's Button and Usability)

  • 하광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95-603
    • /
    • 2013
  •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터치스크린은 이제 대부분 정보기기에 탑재되고 있다. 복사기의 경우 다른 어떤 정보기기 보다 이른 시기에 터치스크린이 탑재되어 사용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복사기의 User Interface(이하 UI)를 살펴보면 과거로부터 관습적으로 사용되어온 방식을 특별한 재검증 없이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경우를 쉽게 발견 할 수 있다. 그러나 복사기와 같은 사무용 공용기기의 경우 비교적 사용자가 기기와 마주하는 시간이 짧고 사용 목적이 분명하며 간결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기기 간 User Experience(이하 UX)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 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보수적인 성격과 기기 사용자와 구매자의 상이함이 기기의 UI를 적극적으로 변화 시키는데 큰 걸림돌로 작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하드웨어 요소인 버튼이 터치스크린 상으로 위치를 이동하고, 공용/공공기기들이 터치스크린을 중심으로 하는 UX의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면서 복사기 또한 UX의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 복사기에 나타나는 이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문헌을 통해 현재까지의 연구를 살펴 본 후 사용자조사와 프로토타입(Prototype)을 통한 사용자평가를 통해 복사기를 구성하고 있는 UI 요소와 이에 따른 사용행태의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특히 복사기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버튼중심 UI와 하드웨어 버튼중심 UI간 차이가 사용자와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서 새로운 복사기 UX의 방향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복사기 및 공용기기의 사용성향상과 UX디자인에서 기반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바일 플랫폼 가상현실 콘텐츠에 적합한 게임패드/시선 기반 입력 처리 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amepad/Gaze based Input Processing for Mobile Platform Virtual Reality Contents)

  • 이지원;김민규;전찬규;김진모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1-41
    • /
    • 2016
  • 본 연구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에 적합한 입력 처리 기술을 제안한다. 우선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는 사용자의 몰입감 향상, 흥미 유발 그리고 편리한 조작이 가능한 입력처리 기술을 설계하기 위하여 실험에 사용될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3차원 대화형 콘텐츠를 제작한다. 그리고 모바일에 접근성이 용이한 게임패드 방식과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선을 직접 인터페이스로 활용하는 방식의 두 단계로 나누어 입력 처리 기술을 설계한다. 제안한 가상현실 기반의 입력 처리 기술이 사용자에게 몰입감 향상의 효과, 흥미를 유발시키는 동기 그리고 콘텐츠를 조작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하는 지 여부를 실험을 통해 분석한다. 뿐만 아니라 멀미 현상, 피로감 같은 부정적인 심리 요인을 야기시키는 여부 또한 검증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