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ease 활성도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초

한약재 추출물에 의한 Helicobacter pylori의 생장 및 Urease 활성 억제 (Innibition of Cell Growth and Urease Activity of Helicobacter pylori by Medicinal plant Extracts)

  • 윤양식;이성훈;백남인;김현영;박창호
    • KSBB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187-191
    • /
    • 2004
  • 14종 한약재의 70% 에탄을 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은 황련 (Coptis japonica Makino)이 가장 뛰어 났으며, 소엽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소목 (Caesalpinia sappan L.) 및 형개 (Schizonepeta tenuifolia Briq.)의 경우에도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Helicobacter pylori의 위내 서식을 도와주는 것으로 알려진 urease 활성억제능은 연교 (Forsythiae Fructus)의 메탄올 (80%)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소목 및 형개의 추출물도 높았다. 특히 연교의 경우 한약재 추출물을 넣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80% 이상의 활성이 억제되었다. 연교의 메탄올 추출물을 물, 에틸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부탄을 순으로 분획하여 각 분획물에 대한 urease 활성억제능을 검색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92%의 urease 활성이 억제되었다.

답토양(畓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과 Urease의 활성(活性) (The Influence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Urease Activity in Paddy Soils)

  • 조강진;문을호;정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7-81
    • /
    • 1984
  • 영남지역(嶺南地域) 답토양(畓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과 토양중(土壤中)의 urease 활성(活性)과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해 본 결과(結果) ; 1. 토양(土壤) 화학적(化學約) 성분(成分)과 urease 활성(活性)과는 유효인산(有效燐酸)($r=0.844^{**}$), 가리활성도비(加里活性度比)($r=0.762^{**}$), 유효규산(有效珪酸)($r=0.580^{**}$), $SiO_2$/O.M비(比)($r=0.591^{**}$) 등(等)과는 유의(有意)한 정상관(正相關) 관계(關係)였다. 2. 토양화학성분중(土壤化學成分中) 유기인산(有機燐酸)이 urease 활성(活性)에 미치는 기여도(寄與度)가 가장 컸다. 3. 토성별(土性別) urease의 활성(活性)은 사질토(砂質土)에서 가장 낮았으며, 토성(土性)이 식질화(埴質化)됨에 따라 증가(增加)하였다. 4. 토양(土壤) 배수등급별(排水等級別) urease 활성(活性)은 배수(排水)가 양호(良好)할수록 높았으며 배수(排水)가 불량(不良)한 답(畓)에서 낮은 경향(傾向)이었다. 5. Urease 활성(活性)이 높은 토양(土壤)이 상위등급지(上位等級地)의 답(畓)에 속(屬)하였다.

  • PDF

답토양(畓土壤)에서 요소(尿素)의 분해양상(分解樣相)과 Urease의 Kinetic 특성(特性) (Urea Transformation and Kinetics of Soil Urease in Paddy Soils)

  • 조강진;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3-78
    • /
    • 1988
  • 답토양(畓土壤)에서 요소(尿素)의 분해양상(分解樣相)과 관련(關聯)한 urease의 Kinetic특성(特性)을 알기위해서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과 urease활성(活性)이 상이(相異)한 4개(個) 토양(土壤)을 사용(使用)하여 toluene처리(處理) 및 무처리(無處理) 조건(條件)에서 시간별(時間別) 요소(尿素)의 분해량(分解量)과 요소(尿素) 농도별(濃度別) urease활성(活性)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Toluene 무처리(無處理) 조건(條件)에서는 총(總) urease활성(活性)이 높은 강서(江西) 사양토(砂壤土)에서 요소(尿素)의 분해(分解)가 가장 빨랐고 1차반응속도정수(次反應速度定數)와 Km 및 Vmax치(値)도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호남(湖南) 미사식양토(徵砂値壤土)> 장천양질사토(長川 壤質砂土)> 광포(廣浦)(염해답(鹽害畓)) 사용토(砂壤土) 순(順)이었다. 그리고 tolune처리(處理)는 전(全) 토양(土壤)에서 요소(尿素)의 분해(分解)를 지연(遲延)시켰으며 토양축적(土壤蓄積) urease활성(活性)이 가장 느렸으며 1차반응속도수(次反應速度定數)와 Km 및 Vmax값도 가장 낮았다. 그리고 토양(土壤)에 축적(蓄積)된 urease의 Km치(値)가 미생물(微生物) 분비(分泌) urease의 Km치(値)보다 적었으며, 미생물(微生物) 분비(分泌) urease의 Km치(値)는 토양간(土壤間)에 차이(差異)가 경미(輕微)하였다.

  • PDF

간척답토양(干拓沓土壤)에 볏짚 및 석고시용(石膏施用)이 뇨효소(尿酵素), 초산환원효소(硝酸還元酵素) 및 아초산환원효소(亞硝酸還元酵素)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Rice Straw and Gypsum on the Changes of Urease, Nitrate Reductase and Nitrite Reductase Activities in Saline Paddy Soil)

  • 이상규;김영식;황선웅;박준규;장영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5-110
    • /
    • 1985
  • 신개간간척답토양(新開墾干拓畓土壤)에서 볏짚 및 석고시용시(石膏施用時) 토양중(土壤中) Urease활성(活性), 초산(硝酸) 및 아초산환원효소활성(亞硝酸還元酵素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고저 실내(室內)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척답토양(干拓畓土壤)의 Urease활성(活性)은 일반답토양(一般畓土壤)에 비(比)하여 1/10정도(程度)로 낮고 담수초기(湛水初期)보다 담수후기(湛水後期)에 높았으며 볏짚시용(施用)은 석고시용구(石膏施用區)보다 Urease 활성(活性) 증가효과(增加效果)가 높았다. 2. 초산환원효소활성(硝酸還元酵素活性)은 삼요소구(三要素區)에 비(比)하여 석고(石膏) 및 볏짚시용(施用)으로 증대(增大)되었으며 그 효과(效果)는 볏짚보다 석고시용(石膏施用)으로 더욱 증대(增大)되었다. 그러나 볏짚과 석고병용시(石膏倂用時)는 효소(酵素)의 활성(活性)이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다. 3. 아초산환원효소(亞硝酸還元酵素)의 활성(活性)은 담수초기(湛水初期) 볏짚과 석고시용(石膏施用)으로 현저(顯著)히 증대(增大)되었으며 볏짚과 석고병용효과(石膏倂用效果)는 볏짚단용구(單用區)와 비슷한 결과(結果)를 보였다. 4. 토양중(土壤中) 효소활성간(酵素活性間)의 관계(關係)를 보면 Urease활성(活性)과 Ammonia농도간(濃度間)에는 정상관관계(正相關關係)($r=0.550^*$) Urease활성(活性)과 아초산환원효소활성간(亞硝酸還元酵素活性間)에는 부상관관계(負相關關係)($r=0.555^*$) 그리고 초산환원효소(硝酸還元酵素)와 아초산환원효소간(亞硝酸還元酵素間)에는 정상관관계(正相關關係)($r=0.296^*$)를 보였다. 5. 볏짚과 석고시용시(石膏施用時) 토양중(土壤中) 초산(硝酸)과 아초산(亞硝酸)의 생성(生成)은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의 산화(酸化) 및 환원작용(還元作用)에서 First Order Kinetic에 의한 효소반응식(酵素反應式)으로 밝혀졌다.

  • PDF

Urease 저해활성 측정 cuvette assay에 의한 중금속 이온 검출 (Detection of Heavy Metal Ions by the Cuvette Assay Measuring Urease Inhibitory Activity)

  • 김동경;박경림;강은미;박인선;김남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2호
    • /
    • pp.74-78
    • /
    • 2003
  • Urease 활성이 중금속 이온에 의하여 저해되는 현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발색시약을 사용하는 광학적인 방법으로 효소반응에 의한 암모니아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암모니아 농도에 따른 cuvette assay 시의 흡광도 중가는 암모니아 농도 3.0 mg/l 까지 직선성을 보였으며 이 때의 상관계수는 0.998(r)이었다. 중금속 이온에 의한 urease의 저해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질에 단일 중금속 이온의 농도별 용액을 가하여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효소의 저해도는 Hg(II)>Pb(II)>Cu(II)>Cd(II)>Zn(II) 이온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 가지의 중금속 이온 농도를 고정하고 다른 중금속 이온을 각기 다른 농도로 가하면서 urease활성을 측정하였을 때 효소의 저해도는 대체로 개별 중금속 이온에 의한 저해의 총합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결과는 본 연구의 방법이 Hg(II) 이온에 대한 선택적 검출법으로서 뿐만 아니라 여러 형태의 시료 중에 존재가능한 중금속 이온들을 정성적으로 판별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요소엽면시비(尿素葉面施肥)가 Urease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Foliar Spray of Urea on Urease Activity in various Plant Leaves)

  • 홍종욱;이효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1호
    • /
    • pp.15-20
    • /
    • 1981
  • 본 실험에서는 요소(尿素) 엽면시비(葉面施肥)에 의한 잎내 urease 효소의 활성도(活性度)에 미치는 영향을 콩, 라이맥, 토마토, 무 및 배추를 공시재료(供試材料)로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urease 활성도(活性度)의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효소조액(酵素粗液)에 포함되어 있는 암모니아 이용 효소 중에서 열(熱)에 약한 효소의 불활성화(不活性化)를 꾀하고져 효소 반응액을 $60^{\circ}C$에서 3시간 동안 처리시켰다. 뇨소 처리를 받은 잎에서 urease 비활성도(比活性度)가 뇨소 무처리구(無處理區)에서 보다 엽면살포 후 일반적으로 2 내지 4일 동안에는 약간 높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뇨소 처리구와 무처리구 간의 효소비활성도 차이는 어느 식물에서나 뇨소 처리 후 48시간 경과하였을 때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콩과 라이맥의 경우에는 각가 6%와 10% 정도 높았고 토마토와 무에서는 약 20%정도, 배추에서는 60%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단백질의 함량은 콩과 토마토의 경우에서는 뇨소 처리구에서 엽면살포 후 약5일 동안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높은 수준(水準)을 유지했으나 라이맥, 우무 및 배추에서는 본 실험기간 동안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잎내의 암모니아 농도는 urease 활성이 증가된 뇨소 처리구에서 오히려 약간 낮은 값을 보였다. 이상(以上)의 실험결과들은 뇨소의 엽면살포시 식물의 잎속으로 흡수(吸收)되어 들어간 뇨소가 urease의 생합성을 유도(誘導)하여 빨리 질소원(窒素源)인 뇨소를 식물 성장에 필요한 다른 대사물로 전환시켜 결과적으로 단기간내에 식물의 생육상태(生育狀態) 개선(改善)을 촉진시킨다고 사료된다.

  • PDF

제럼본의 요소가수분해효소 활성 억제 평가 (Evaluation of Urease Inhibition Activity of Zerumbone in vitro)

  • 우현준;이민호;양지영;권혜진;연민지;김도현;문철;박민;김사현;김종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65-270
    • /
    • 2017
  • 요소가수분해효소는 요소를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로 가수분해하는 효소로 요로감염을 일으키는 세균의 주요 병원성 인자이다. 따라서 요소가수분해효소는 세균이 요로감염증을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요소가수분해효소를 생성하는 6가지 종류의 세균에 (K. oxytoca, K. pneumoniae, M. morganii, P. mirabilis, P. vulgaris, S. saprophyticus) 대한 제럼본의 억제효과와 요소가수분해효소 활성능을 평가하였다. 최소억제농도와 최소살균농도 실험에서 제럼본은 요소가수분해효소를 생성하는 6가지 종류의 세균에 대해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최소억제농도는 0.5-2 mM, 최소살균농도는 1-4 mM를 나타내었다. 요소가수분해 활성억제 실험에서 제럼본은 요소가수분해효소의 억제제로 사용하는 아세토히드록사민산 보다 뛰어난 요소가수분해 활성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제럼본은 요소가수분해효소를 이루는 소단위체의 발현양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제럼본은 요소가수분해효소를 생성하는 세균에 대한 살균력을 가질 뿐 만 아니라 훌륭한 요소가수분해 활성억제력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Zeolite 에 의(依)한 Urease 의 흡착(吸着) (Adsorption of Urease on Zeolite)

  • 최정;박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80-385
    • /
    • 1988
  • Zeolile에 의한 Urease의 활성(活性)과 특성(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Zeolite의 Urease 흡착양상(吸着樣相)과 흡착(吸着)된 Urease의 여러가지 성질(性質)들을 조사(調査)하였다. Zeolite의 존재하(存在下)에서 용액중(溶液中)에 유리(遊離)된 Urease는 흡착(吸着)이 최대(最大)에 도달(到達)할 때까지 Zeolite에 흡착(吸着)되며, pH 7.0에서의 최대흡착량(最大吸着量)은 11.3mg urease/100mg Zeolite이었다. Zeolite에 의한 Urease의 흡착(吸着)은 주로 정전기적(靜電氣的) 결합(結合)에 의하여 Zeolite의 외표면(外表面)에서 이루어지며, 흡착량(吸着量)의 70%이상(以上)이 30분(分) 이내(以內)에 흡착(吸着)되었다. 흡착(吸着)된 Urease는 Free Urease에 비(比)하여 활성(活性)이 89.6%나 감소(減少)되었으며, Km치(値)는 3배(倍) 이상(以上)이나 증가(增加)된 34.4mM이었다. 흡착(吸着)된 Urease의 최적(最適) pH는 6.5~7.0으로 Free Urease의 7.0에 비하여 그 범위(範圍)가 넓어졌으며, Protease에 대한 저항성(抵抗性)은 약(弱)하여 졌다. 또한, 기질특이성(基質特異性)과 열(熱)에 대한 안정성(安定性)에는 변화(變化)가 없었다.

  • PDF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로부터 Helicobacter pylori Urease Inhibitor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elicobacter pylori Urease Inhibitor from Rubus coreanus Miquel)

  • 양성우;호진녕;이유현;신동훈;홍범식;조홍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769-777
    • /
    • 2004
  • 위염과 위궤양의 일차적 발병 인자로 알려진 Helicobacter pylori의 생육을 억제하고 urease 산물인 암모니아의 축적에 의한 위점막 손상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복분자로부터 H. pylori urease저해물질을 분리정제하고 소재화와 관련된 일부 성질을 규명하였다. 양념 채소류, 차류, 죽류, 건강채소류등의 식용식물, 약용식물, 허브 및 해조류, 총 173종으로부터 극성도에 따라 계통추출한 수용성인 냉수추출물(Fr, 1), methanol 추출물(Fr.4), 열수추출물(Fr.5) 519점을 대상으로 H. pylori urease 저해활성을 검색하였다. 1차 및 2차 저해활성 검색 결과 복분자의 70% acetone추출물이 약 24%의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 추출물을 ethyl acetate와 butanol을 사용하여 ethyl acetate/DW layer(RCE/RCWl)와 butanol/DW layer(RCB/RCW2)로 순차 분획한 후 활성획분인 RCW2 내의 활성 본체를 확인할 목적으로 periodate oxidation과 pronase digestion을 실시한 결과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성 물질로 판명되었다. 저해활성 물질은 DEAE-Toyopearl 650C, Butyl-Toyopearl 650M 및 Sephadex LH-20순의 column chromatography에 의 해 분리 정제되었다. 분리 urease 저해물질, RCW2-IIIc $\alpha$는 HPLC의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에 의해 비교적 순도 높은 분자량 약 13 kDa의 단일 물질임이 확인되었다. 저해활성물질은 열에 안정성을 보이 는 내열성 단백질임을 알 수 있었고 위내 단백분해효소인 pepsin에도 가수분해 저항성을 나타냄으로써 기능성식품의 소재로 높은 소재화 적성을 보였다.

요소분해 저해에 미치는 목초액의 영향 평가 (Effect of pyroligneous acids on urease inhibition)

  • 박현준;박진희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2호
    • /
    • pp.173-178
    • /
    • 2017
  • 본 연구는 요소비료를 처리할 때 가수분해가 일어나 암모니아로 휘산되어 손실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목초액이 요소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존에 수많은 요소분해 합성억제제들이 개발 또는 탐색되어 왔으나, 토양 또는 환경 별로 효과가 일정치 않고 합성물질의 경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 등 때문에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농업자재인 목초액이 토양 중 요소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요소분해효소(urease)활성 억제효과를 통해 평가하였다. 목초액은 식물 urease와 미생물 urease 활성저해 효과뿐만 아니라 다양한 urease complex가 존재하는 토양 urease에도 저해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요소분해효소의 저해는 jack bean urease 반응속도를 측정한 결과 non-competitive inhibition으로 판단된다. 또한 목초액을 요소와 함께 토양에 처리하였을 경우 토양 내 요소분해작용을 억제하였다. 이를 통해 목초액을 요소 비료와 같이 처리할 경우 식물에 공급되는 질소의 효율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토양에 공급되는 질소비료의 총량을 절감하여 친환경 농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