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ethral catheterization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4초

Urethral False Tract가 있는 환자에 있어서 Guide Wire를 이용한 안전한 Foley Catheter의 유치방법 (Safe Placement of Urethral Foley Catheter Using Guide Wire in Patient with False Passage)

  • 김영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1호
    • /
    • pp.101-104
    • /
    • 1988
  • 외요도구를 통한 Foley catheter의 유치는 거의 대부분의 경뇨도적 내시경 수술 후 필수적으로 행하는 술기이다. 그러나 가끔, 특히 심한 요도손상을 입힌 경우나 요도에 false tract가 생긴 때에는 통상의 방법으로 Foley catheter의 외요도구를 통한 방광내로의 유치가 곤란하며 또한 심한 손상을 초래할 위험이 많다. 저자는 guide wire를 이용한 새롭고 안전한 요도 catheter의 유치방법을 고안하여 1986년 9월부터 1988년 6월 까지 요도협착으로 입원하여 internal urethrotomy를 받은 후 Foley catheter의 유치가 곤란하였던 7명의 환자 및 경뇨도전립선절제술후 Foley catheter의 삽입이 곤란하였던 3명의 환자에게 각각 시행하여 전례에서 성공하였다.

  • PDF

A method of bedside urethrography before catheterization in pelvic trauma in Korea: a case report

  • Hojun Lee;Sung Yub Jeong;Kun Hwang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6권4호
    • /
    • pp.451-453
    • /
    • 2023
  • We introduce a convenient method of urethrography before catheterization for patients with pelvic trauma that can be used in a resuscitation area. A 10-mL syringe without a needle was used. X-ray contrast medium (Iohexol, 300 mg I/mL) was administered through the urethral orifice using a 10-mL syringe without needle and a simple pelvic anteroposterior film was taken (70 kilovolt [peak], 50 mAs). A 36-year-old soldier with a saddle injury from a gun barrel was taken to a trauma center. He had a pelvic fracture and complained of hematuria. Bedside urethrography above described was performed. The anterior urethra showed nonspecific findings, but dye leaked from the posterior urethra. Bedside Foley catheter insertion was attempted, but the catheter could not be advanced past the membranous urethra. Thereafter, suprapubic catheterization was performed. On the day of the injury, iliac artery embolization was carried out. The dislocated sacroiliac joint was also treated using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n hospital day 7, guidewire Foley insertion was performed. This bedside urethrography technique is simple and useful for pelvic fractures in which urethral injury is suspected.

요실금 수술후 발생한 요도 폐색에서 외요도구 상방 질벽을 통한 요도 박리술: 치험 1례 보고 (Suprameatal Transvaginal Urethrolysis in Urethral Obstruction Associated with Anti-incontinence Surgery: A Case Report)

  • 유진욱;정희창;박동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376-379
    • /
    • 1999
  • 저자들은 전자궁적축술과 요실금 수술후 요도폐색이 발생한 43세의 여자 환자에서 장기간의 간헐적 자가도뇨법과 약물요법으로 치료되지 않아, 외요도구 상방을 통한 요도 박리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저자들의 견해로는 과거에 부인과 수술과 동반해서 시행하거나 혹은 복측으로 치골후방으로 접근하여 시행한 요실금수술이나 요도하부 슬링수술등의 방법으로 인해 요도 폐색이 발생시 외요도구 상방을 통한 요도박리술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요도 카테터 삽입술에서 리도카인 윤활제의 통증 감소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Pain Reduction Effects of Lidocaine Gel for Urethral Catheterization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홍현정;김가은;이하늬;이아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38-448
    • /
    • 2017
  • 본 연구는 요도 카테터 삽입술에서의 리도카인 윤활제의 통증 감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연구이다. 문헌검색은 PRISMA 가이드라인에 의거하여 데이터베이스 7개(MEDLINE, Cochrane Central, CINAHL, RISS, Koreamed, KISS, NDSL)와 회색문헌을 통해 수행되었다. 비뚤림 위험은 Risk of Bias(RoB) 도구를 통해 평가되었으며 자료의 분석은 RevMan 5.3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문헌의 선택배제기준에 따라 합계 성인 대상자 1904명이 포함된 16편의 문헌이 최종 선정되었으며 funnel plot에서 비뚤림 위험이 관찰되지 않았다. 리도카인 윤활제의 통증 점수는 대조군과 비교할 때 표준화된 평균차이가 SMD -0.96(95% CI: -1.43, -0.49)로, 전반적으로 유의한 통증 감소효과를 보였다(p<.001). 이질성(($I^2=95%$, p<.001)의 원인을 탐색하기 위해 카테터 종류(도뇨카테터, 경성 및 연성방광경 카테터)에 따라 하위집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표준화된 평균차이가 각각 SMD -0.88(95% CI:-1.51, -0.26), -0.31(95% CI:-0.63, 0.01), -1.93(95% CI:-2.88, -0.97)이었다. 도뇨카테터 삽입에서는 성별에 관계없이 통증 감소 효과가 있었으나 경성방광경 카테터에서는 남성에서만 유의한 통증 감소 효과가 있었다. 용량에 있어 경성 방광경 카테터에서는 리도카인 윤활제를 10-11ml 이상을 사용한 경우 통증 감소 효과가 관찰되었다. 도뇨카테터에서는 리도카인 윤활제를 도포하는 방법만으로도 시간에 관계없이 유의한 통증 감소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 리도카인 젤은 남성의 요도 내로 경성방광경 카테터를 삽입하는 경우, 남녀 모두에게 도뇨카테터 삽입을 하는 경우에 유용한 통증 감소용 윤활제로 확인되었다.

Adherence to the Clean Intermittent Catheterization Following a Customized Intensive Educ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Emptying Failure

  • Lee, Sang Rim;Lee, In Sook;Oh, Seung-June;Kim, Sung Hwa;Chin, Young Ran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67-475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dherence to the clean intermittent catheterization (CIC) and influencing factors on the adherence following a customized intensive education program (CIEP). Methods: This work is a retrospective descriptive study. The subjects were 226 emptying failure patients who learned in a CIEP from January 2012 to July 2014. The program developed in 2011 and consisted of 1) customized theoretic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urologic tests, underlying disease, or surgery of the patients, 2) hands-on practice until the trainees were able to master the techniques, 3) questions about the process of catheterization and what he/she needs to know. 4) at follow-up, the survey about adherence and barrier to CIC. Clinical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satisfaction, understanding, and self-confidence; the barrier in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sults: The short-term adherence rate (median 22 days) is 87.6% and the long-term adherence rate (median 112 days) is 50.4%. The biggest obstacle is time management. The levels of satisfaction, understanding, and self-confidence are very high. The variable of Income is the only factor that has influence on adherence. Conclusion: Despite the CIEP, the adherence rate is relatively low. In addition to the education,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s and regular follow-up are needed to improve long-term adherence.

수용개작방법을 활용한 간헐도뇨 간호실무지침 개발 (Development of Nursing Practice Guideline on Intermittent Urinary Catheterization by Using Remake Process)

  • 정인숙;정재심;서현주;홍은영;박경희;정영선;최은경;권경민;유양숙;이연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2권3호
    • /
    • pp.285-29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preventing intermittent urinary catheterization (IUC) related complications using guideline remake process. Methods: Guideline remake process was conducted according to guideline adaptation manual developed by Gu et al (2012) which consisted of three main phases and 9 modules including a total of 24 steps. Results: Newly developed IUC guideline consists of introduction, overview of intermittent catheterization, summary of recommendations, recommendations, references, and appendices. There were 50 recommendations in 5 sections including assessment, equipments, catheterization, complications management, and education/consult. Three recommendations (6%) were graded A, and five (10%) and 41 recommendations(82%) were B and C, respectively. Conclusion: The IUC remade-guideline was developed based on evidence-based nursing and therefore, this guideline is recommended to be disseminated and utilized by nurses nationwide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for IUC and to decrease the IUC related complications.

영유아에서 초음파 감시하 치골상부 방광천자와 도뇨관 채뇨의 비교 (Comparison of Ultrasound-guided Suprapubic Aspiration with Urethral Catheterization in Infants)

  • 이정원;이승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1권1호
    • /
    • pp.59-64
    • /
    • 2007
  • 목적 : 소변 가리기 훈련이 안된 영유아에서 치골상부 방광천자는 오염율이 낮은 최상의 방법(gold standard)이며 초음파 감시하에 시행하여 성공률을 높이고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침습적인 방법으로 여겨져 기피되고 도뇨관 채뇨가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초음파 감시하 치골상부 방광천자와 도뇨관 채뇨의 성공률, 합병증과 정확도를 비교해 보고자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3년 6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원인불명의 발열로 이대 목동병원 응급실을 찾아온 영유아중에서 소변을 가리지 못하고 요로감염이 의심되어 소변검사를 시행하게 된 1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차 조사에서는 초음파 감시하 치골상부 방광천자(32명)와 도뇨관 채뇨(32명)를 무작위로 시행하여 성공률과 합병증을 조사하였고 이차 조사에서는 상기 두 가지 채뇨법을 동시에 시행(57명)하여 도뇨관 채뇨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성공 기준은 0.5 mL 이상의 소변을 얻은 경우로 하였고 요로감염의 진단은 단일 요로병원균이 $10^5CFU/mL$ 이상 배양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통계분석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고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 성공률은 초음파 감시하 치골상부 방광 천자군이 첫 번째 시도 시 71.9%(23/32), 두 번째 시도 시 25.0%(8/32)로 총 성공률은 96.9% (31/32)였고 도뇨관 채뇨군은 첫 번째 시도 시 90.6% (29/32), 두 번째 시도 시 6.3%(2/32)로 총 성공률 96.9%(31/32)를 보여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천자된 소변량은 초음파 감시하 치골상부 방광천자군 $7.4{\pm}3.7mL$로 도뇨관 채뇨군의 $4.5{\pm}2.6mL$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합병증은 도뇨관 채뇨군의 53.1%(17/32)에서 배뇨통을 보여 초음파 감시하 치골상부 방광천자군의 0%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이차 조사에서 도뇨관 채뇨의 정확도는 초음파 감시하 치골상부 방광천자에 비해 민감도 59.5%(25/42), 특이도 86.6%(13/15)였고 위양성률 13.3%(2/15), 위음성률 40.5%(17/42) 로 정확도가 낮았다. 결론 :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영유아에서 요로 감염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도뇨관 채뇨에 비해 초음파 감시하 치골상부 방광천자가 정확하고 안전한 채뇨법으로 권장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PDF

당뇨병성 방광병증으로 진단된 배뇨장애 환자 치험 1례 (A Case Study of a Patient Diagnosed as Diabetic Cystopathy with Dysuria)

  • 김미경;김보람;김용형;최동준;한창호;정승현;신길조;이원철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123-1129
    • /
    • 2008
  • There's a case of a 74-year-old male patient who was recommended urethral catheterization because of voiding problem which is diagnosed as diabetic cystopathy. According to the Differentiation of Symptoms(辨證), we classified his situation as kidney yang deficiency (腎陽虛衰), prescribed Uchasingi-hwan(牛車腎氣丸). and treated with moxibustion and electroacupuncture. After nine days of such treatments, he started voiding himself without catheterization, and the volume of residual urine decreased. So we report this case.

  • PDF

수컷 개에서 발생한 요도 조임근 기능 부전에 의한 배뇨실금의 방광 고정술을 이용한 외과적 치료 증례 (Cystopexy to Treat Urinary Incontinence Due to Urethral Sphincter Mechanism Incompetence in a Male Dog)

  • 윤헌영;신동욱;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15-518
    • /
    • 2014
  • 배뇨실금, 변비를 보이는 중성화된 수컷 요크셔테리어가 내원하였다. 신체검사에서 배뇨곤란 증상이 확인되었고 신경학적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요검사에서 세균이 확인 되지 않았으며 직장 검사에서 정상 크기의 전립선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요도 카테터는 저항감 없이 삽입 되었으며 비뇨기계 조영 촬영에서 골반강 내에 위치한 방광이 확인 되었다. 이소성 요관과 같은 선천적 이상은 확인 되지 않았으며 골반강 내 방광을 동반한 요도 조임근 기능 부전증이 진단 되었다. 방광을 복강내 정상 위치로 환납하기 위한 방광 고정술이 결정 되었다. 와욕 봉합을 이용 방광목 부분을 복벽 및 치골 앞 인대에 고정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방광 외측 부분을 복벽에 고정하였다. 방광 상단 부위는 복벽 절개창 부위에 고정 하였다. 수술 후 배뇨를 돕기 위해 방광내 카테터를 장착하였으며 수술 후 3일 째 제거하였다. 카테터 제거 후 3 일째 정상 배뇨가 확인되었으며 수술 후 2 달째 방광 조영 촬영을 통해 방광이 복강 내에 정상적으로 위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보호자와의 지속적인 전화 통화를 통해 수술 후 3년 11개월까지 정상 배뇨를 확인하였다.

신경인성 방광 간호에 관한 고찰 (Literature Review of Neurogenic Bladder Care)

  • 김원옥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25-236
    • /
    • 1998
  • The literature review about bladder management method given to maintain and improve health of neurogenic bladder patients was done. Because the study of neurogenic bladder patients in nursing field is not enough, I tried to find report the study tendency through literature review, 1. There are five types of neurogenic bladder such as uninhibited neurogenic bladder, reflex neurogenic bladder, autonomous neurogenic bladder, sensory paralytic neurogenic bladder, and motor paralytic neurogenic bladder. 2. The accurate assessment of neurogenic bladder is done mainly through urodynamics and especially cystometrogram and urethrogram are used. 3. As the study of therapeutic management, the effect of Desmopressin, bladder auto-augmentation, incision of external urethral sphincter muscle, subarachnoid block and pudendal never block using phenol was studied. 4. For the study of general management, the effect of bladder training progam, intermittent catheterization and infection control has been studied but there has not been any obvious study in nursing field. Reviewed the study con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e bladder training program in order to increase life quality of neurogenic bladder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