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Device Framework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7초

모바일 환경에서 맞춤형 콘텐츠 전달을 위한 비디오 적응성 모델 (Video Adaptation Model for User-Centric Contents Delivery in Mobile Computing)

  • 김스베틀라나;윤용익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6A권5호
    • /
    • pp.389-394
    • /
    • 2009
  • 이동하면서도 디지털 방송을 볼 수 있는 모바일 TV가 세계에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TV 또는 HDTV와 같은 대화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하기 위해서 데이터 표현, 전송 및 처리가 아주 중요하다. 특히 제한된 대역폭과 낮은 성능의 단말과 같은 모바일 방송통신 환경에서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서는 효율적으로 전송 및 적응형 데이터 서비스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 중심으로 비디오서비스 대한 미들웨어 기술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사용자 환경상황인식(Usage Environment), 개인화(Personalization)를 위한 데이터 수정 및 처리 기술, 사용자 중심으로 맞춤형 적응 서비스 미들웨어 UP-SAM(User Personalization Context-Aware Service Adaptation Middleware) 모델을 제안한다.

케이브 기반 자동차 시제품 평가 (Evaluation of Car Prototype using CAVE-like Systems)

  • 고희동;안희갑;김진욱;김종국;송재복;어홍준;윤명환;우인수;박연동
    • 감성과학
    • /
    • 제5권4호
    • /
    • pp.77-84
    • /
    • 2002
  • 범용 가상환경 프레임워크 NAVER를 제안하고, 이를 케이브기반 가상현실환경에 적용하여 자동차 시제품 평가 실험에 활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NAVER는 다양한 가상현실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가상환경 프레임워크로, 확장성이 뛰어나고 재구성이 가능하다 NAVER는 Render Server, Control Server, 그리고 Device Server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서버는 네트워크로 상호 통신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한다. NAVER는 XML 기반 스크립팅 언어를 지원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가상환경의 여러 가지 객체와 인터랙션을 정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NAVER를 케이브 기반 가상현실환경에 적용하여 자동자 시제품평가 실험에 활용하였다. KIST의 케이브 기반 가상현실 환경은 4면의 정방형 스테레오 디스플레이 장치, 햅틱 암마스터 장비, 3차원 음향장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에서 시각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촉각, 청각과 같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다중현실감을 제시할 수 있다. 자동차 시제품 평가 실험을 통하여 사용자가 실제 자동차가 아닌 가상의 자동차 시제품을 관찰하고, 만져보고, 주행해 봄으로써 더욱 높은 몰입감과 현실감으로 자동차 조작장치의 조작성을 평가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PDF

원격 제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합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An Integrated Home Entertainment System supporting Remote Control Service)

  • 이현주;김상옥;김상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3호
    • /
    • pp.219-225
    • /
    • 2007
  • UPnP AV 프레임워크는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 기술의 중요한 부분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한 다양한 AV 디바이스를 투명적으로 통합 및 관리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AV 컨텐츠를 접근 및 제어할 수 있다. 기존의 흠 엔터테인먼트 시스템들은 멀티미디어 흠 서버 위주로 PC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 제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합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u-MUSE 시스템) 개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존의 홈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외에 가정에서 멀리 떨어져있는 AV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거나, AV 컨텐츠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통합 시스템 제어 및 AV 컨텐츠 재생 서비스를 지원하여 가정에서의 가전 디바이스 제어 센터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한다.

리눅스 기반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 응답성 향상을 위한 프레임워크 지원 선별적 페이지 보호 기법 (Framework-assisted Selective Page Protection for Improving Interactivity of Linux Based Mobile Devices)

  • 김승준;김정호;홍성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12호
    • /
    • pp.1486-1494
    • /
    • 2015
  •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모바일 기기 응용들을 사용하면서 빠른 응답성을 제공받기를 바란다. 하지만 모바일 기기 응용들은 종종 사용자가 기대하는 수준의 응답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응답성을 저해하는 주 원인들 중 하나는 과도한 페이지 폴트 발생에 따른 대화형 태스크 수행의 지연이다. 이는 대화형 태스크의 상주 페이지(resident page)들이 비대화형 태스크와의 페이지 캐시 경쟁에 의해 더욱 빈번히 희생될 페이지(victim page)으로 선정되어 스토리지로 쫓겨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레임워크 지원 선별적 페이지 보호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한 기법은 프레임워크 레벨에서 대화형 태스크를 식별하고 이를 커널에 전달하여 페이지 replacement 시에 대화형 태스크의 페이지를 보호하고, 사용자 입력 처리 중에 발생하는 페이지 폴트를 줄인다. 실험 결과 제안된 기법은 기존 시스템에 비해 페이지 폴트 횟수를 37% 감소시켰고, 응답시간을 11% 단축할 수 있었다.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예측 기반 동적 컴포넌트 오프로딩 프레임워크 (A Prediction-based Dynamic Component Offloading Framework for Mobile Cloud Computing)

  • 박진철;김수동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5권2호
    • /
    • pp.141-149
    • /
    • 2018
  •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편적인 보급으로 인하여 모바일 컴퓨팅은 사용자들의 일상 생활에 편리를 가져다 주는 컴퓨팅 패러다임으로 되었다. 다양한 타입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출현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스케줄 관리 등 다양한 업무 수행이 가능해졌지만 모바일 디바이스의 리소스 제한적인 문제로 인하여 일정 수준의 컴퓨팅 작업만 수행 가능하고 비교적 큰 컴퓨팅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존재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연구에서는 제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자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능 컴포넌트를 다른 서버 노드로 오프로딩(Offloading) 시킴으로써, 모바일 노드의 자원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동적 오프로딩 기법에 관한 연구는 개념적인 수준의 기법만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노드의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예측 기반 동적 오프로딩 기법 및 프레임워크 설계 모델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한 예측 기반 오프로딩 기법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실험 및 평가를 수행한다.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TV 셋톱박스의 효과적 파일 시스템 복구 방법에 관한 연구 (Reserach for Filesystem Recovery in Android based SMART TV Settop)

  • 김병준;한경식;손승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73-775
    • /
    • 2012
  • 모바일 시스템에 비해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TV 셋톱박스의 경우 직접 전원 연결을 통한 시스템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전원차단으로 인한 메모리기반 파일시스템의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init의 중복 실행을 통해 스마트TV OS 프레임워크가 시작되기 전에 해당 파일 시스템의 손상 유무를 판단하여 시스템 체크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 PDF

인공지능 에이전트의 사용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인터랙션 속성 유형화 (Categorization of Interaction Factors through Analysis of AI Agent Using Scenarios)

  • 천수경;연명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63-74
    • /
    • 2020
  • 인공지능 제품은 스마트폰이나 스피커, 가전제품에 에이전트로 내장되어 '인공지능 비서'로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는 약 인공지능 수준으로 에이전트의 성격, 목소리 등 의인화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향후 인공지능 기술 발전으로 지능형 에이전트의 역할과 기능이 확장될 것으로 보이며, 사용자 유형, 사용환경, 에이전트 외관 등 에이전트 관련 다양한 속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한 인공지능 에이전트가 나타나는 컨셉 영상 시나리오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 관점에서 에이전트의 인터랙션 속성들을 유형화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에이전트에 대한 이론적고찰을 토대로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였다. 이후 대중화된 영상시청 플랫폼인 유튜브(Youtube)를 활용하여 다수의 영상 시나리오를 수집 및 선별하고 환경, 사용자, 에이전트 관점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점, 공간, 형태, 에이전트 행위, 연동기기, 에이전트 인터페이스, 사용상태, 사용자 인터페이스 8개 속성을 유형화하였다. 이는 향후 상용화될 에이전트의 개발 및 예측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Secure Oriented Architecture(SOA)에 기반한 u-Healthcare 네트워크 보안기술 프레임워크 모델 (A Study for u-Healthcare Networking Technology Framework Approach Based on Secure Oriented Architecture(SOA))

  • 김점구;노시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01-108
    • /
    • 2013
  • 센서네트워크 구성은 특정 상황이나 환경에 대한 센싱이 가능한 센서, 수집된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그리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등 이다. 센서네트워크는 많은 유익함을 제공하지만 무선 네트워크 보안 취약성을 해결하지 않은상태로 정보노출 위험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u-Healthcare 센서 네트워크는 센서 노드의 크기가 작아 전력소모 및 컴퓨팅 능력, 메모리 등에 제한이 가해지며, 무선을 통해 센싱된 값을 전달하는 특징을 가지므로 도청, 서비스거부, 라우팅 경로 공격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센싱기능을 중심으로 한 u-Healthcare 시스템 환경의 무선보안 취약성 요소를 진단하고 u-Healthcare 보안 프레임워크 설계방법을 제시한다. 센서네트워크 기술들이 보안취약성에 대한 대책 강구 없이 기술만 발전한다면 기술이 정상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위협의 요소가 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제안되는 u-Healthcare 시스템의 보안 위험 대처방법은 다양한 현장에서 의료정보와 이용자보호의 중요한 가이드로 활용될것이다.

웹쉘 기술을 통한 프록시 기반의 확장 가능한 서버 관리 프레임워크 (Proxy-Based Scalable Server Access Management Framework Using Reverse Webshell Protocol)

  • 김다은;배상욱;김성민;정은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3권4호
    • /
    • pp.661-670
    • /
    • 2023
  • 서버리스 컴퓨팅 패러다임의 등장과 함께 클라우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서버 관리를 위한 백엔드 인프라의 구조가 온프레미스부터 최신 컨테이너 기반 서버리스 컴퓨팅까지 다변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버 관리를 위한 접속방식은 전통적인 SSH 프로토콜에 여전히 의존하고 있으며, 보안성 및 확장성 측면에서의 한계점으로 인해, 사용자의 서버 인프라 관리 편의성 및 업무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웹쉘을 프록시 기반의 서버 관리 프레임워크에 적용하여 실용성과 보안성을 갖춘 서버 관리체계 설계에 활용하고자 한다. 흔히 해커들이 서버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임의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웹쉘을 사용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서버 관리 측면에서의 웹쉘 기술의 활용성에 대해 고찰하고, 웹쉘 기술을 사용한 접속 프록시 기반 서버 관리 프레임워크를 새롭게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실제 구현을 통하여 제안한 프레임워크가 추가적인 오버헤드 없이 표준적인 서버 접속 프로토콜로 사용되어온 SSH의 단점을 보완하고, 현대의 다양화된 컴퓨팅 환경에서도 대규모의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음을 보인다.

TUI 시스템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UI(Tangible User Interface) System Model)

  • 임창영;최민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355-36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GUI의 한계를 벗어나고자 급변하고 있는 HCI 연구의 새로운 경향과 HCI연구의 한 분야인 실체적 인터페이스를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체적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을 위한 모델링 언어인 TML을 개발하였다. TML의 적용 사례로 개발된 이 시스템은 텐저블네이처(Tangible Nature)라고 부르겠다 텐저블네이처는 인간과 시스템간의 관계의 범위를 더 확장하여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인간-컴퓨터간의 커뮤니케이션에 반영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수천년간 인간은 자연 속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계절의 변화에 대해 자연현상 등을 경험을 통해 이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다. 이것은 단일치 감각 채널을 통해서가 아니라 인간에게 가능한 모든 감각치 채널이 조화를 이루며 행해졌고 이러한 경험을 통하여 시간의 흐름이라는 무형의 정보에 대한 개념모델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경험은 현재의 GUI에서는 반영될 수 없었던 많은 공감각적인 부분으로 TUI를 기반으로 자연과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경험을 가상의 정원 안에서 인간과 시스템간의 인터랙션으로 개발하였다. 모델링 기법이 다양한 사례에 적합한가를 검증해 보기 위해 사례연구 대상은 실체적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텐저블즈의 속성을 다룰 수 있는 아이템선정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실체적 인터페이스의 2가지 연구방향은 환경 미디어와 만져지는 미디어를 모두 활용할 수 있는 형태적으로도 다양한 텐저블즈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크게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과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기능을 선정하였으며 피드백 방식은 환경 미디어를 통해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텐저블네이처는 도심 속의 건물 속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한다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채널을 환경 미디어에서 모색하였는데 빛, 소리, 공기의 흐름 등 인간의 주변감각을 자극하는 다양한 양식이 있으나 현재 구현과 제어가 가능한 소리와 빛을 중심으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