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s Evaluation

검색결과 1,133건 처리시간 0.029초

정보조사제공에 있어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응용모형개발을 위한 실증적 연구 (A Pilot Study on the Practical Model of Nonverbal Communication for the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s)

  • 한상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83-150
    • /
    • 1993
  • Traditionally, the emphasis of the information services had been placed on the information provider's knowledge of information sources or information systems. However, in view of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the information environment. and changes taking place in information professions the evaluation of the information services has callded for further research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spects of the librarian user interface especially that which links to user satisfaction. This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nonverbal behaviors in measuring user satisfaction in the light of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nonverbal clues includes more than verbal communication especially in dealing with variable barriers even though they operate at low levels of awareness. In this sense, among the wide range of nonverbal communication areas in particular kinesics, artifacts and the proximics were examined to suggest alternative model which can be applied effectively in our specific set of information work environment. Two major university libraries and two research libraries in Korea were chosen and visited for the anlysis and per each refernce/information interview the librarian's nonverbal behaviors were checked on the observer's checklist and the qustionnaires completed by the user at a time. On the basis of these data firstly, the relation of user satisfaction concerned with the librarian's nonverbal communication to user satisfaction with information services was analyzed and the possible communication barrier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effect of training the information librarian with positive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on the user's satisfaction was analyzed in a SAS computer program in the area of kinesic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other nonverbal behaviors such as proximics and artifacts known very important clues to improving a complex human interaction was discussed along with their experimental result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most of users were not sensitive to the importance of nonverbal behaviors exposed by the information librarian, but it was proved that the ultimate user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librarian's nonverbal behaviors are correlated positively, Moreover, nonverbal behaviors displayed by the trained librarian toward the user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the user's evalution of information services compared with those by the untrained. These findings imply that in order to control the librarian's nonverbal behaviors and to help the user overcome his barriers the information librarian as a specialist needs to assure and modify willilingly his communication behavior. Without making effective use of such nonverbal communication, information librarian could not expect to meet the user's information needs either. However, when these positive nonverbal behaviors are applied it would be highly desirable to be aware of cultural and contextual differences. With regard to increasing information services success the applicable nonverbal communication model for library management and education can be suggested as below.

  • PDF

사용자 질의 의미 해석을 위한 선호도 기반 검색 기술 (Preference-based search technology for the user query semantic interpretation)

  • 정훈;이무훈;도하나;최의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271-277
    • /
    • 2013
  • 질의 의미 해석에 대한 대표적인 시맨틱 검색은 논리적으로 표현된 지식 베이스를 사용하여 현재의 키워드 기반 검색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키워드 기반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 키워드의 의미가 상호 연결이 되어 있지 않아서 사용자의 질의 의미 해석을 위한 선호도 검색을 할 수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부합하는 정확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검색 선호도 기반으로 평가하여 랭킹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온톨로지 기반으로 구축된 지식 베이스의 정형화된 구조에 의미 해석 과정이 통합된 온톨로지 지식 베이스 기반 검색 시스템이다.

국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소셜 데이팅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 연구 -이음과 정오의 데이트를 중심으로- (Evaluation for User Experience about Social Dating Mobile Application Service in Korea -Focusing on I-um and Noondate-)

  • 안효진;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335-341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대표 소셜 데이팅 애플리케이션인 이음과 정오의 데이트를 사용자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고, 사용자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차로 문헌 연구를 통해 현재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의 유형 분석과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서비스 현황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2차로 피터 모빌(Peter Morville)의 허니콤 모델(Honey comb model)을 6가지 사용성 원칙으로 재구성하여 설문을 설계한 뒤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이음의 경우 사용자의 관심사나 취미에 기초한 프로필을 추가로 도입하여 매칭의 정확도 개선이 필요하였다. 정오의 데이트 경우 사용자 스스로가 체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카드 분류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소셜 데이팅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경험 개선 방안을 위한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하며, 이후 진행될 다른 분야의 사용자 경험 연구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스마트워크 시스템 성공을 위한 사용자 만족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 P그룹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Factor of End User's Satisfaction for Smart Work System's Success : Focused on P Corporation)

  • 정창현;황찬규;홍순근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0권3_spc호
    • /
    • pp.259-278
    • /
    • 2013
  • At the center of the repeating evolution of IT industry, there is mobile computing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and the increasing usage of smart phones contribute more to its growth. P corporation co-developed with Google and implemented smart work system called SWP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co-workers' beyond the general goal of increasing productivity and comfort of employee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effect factor from end user's perspective and user satisfaction on SWP usage, intention for continuous usage and individual performance.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research models and hypothesis by collective review about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s, and tested the research hypothese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by data collected from 320 SWP system users of P corporation. Variations for system satisfaction evaluation standard are 1)SW system usage 2) intention for continuous usage 3) individual performance, effect variations are 1) social factors 2) technical factors 3) combination of social and technical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is about influence factors on success of SWP system and how the factors impact the outcome. The test results of this research model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system user's satisfaction had positive impact on all three; SWP system usage, intention for continuous usage and individual performance. Secondly, social factor 'SWP control system' and technical factor 'information quality' and 'system quality' had positive impact on SWP system user satisfaction, while social factor 'shared value' and technical factor 'service quality'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user satisfaction. Shared value however, had interactive effect with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pread of academic research on smart work system by suggesting a model that can show important factors for corporation while explaining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WP and its continuous usage.

Research on Application of Service Design Methodology in IOT Environment

  • Kim, Byung-Taek;Cho, Yun-S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3-6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and quantitative analysis on user's perceived privacy, security, and user satisfaction when providing visualization information about objects and service provider behaviors that users can not perceive in internet service process. Through previous research, we have examined the importance of privacy and security factors as a key factor to be consider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Internet of things. In addition, service blueprint, which is one of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ies to examine the flow of service usage in providing Internet service of things, was examined. In the flow of things internet service utilization, it is found that the things that are out of the user's cognitive area and the behavior of the service provider take up a large part. Therefore, the hypothesis that the trust of the Internet service security and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experience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the security visualization information about the behavior of the object and the invisible service provider in the non-contact aspect of the user and the object.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we conducted experiments and questionnaires on the use of virtual objects' internet environment and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m.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visual information feedback on non - contact and invisible objects and service provider's behaviors had a positive effect on user's perceived privacy, security,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we conclude that it can be used as a service design evaluation tool to eliminate psychological anxiety about security and to improve satisfaction in internet service design.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a great help for the research on application method of service design method in Internet environment of objects.

가정편의식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 평가 연구 (A Study on User Evaluation about Package Design of Home Meal Replacement)

  • 양근영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49-60
    • /
    • 2019
  • 이 연구는 고령화 사회 및 개인핵가족사회에 진입하는 우리나라의 현 상황에서 가정편의식 제품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가정편의식 이론적 고찰로서 문헌자료 및 선행연구조사를 하였다. 둘째, 디자인 조사로서 가정편의식 디자인 사례 분류를 하였다. 셋째, 실제 사용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자 평가 및 감성평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제품 디자인 감성평가에 의한 요인분석 결과 3개의 대표 요인으로 분류되어졌다. 1요인은 "형태적 감성", 2요인은 "기능적 감성", 3요인은 "심리적 감성"으로 연구자에 의한 대표 감성언어 명칭을 3가지로 부여하였다. 가정편의식 패키지 디자인으로 다음과 같이 제작되어져야할 것이다. 첫째, 용기를 들때 대부분 비닐용기로 되어져있어 미끄러지고 떨어뜨리기 쉽기 때문에 용기에 그립감을 주어 잘 떨어뜨리지 않게 한다. 둘째, 손목이나 손가락 힘이 약한 고령자를 위하여 쉽게 뜯을 수 있게 제작 한다. 또한, 색상과 관련하여 차가운 한색계열 색상보다는 따뜻한 난색 계열색상을 이용하여 제공한다.

메신저 기반의 모바일 챗봇 서비스 사용자 경험 평가 -구글(Allo)과 페이스북(M messenger)을 중심으로- (Evaluation on the Usability of Chatbot Intelligent Messenger Mobile Services -Focusing on Google(Allo) and Facebook(M messenger))

  • 강희주;김승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271-276
    • /
    • 2017
  • 본 연구는 해외에서 대표적으로 인식되는 메신저 기반의 어시스턴트 챗봇 서비스인 구글(Allo)과 페이스북 M을 대상으로 사용성 경험 평가를 하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챗봇 서비스의 사용성을 개선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문헌연구를 하여 인공지능(AI) 챗봇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챗봇의 특성 및 국내 메신저 기반 어시스턴트 챗봇 서비스의 현황 및 전망을 정리 및 분석하였다. 사용자 평가를 실기하기 위해 피터 모빌의 허니콤 모델을 재구성하여 사용자들에게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 사항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사용자가 챗봇의 기능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요소들을 사용해야 한다. 둘째, 사용성에 방해가 되는 챗봇의 질문을 개선해야 한다. 셋째, 사용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답변 정확도를 높여야 한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사용자들과 챗봇의 사용성 평가가 지속해서 이루어진다면, 해당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와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실내공간의 유형별 이미지 평가를 통한 정보획득특성에 관한 연구 -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f Data Acquiring Characteristics Through Image Evaluation by Types of Interior Space - Focused on Gender Comparisons -)

  • 최계영;최주영;김종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143-151
    • /
    • 2011
  • Sinc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data acquiring characteristics through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types and spatial elements and apply it to spatial plans for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designer and user of space, the conclusions gained from analysis of data acquiring characteristics of spatial elements through image evaluation by types of interior space can b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s: First, for the amount of acquired data by types of interior space, it shows that the acquired amount of data is to change by types and data acquiring method (phrase and image) even though the spatial elements are same. Second, for the data acquiring process of spatial types by gender, it shows that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acquiring of data according to the evaluation method by phrase and image. Third, for the amount of acquired data of spatial types by gender, it show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hich is by "classic ${\rightarrow}$ modern ${\rightarrow}$ natural" in case of male and "classic ${\rightarrow}$ natural ${\rightarrow}$ modern" in case of female. regarding both of phrase and image. Fourth, for the evaluation by gender, it shows that there is a deviation in the value of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lements by which data acquiring characteristics evaluate space. It is considered that this deviation characteristic is in need of reflection in the process of spatial evaluation. This study analyzed data acquiring characteristics of space user's spatial elements through image evaluation by types of space to understand how data acquiring would be changed of spatial elements according to type and gender. Through this study, it expects to make clear that, when a designer is planning a certain space, if the space can be a space for the user by understanding of which elements should be exposed to users by types to acquire more data.

인터넷 채팅 도메인에서의 감성정보를 이용한 타관점 사용자 선호도 학습 방법 (Multi-perspective User Preference Learning in a Chatting Domain)

  • 신욱현;정윤재;맹성현;한경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8
    • /
    • 2009
  • 개인화 서비스와 같은 지능정보 시스템을 위해서는 사용자 선호도의 학습은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채팅 도메인에서의 사용자 선호도를 학습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기존의 평면적인 사용자 선호도 모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사용자 선호도 모델을 제안한다. 사용자가 선호도 학습의 대상에 대하여 얼마나 관심이 있는가를 나타내는 관심도와 대상에 대한 감성을 나타내는 호감도 라는 요소로 모델링 할 수 있다. 자연어 처리를 통해 현재 대화에서의 주제 탐지와 호감도 분석을 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도와 호감도를 학습한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사용자 선호도의 특징을 고려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세션, 단기, 장기 선호도로 나누어 계산한다. 사용자선호도 학습의 대상이 되는 키워드와 주제에 대하며 시간에 따라 변하는 사용자의 선호도 변화를 고려하여 선호도 결정을 한다 사용자 선호도 학습 효과의 검증을 위하여 사용자 평가를 하였으며 주제 선호도, 키워드 선호도, 키워드 호감도에 대하여 각각 86.52%, 86.28%, 87.22%의 성능을 보였다.

전자책에 대한 도서관의 학부모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ents' Perception about E-books in Libraries)

  • 정연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9-127
    • /
    • 2011
  • 본 연구는 도서관 이용자인 학부모들의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만족도를 살펴보고, 향후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개 도서관의 초등학생을 둔 학부모 150명을 대상으로 도서관 이용, 컴퓨터 이용, 전자책 이용 행태, 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이용 행태, 어린이 전자책 선정 등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123명으로부터 설문 응답을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개선 방안을 보다 적극적인 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홍보와 이용 교육, 이용하기 편리한 전자책 이용 과정, 도서관의 인적 물적 지원을 통한 전자책 서비스의 인지, 전자책 전담 사서와 전문 교육과정의 준비, 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자체 평가를 통한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으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