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inary frequency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28초

불안 환자에 대한 불안척도의 연구 (A Study of Anxiety Scale Applied to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 이중훈;박병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1호
    • /
    • pp.156-166
    • /
    • 1992
  • 1987년 1월 부터 1991년 6월 까지 영남대학교 영남의료원 정신과에 외래 및 입원한 정서장애 환자중 불안장애로 진단 받은 환자 남자 127명(77.3%), 여자 38명(23.0%)인 총 1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Zung의 자가 평가 불안척도를 사용하여 불안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불안성적의 평균 총점은 $42.40{\pm}7.74$을 보였다. 불안의 항목별 상위성적은 두통 및 신체동통, 피로, 불안, 공황, 빈뇨 등의 순서로 높았다. 항목별 하위성적은 초조, 우려, 호흡곤란, 발한, 불면 등의 항목이었다. SAS에서 심계항진과 공포, 심계항진과 진전, 피로와 혼돈, 졸도와 현기증, 공포와 불안, 악몽과 공포, 혼돈과 공황, 현기증과 혼돈, 심계항진과 공황, 피로와 두통 및 신체동통, 혼돈과 불안, 공황과 불안, 감각이상과 심계항진, 진전과 공포, 진전과 불안, 공황과 공포 등의 문항 간에는 확실히 상관이 있었다. 성적 분포는 50점 이상인 경우가 17.5%(29명)이였다. SAS에서 각 문항들의 신뢰도는 Cronbach 알파를 사용하여 검토한 결과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SAS의 문항 전체의 신뢰도는 0.71로 나타났다.

  • PDF

Goiter Frequency I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Gastric Adenocarcinoma than Urine Iodine Level

  • Tabaeizadeh, Mohammad;Haghpanah, Vahid;Keshtkar, Abbasali;Semnani, Shahryar;Roshandel, Gholamreza;Adabi, Khadijeh;Heshmat, Ramin;Rohani, Davood;Kia, Alireza;Hatami, Ehsan;Jahangirrad, Ataollah;Nabizadeh, Ramin;Larijani, Bagher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3권2호
    • /
    • pp.106-110
    • /
    • 2013
  • Purpose: We designed our study to evaluate the hypothesis that gastric cancer is correlated with iodine deficiency or thyroid dysfunc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investigated the total body iodine reserve, thyroid function status and autoimmune disorder in 40 recently diagnosed gastric adenocarcinoma cases versus 80 healthy controls. The participants came from a region with high gastric cancer rate but sufficient iodine supply due to salt iodination. The investigation included urine iodine level, thyroid gland clinical and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and thyroid function tests. Results: Goiter was detected more frequently in the case group (P=0.001); such a finding, however, was not true for lower than normal urine iodine levels. The free T3 mean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ase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05). Conclusions: The higher prevalence of goiter rather than low levels of urinary iodine in gastric adenocarcinoma cases suggests that goiter, perhaps due to protracted but currently adjusted iodine deficiency, is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gastric adenocarcinoma compared to the existing iodine deficiency itself.

산후조리원의 표준화 관리 지침을 위한 연구 - 산모와 신생아 관리현황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Management Manuel in Sanhujoriwon - Centered on the Management of Women & Newborn -)

  • 정은실;유은광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01-31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rame for standardized manual for Sanhujoriwon by finding out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of women & newborn in Sanhujoriwon, like postpartum care center. The subjects were 95 staffs of 22 Sanhujoriwon agreed on oral consent, in Seoul and Bundang,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Sep. 15 to Oct. 24, 2001.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16 ite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bout postpartum care, 31 items of degree of management of women's postpartum care (Cronbach's $\alpha$.93 ), 24 items of degree of management of newborn's care(Cronbach's $\alpha$.94 ), 10 items of methods of management of women's postpartum care, 8 items of methods management of newborn's care.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PC+ program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of the degree of management for postpartum women was 4.1. The mean score for the degree of management of general postpartum care for women was 4.00 & traditional postpartum care(Sanhujori) was 4.20. The degree of management of traditional postpartum care was higher than general postpartum care for women. 2. The degree of management for newborn : The mean score for the degree of management of newborn was 4.37. 3.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postpartum care and traditional postpartum care($r=.744^{**}$), and postpartum mother care and newborn care($r=.798^{**}$). 4.The basic frame for the management of the women and newborn in Sanhujoriwon. 1) For women: Integrated postpartal care Physical management : Vital sign & BP check, contraction of uterus, form and amount of lochia, management of personal hygiene, management of breast & breast-feeding, management of postpartum exercise, prevention of infection, symptom & sign of high risk and prevention & management of high risk condition; Emotional-psychological management: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mother-baby attachment, emotional state; Educational management : education of vaccination schedule, urinary incontinence, rearing infant, breast-feeding ;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 temperature, humidity, disinfection, cleaning, light, infection control integrated with 6 principles of Sanhujori. 2) For newborn Physical management : check of vital sign, management of umbilical cord, jaundice, prevention of infection, management of diaper rash; Emotional-psychological management : assessment of sleep, crying, activity, response of mother-baby attachment;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 temperature, humidity, disinfection, cleaning, light, infection control integrated with 6 principles of Sanhujori. In conclusion Sanhujoriwon must be health care center for the postpartum women and newborn.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laws and regulations in such a way to meet the realistic needs of Sanhujoriwon as a health care center for women and infants future health should be done. The standardized management manual based on the results is absolutely required above all.

  • PDF

Zinc Nutritional Status in Korean Adults from Rural, Urban and Metropolitan Areas

  • Lee, Soo-Lim;Kwak, Eun-Hee;Yoon, Jin-Sook;Kwon, Chong-Suk;Beattie, John H.;Kwun, In-So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2호
    • /
    • pp.174-182
    • /
    • 2004
  • The zinc intake and status of South Koreans from rural, urban and metropolitan areas were compared to evaluate the zinc nutritional status in different regional areas in South Korea. The dietary habits of 721 healthy adult subjects (271 from rural, 240 from urban, 210 from metropolitan city) with an age range 30 ∼ 64 (mean age 54$\pm$18) were assessed using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Mean daily Zn intake for rural, urban, and metropolitan areas was 6.5 mg, 7.3 mg, and 11.4 mg (p<0.05), respectively, which was 54%,61% and 95% of the Korean RDA for man (12 mg/d). Mean phytate: zinc molar ratios for rural, urban, and metropolitan city were 41, 34, and 30, respectively (p < 0.05), which were higher than the cutoff level of 20 for poor zinc status. The zinc intake and phytate: Zn molar ratio in the rural area were 0.5 and 1.3-fold compared to those of the metropolitan city, which can cause poor zinc nutriture in the rural area. Most of the zinc biomarkers were lower in the rural area than in the metropolitan city (p < 0.05) (mean rural and metropolitan values for plasma Zn: 80.8 $\mu\textrm{g}$/dL and 119.8 $\mu\textrm{g}$/dL, respectively; RBC Zn: 7.8 $\mu\textrm{g}$/dL and 8.8 $\mu\textrm{g}$/dL, respectively; plasma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87 mU/mL and 100.4 mU/mL, respectively). It seems that a lower zinc intake in the rural area decreased zinc biomarker levels, such as plasma and RBC zinc, and plasma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caused the poor zinc nutritional status in this area. Most of the zinc biomarkers, such as RBC zinc and urinary and plasma zinc levels, in the subjects from the three localiti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even when zinc intake of rural and urban subjects was low. The exception was plasma ALP activity in the rural area, which wa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us, marked zinc deficiency in these subjects were not observed, however, the potential for marginal zinc deficiency should be considered, especially for the rural area, because of the low zinc intake and the biomarker levels for marginal zinc deficiency.

성동구내 어린이집 원아 부모의 소아 한방치료에 대한 인식 및 이용에 관한 조사 연구 (A Survey on Parent's Recognition and Utilization Patterns of Oriental Medical Care of Preschool Students in Seong-Dong district)

  • 박유진;이슬지;윤지연;명성민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0-110
    • /
    • 201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rental recognition and utilizing patterns of oriental medical care in children who live in Seong-Dong district. Methods 802 day-care center children's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on recognition and utilizing patterns of oriental medical care, and 702 of the surveys were analyzed. Results: 1. 38.33% has received previous oriental medical treatments and most were received at the children's age under 12-24 months. Majority of the treatments took place in the clinical settings. By recommendation, some also received their treatment at the medical centers. One of the reasons why they receive oriental medical treatments was that they prefer to balance their treatment with the orental medical treatments along with the western's. 2. 53.85% of those who received oriental medical treatm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treatments. The effective treatment results were the major reason for the satisfaction. 3. 49.56% of those who had oriental medical treatments chose specific oriental medical facilities for the children's ailment. Most specific oriental medical facilities were local oriental medical clinics. Reputation fame were the main reason in choosing the clinics. 4. In 2009, 55.26% had received care in the specific oriental medical clinics for the diseases, such as respiratory symptoms, systemic symptoms, gastrointestinal symptoms, skin problems, neurological and psychiatric disease for infants, and respiratory symptoms, gastrointestinal symptoms, systemic symptoms, skin problems, neurological and psychiatric symptoms, urinary symptom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for toddlers. 5. The average duration of herbal treatment were 7-14 days, preferably 4-6 days, and preferred number of medical visits were once a week on Saturdays and preferred day for night cares were on Friday nights. Average treatment fee per treatment was less than 10,000 won which coincided with the preferred treatment fee per visit. 6. The very first medical institutions chosen by parents once their children are ill are the following; Western medical institutions, western medical clinics, pharmacies, oriental medical clinics, health centers, and lastly, oriental medical institutions. The major concerns in receiving oriental medical cares include pesticides in herbs and hazardous substances in heavy metals. Preferred form of oriental medicine was decoction, the negative feedback of oriental medicine was mostly due to the bitter taste of the oriental herbal decoctions. Preferred frequency of intake was twice a day with less than 10cc~20cc per single intake. Conclusions: Taken all together, we conclude that the growing recognition of Oriental Pediatric medicine is needed among parents.

여우구슬(Phyllanthus urinaria)의 부정근 유도 및 기내증식조건 (Induction and in vitro Proliferation of Adventitious Roots in Phyllanthus urinaria)

  • 배기화;윤필용;최용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54-460
    • /
    • 2009
  • 본 실험은 여우구슬의 기내 부정근 유도 및 증식조건의 확립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우선 여우구슬의 기내 발아체로부터 부위를 달리하여 부정근을 유도한 결과 줄기부위는 뿌리보다 양호한 부정근의 유도를 보였다. 또한 유도된 부정근을 이용하여 옥신의 종류(IAA, IBA, NAA와 2.4-D)에 따른 부정근 유도율을 조사한 결과 IBA와 NAA는 IAA와 2.4-D보다 높은 유도율을 보였다. IBA의 농도에 따른 유도율과 증식효율은 IBA가 0.5 mg/L첨가되었을 때 가장 높은 유도 및 증식효율을 보였다. 최적의 액체배지조건을 확인하고자 IBA의 농도는 0.5 mg/L로 첨가하고 sucrose의 농도를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 sucrose는 30 g/L 첨가 되었을 때 가장 높은 생중량과 건중량을 나타냈다. 액체배양된 여우구슬의 부정근을 각각 MS, 1/2MS, 1/3MS배지에 30 g/L sucrose, 0.5 mg/L IBA가 첨가된 5 L 용량의 생물반응기에 4주간 배양한 결과 1/2MS 배지에서 양호한 생장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는 여우구슬의 종자발아체를 이용하여 부정근의 유도 및 증식조건에 필요한 기내배양조건과 2차적으로 유도된 부정근을 이용하여 플라스크와 생물반응기 배양을 통한 효율적인 증식조건을 확립하였다.

사상의학적(四象醫學的) 중풍치험(中風治驗) 157례(例)에 대(對)한 임상적(臨床的) 연구(硏究) (A Clinical Study for 157 Cases of CVA by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최재영;박성식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31-453
    • /
    • 1998
  • 1. 연구배경 및 목적 중풍환자(中風患者)에 대한 임상적 연구를 통하여 중풍치료(中風治療)에 사상의학적(四象醫學的) 관리지침을 설정하고 체질병증(體質病證)의 이해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2. 방 법 1997년 3월부터 1998년 2월까지 1년간 동국대학교 분당한방병원 체질의학클리닉에 입원치료 받았던 뇌졸중 환자 157명(남자 79명, 여자 78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특성(特性), 병력(病歷), 증상(症狀), 치료경과(治療經過) 등에 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3. 결 과 환자의 체질분포는 태음인(太陰人)이 88명(56.1%), 소양인(少陽人)이 48명(30.6%), 소음인(少陰人)이 21명(13.4%)이었다. 연령의 50세 이상에서 70세 미만이 과반수를 차지하였고 평균은 65세로 나타났다. 뇌졸중의 발병 양태로 뇌경색이 119명(75.8%)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뇌출혈이 11명(7.0%), 지주막하출혈이 1명(0.6%), 일과성뇌허혈발작(TIA)이 26명(16.6%)으로 나타났다. 입원시 병증관리지침(病證管理指針)의 상황으로 설태이상(舌苔異常)이 가장 많았고, 수면장애(睡眠障碍), 대사장애(大使障碍), 소변장애(小便障碍) 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중풍관리지침(中風管理指針)의 호전도(好轉度)를 살펴보면 대사장애(大使障碍)가 87.1%의 호전율(好轉率)로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정서장애(情緖障碍), 연하장애(嚥下障碍) 등의 순서였다.

  • PDF

신생아 발열 환자에서 중증 감염의 예측 인자 (Predictors of Serious Bacterial and Viral Infections among Neonates with Fever)

  • 최의윤;이정수;이정현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1호
    • /
    • pp.61-66
    • /
    • 2008
  • 목 적 : 본 연구는 발열로 입원한 신생아 중 임상 경과가 불량했던 환자의 특징을 조사하고 입원 후 경과가 양호했던 환자와의 임상증상, 이학적 진찰 소견과 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중증 감염의 가능성을 예측하는 척도로 이용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방 법 :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입원한 30일 이하의 만삭아 중 액와 체온으로 38$^{\circ}C$ 이상의 발열을 보인 1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산전 위험요인이 있었거나 선천성 기형아, 병원을 방문하기 전까지 항생제를 투여받거나 원내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입원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진단명과 임상경과를 기준으로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분류하고 두 군 간에 증상, 진찰 소견 및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 고위험군에는 30명(24.4%)이 포함되었고 진단명을 빈도순으로 나열하면 무균성 수막염, 요로감염, 세균성 수막염, 감염성 장염, 파종성 혈관내 응고장애를 동반한 패혈증, 균혈증, 폐렴, 연조직 감염, 제대 감염순이었다. 총 백혈구 수의 증가와 혈소판 감소증은 두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C-반응 단백은 그렇지 않았다. 경련, 끙끙거림, 맥박수, 입원 전까지의 발열 일수, 총 발열 기간 및 입원시까지의 최고체온은 고위험군과 저위험군 사이에서 차이가 있었다. 결 론 : 본 저자들은 이전의 보고와 달리 배양검사 양성인 경우 외에도 임상적으로 명확한 패혈증이나 무균성 수막염 환자 등을 고위험군으로 포함시켰다. 그러나 이런 대상 선정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군은 백혈구의 수의 증가, 혈소판 감소증 및 활력징후의 이상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재가 노인의 낙상공포 여부에 따른 건강상태, 신체기능상태 및 가정환경 위험 비교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Functional Status, and Home Environment Hazards in Terms of the Fear of Falling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

  • 임경춘;전경자;윤종률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577-1589
    • /
    • 2009
  • 본 연구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낙상공포 여부에 따른 건강상태, 신체기능상태 및 가정환경의 위험을 비교하고, 낙상공포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A시 D구 노인보건센터에 방문보건사업 대상자로 등록된 65세 이상 노인으로 선정하였다. 2006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사전에 교육받은 방문간호사가 직접 가정방문하여, 가노인기능상태평가도구(Resident Assessment Instrument, RAI)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973명의 평균 연령은 76.8(±7.6)세였고, 여성이 74.8%였으며, 낙상공포를 가진 대상자는 20.7%였다. 낙상공포 여부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에서 요실금, 통증, 이환질병 수, 지난 3일간 우울/불안/슬픔의 징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신체기능 상태는 낙상공포가 있는 집단에서 일상 생활수행능력 의존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시력 문제가 많았으며, 불안정한 걸음걸이를 보이는 대상자가 현저히 많았다. 가정환경위험은 화장실, 방 출입 및 집 밖 출입 시 낙상공포가 없는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더 어려움이 많았다. 연령이 많을수록, 일상생활 의존도가 높을수록, 이환질병 수가 증가할수록, 걸음걸이가 불안정하거나 낙상경험이 있는 경우에 낙상공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통증, 우울/불안/슬픔의 징후, 복용하는 약은 낙상공포와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의 노인을 사정할 때 낙상공포에 관련된 주요 요인인 연령, 일상생활수행능력, 현재 앓고 있는 질환 및 걸음걸이 사정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재확인시켜 준다. 또한, 재가노인의 낙상예방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불안정한 걸음걸이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중재방법을 모색하는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 연구를 토대로 건강 상태와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려는 포괄적인 간호중재를 통해 낙상공포를 감소시키고 낙상 발생률을 낮추면, 궁극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최근 3년간(2004-2006년) 응급실로 내원한 소아환자 중 급성 발작으로 인한 환자들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review of acute seizures among children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in Masan Samsung hospital from 2004 to 2006)

  • 이원덕;유재욱;이주석;이준화;조경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4호
    • /
    • pp.420-425
    • /
    • 2008
  • 목 적: 급성 발작은 응급실로 오는 소아 환자의 중요한 원인이므로 저자들은 급성 발작으로 경남권역 응급의료센터인 마산삼성병원 응급실로 내원한 소아 환자들의 연령별 원인, 발생 지역, 임상 양상, 발작 양상, 입원 유무 등을 파악하고 지역 의료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4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3년 동안 마산삼성병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던 15세 미만 소아 환자 9,487명중 급성발작을 주소로 내원한 433명(4.6%)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지를 통해 연구하였다. 결 과 : 남녀 비는 1.4:1로 남아에서 더 많았고, 2-6세 군이 전체 443명 중 195명(45.0%)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40.9{\pm}34.9$개월이었다. 지역적 분포는 마산, 창원, 함안, 진해, 김해 순이었으며, 시기적으로는 12월(14.8%)과 1월(10.2%)이 가장 많았으며, 내원 시 열을 동반한 경우는 176명(40.6%)이었고, 발작양상 중 전신 강직간대 발작이 272명(62.7%)으로 가장 많았다. 발작 횟수는 평균 $1.5{\pm}1.0$회였고, 발작 시간은 평균 $6.7{\pm}13.2$분이었으며, 응급실 도착 시 발작을 하고 있던 환자는 32명(7.4%)밖에 안 되었고 대다수 401명(92.6%)은 발작이 멈춘 상태였다. 433명 중 열성 발작은 302명(69.7%)이었다. 열성 경련 환자의 발열 원인은 급성 인후염이 135명(44.6%)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외 기관지염, 장염, 폐렴, 요로 감염 순이었으며 원인 미상도 98명이었다. 열성 발작을 제외한 발작 131명(30.3%) 중 간질이 원인인 경우가 93명(71.5%)으로 가장 많았고 이 외 경도 위장관염에 동반된 양성 경련, 출생 시 뇌 손상의 후유증 및 뇌의 발달이상, 중추신경계 감염 순이었다. 연령별 급성 소아 발작의 원인으로는 신생아군에서는 원인 불명 간질, 기타(패혈증), 전해질 이상 순이었으며, 생후 1-6개월에서는 특발성 간질, 열성 발작 순이며,6-24개월에서는 열성 발작, 경도 위장관염에 동반된 양성 경련,간질 순이었고, 2-6세에서는 열성 발작, 간질, 출생 시 뇌손상의 후유증 및 뇌의 발달이상 순이었으며, 6-15세에서는 간질, 열성경련, 중추신경계 감염, 출생 시 뇌손상의 후유증 및 뇌의 발달이상 순이었다. 또한 433명 중 214(49.4%)명은 입원 없이 응급실진료 후 귀가하였다. 결 론: 2004년에서 2006년까지 최근 3년간 마산삼성병원 15세 이하 응급실 내원 환자 9487명 중 급성 발작으로 내원한 환자는 433명(4.56%)이였으며, 2-6세 사이 남아에서 많았고, 이 중급성 인후염으로 인한 전신 강직간대 발작 형태의 열성 발작인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내원 시에는 열이 없는 경우가 조금 더 많았다. 6개월 이상 6세 미만 연령군에서는 열성 발작이, 6세 이상인 경우에는 특발성 간질이 가장 많은 원인이었다. 내원 당시 대부분의 환자는 발작이 멈춘 상태였으며, 발작은 대부분 1회였고 발작 시간은 5분 이내가 대다수였으며 절반(49.4%) 정도는 입원하지 않고 응급실에서 퇴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