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Authentication

검색결과 1,423건 처리시간 0.041초

공개키 암호화 시스템과 일회성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설계 (The design of User authentication system by using Public key cryptography system and one time password)

  • 이상준;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98-501
    • /
    • 2002
  • 시스템으로의 로그인 과정에서 명확한 사용자 인증은 정보 보호 서비스의 시작이다. 요즘과 같은 개방형 통신 시스템에서 패스워드라는 하나의 보안도구와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내부의 메카니즘과 암호화 알고리즘 또한 빈약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정확성과 안전성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최종목표로 삼았으며 암호화 알고리즘으로는 RSA와 DES(Data Encryption Standard)의 CBC(Cipher Block Chaining)모드, 인증 프로토콜로는 신청과 응답(Challenge-Response)스킴을 사용하였으며, 인증 프로토콜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토큰(Token)을 사용하여 일회성 패스워드로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인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보다 안전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었다.

  • PDF

Privileged-Insider 공격에 안전한 원격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 (Secure Remote User Authentication Protocol against Privileged-Insider Attack)

  • 이성엽;박요한;박영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614-628
    • /
    • 2017
  • 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IT technology, users can conveniently use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the server anytime and anywhere. However, these technologies are exposed to various security threat such as tampering, eavesdropping, and exposing of user's identity and location information. In 2016, Nikooghadam et al. proposed a lightweight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protocol preserving user anonymity. This paper overcomes the vulnerability of Nikooghadam's authentication protocol proposed recently. This paper suggests an enhanced remote user authentication protocol that protects user's password and provides perfect forward secrecy.

GSM 시스템에서 부분적 익명성을 위한 사용자인증 프로토콜의 변형 (Modification of User Authentication Protocol for Partial Anonymity in the GSM System)

  • 박미옥;김상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6C호
    • /
    • pp.645-650
    • /
    • 2006
  •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은 전 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이동통신 표준으로서,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이동성과 함께 편리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GSM 시스템은 사용자인증과정 중 MS(Mobile Station)의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값이 노출되어 사용자를 정상적으로 인증할 수 없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인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GSM 사용자인증 프로토콜에 기본을 둔 변형 메커니즘으로서, IMSI 값을 HLR(Home Location Register)로부터 암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IMSI값의 노출을 막고, HLR에 의해 검증된 네트워크 개체만이 IMSI값을 사용하도록 하여 안전한 사용자인증을 제공한다. 또한 제안 메커니즘에서는 임시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익명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GSM 사용자인증 프로토콜의 새로운 VLR과 이전의 VLR 간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단계를 축소하여 빠른 사용자인증을 제공한다.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속성기반 사용자 인증 스킴 (An Attribute-Based Authentication Scheme Using Smart Cards)

  • 유혜정;이현숙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1-47
    • /
    • 2008
  •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가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요청할 때, 사용자는 인증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이런 사용자 인증 과정을 통하여 서버는 사용자가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 서비스에 대한 정확한 접근 권한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프라이버시 보호 요구에 발맞추어 사용자 익명성을 제공하는 여러 인증기술이 제안되었으며, 최근에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익명성을 제공하는 인증 스킴이 제안되고 있다.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스킴은 사용자의 적격성을 입증하고 안전한 통신을 제공하는 매우 실용적인 기술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익명성 제공 속성기반 인증에 대한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술 중에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속성기반 인증 스킴을 제안하고자 한다.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계산량 측면에서 효율성을 취하고 사용자는 한 번의 등록으로 속성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원격 서버에게도 안전한 익명성을 제공받으면서 서버와의 상호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User Authentication Technology using Multiple SSO in th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 Cho, Min-Hee;Jang, Eun-Gyeom;Choi, Yong-Ra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1-38
    • /
    • 2016
  • The interface between servers and clients and system management in th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omputing environment. The 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tection. Management and user authentic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For providing a more convenient service to users, SSO technology is applied to this cloud computing service. In the SSO service environment, system access using a single key facilitates access to several servers at the same time. This SSO authentication service technology is vulnerable to security of several systems, once the key is expos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chnology to solve problems, which might be caused by single key authentication in SSO-based cloud computing access. This is a distributed agent authentication technology using a multiple SSO agent to reinforce user authentication using a single key in the SSO service environment. For user authentication reinforcement, phased access is applied and trackable log information is used when there is a security problem in system to provide a safe cloud computing service.

홈네트워크에서 인증서버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메커니즘 (User Authentication Mechanism Using Authentication Server in Home Network)

  • 이윤경;주홍일;박지혜;한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787-790
    • /
    • 2005
  • 안전한 홈네트워크를 위해서 사용자 인증은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사용자 인증을 통해서 권한을 가진 사람만이 홈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용자가 웡ㄴ하는 다양한 인증수단(ID/PW, 인증서, 생체정보 등)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홈게이트웨이에 인증서버의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는 홈게이트웨이에만 인증을 받으면 홈게이트웨이, 즉 인증서버의 대리인증기능을 통해서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증서버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메커니즘에 관하여 기술한다.

  • PDF

동적 ID 기반 원격 사용자 인증 스킴의 보안성 개선 (Improvements of a Dynamic ID-Based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 주영도;안영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303-310
    • /
    • 2011
  • 최근에 사용자 인증과정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시킨 스마트 카드 기반의 사용자 인증 스킴들이 소개되었다. 2009년에 Wang 등은 Das의 스킴의 보안 문제점을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성 있는 동적 ID 기반 원격사용자 스킴을 제안하였다. Wang 등은 자신들의 스킴이 인증과정에서 패스워드 독립성에 기인한 위협요인으로부터 안전할 뿐 아니라, 사용자와 원격 인증 서버 간 상호인증을 제공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Wang 등의 보안 스킴을 분석하고, 제안된 스킴이 중간자 공격 및 off-line 패스워드 추측 공격에 취약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또한 그들의 스킴이 상호인증을 제공하지 못함을 보여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비록 스마트 카드의 비밀정보가 노출된다 하더라도, 이와같은 보안 문제점들을 해결한 개선된 스킴을 제안한다. 제안된 스킴은 사용자 위장 공격, 서버 위장 공격 그리고 off-line 패스워드 추측 공격에 안전하고, 계산 복잡도에서 Wang등의 스킴보다 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생체인식 기반 사용자 인증 스킴의 안전성 분석 및 개선 (Security Analysis and Improvements of a Biometrics-based User Authentication Scheme Using Smart Cards)

  • 안영화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59-166
    • /
    • 2012
  •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생체인식 기반 사용자 인증 스킴이 인증 시스템에서 안전성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되고 있다. 2010년 Chang 등은 위조 공격, 오프라인 패스워드 추측 공격, 재생 공격 등에 안전한 개선된 생체인식 기반 사용자 인증 스킴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Chang 등의 스킴에 대한 안전성을 분석하고, Chang 등의 스킴이 중간자 공격, 오프라인 생체인식 추측 공격 등에 취약하고, 사용자와 서버 사이에 상호인증을 제공하지 못함을 증명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안전성 취약점들을 개선한 인증 스킴을 제안하였다. 안전성 분석 결과, 제안된 스킴은 사용자 가장 공격, 서버 가장 공격, 중간자 공격, 오프라인 생체인식 추측 공격 등에 안전하고, 사용자와 서버 사이에 상호인증을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계산 복잡도 관점에서 제안된 스킴은 Chang 등의 스킴보다 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A Proposed Authentication Scenario based on SBT implementation for Decentralized User Authentication

  • Sung-Woo Cho;Jung-Won Seo;Soo-Yong Par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115-127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과 같은 탈중앙 환경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SBT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안을 제안한다. 블록체인의 투명성으로 인해 기존에 사용하던 인증 수단을 사용하면, 개인정보 프라이버시 확보가 어려우므로 새로운 인증 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 인증 수단으로 SBT를 활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정립되지 않고 NFT의 전송과 관련된 함수를 제거한 형태로 SBT를 구현한 연구들이 대부분인 상황이다. 본 논문의 접근 방안은 ERC-5192 표준의 토큰 잠금 기능을 활용해 사용성과 안정성을 확보한 SBT 토큰을 구현하였다. 또한 구현한 SBT 토큰을 기반으로 한 인증 프로세스를 제안했다. 이러한 접근 방안을 검증하기 위해 제안한 인증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 가상의 사용자 인증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해당 시나리오에서 발생하는 19개의 함수 호출 시나리오를 만족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작성했다.

스마트 카드 및 동적 ID 기반 멀티서버 원격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의 취약점 분석 (Vulnerability Analysis of Remote Multi-Server User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Smart Card and Dynamic ID)

  • 권순형;변해원;최윤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43-52
    • /
    • 2023
  • 많은 기업과 단체들은 원격 접근을 위해 스마트카드 기반 사용자 인증을 사용한다. 그 동안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사용자와 서버 간의 연결을 보호하기 위해 분산된 다중 서버 환경에 대한 동적 ID 기반 원격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들이 제안되었다. 그 중, Qiu 등은 상호 인증 및 키 동의, 사용자 익명성, 다양한 종류의 공격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는 효율적인 스마트카드 기반 원격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이후, Andola 등은 Qiu 등이 제안된 인증 프로토콜에 대한 다양한 취약점을 찾아내었고, 그들의 인증 프로토콜에 대한 결점을 극복하고 사용자가 서버에 로그인하기를 원할 때마다 로그인하기 전에 사용자ID가 동적으로 변경되는 향상된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Andola 등이 제안한 프로토콜의 동작 과정 및 취약점을 분석하여, Andola 등이 제안한 프로토콜이 offline smart card attack, dos attack, lack of perfect forward secrecy, session key attack에 취약하다는 것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