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earch Result 193,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U-City 활성화를 위한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의 개정방향 (A Study on the Direction of Legal System Improvement for Ubiquitous City Activation)

  • 장환영;사공호상;이재용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67-78
    • /
    • 2015
  •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은 2010년까지 신도시 지역에 활발히 추진된 U-City 사업의 제도적 근간으로 작용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기성시가지 재활성화, 도시재생 중심으로 국가의 도시정책이 변화됨에 따라 신도시 중심의 절차법적 성격이 강한 U-City법 개정에 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도시정책의 변화와 U-City를 둘러싼 여건변화를 감안하여 U-City법 개정방향을 U-City 사업다양화, U-City 관리운영 강화, U-City 사업지원으로 설정하고 그에 따른 세부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 도시정책 흐름 및 수요를 반영함에 있어 실무적 관점에서 현행 U-City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살피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적인 U-City 발전 및 확산을 법제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구임대아파트의 사회물리적재생이 거주노인의 사회관계망에 미치는 영향 -대전시 무지개 프로젝트 한마음아파트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o-Physical Regeneration on Social Network of Elderly Residents -Focused on Hanmaum public apartment of Daejeon implemented under Rainbow project)

  • 임의선;이연숙;김주석
    • KIEAE Journal
    • /
    • 제10권5호
    • /
    • pp.31-41
    • /
    • 2010
  •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is changing toward holistic regeneration with residents' participation all over the world. While world leading projects in holistic regeneration such as "Ballymun of Ireland" and "Buffalo of U.S.A" appeared, recently in Korea, "Rainbow project" is getting paid attention as a similar example due to its Socio-Physical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Socio-Physical Regeneration on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of Elderly Residents in a public rental apart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elderly residents who have resided since much before the environmental intervention. The research methods is in-depth interview. Specific features of social network included awareness of the physically improved surrounding environment, awareness of and participation in welfare programs, social interactions, identity, and vandalism behavior. As results, most of elderly residents recognized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felt very positive enough to enhance their attachment and pride in their residences. Physical environment changes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and also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ir relations with community. Considering that permanent public rental housing has been a socially isolated place, it is significant to notice that residents' perception of being excluded and behaviors are changed gradually being influenced by environmental improvement.

도시재생 과정을 통한 전통시장 비주얼머천다이징 성공사례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Merchandising of Traditional Markets in Urban Regeneration)

  • 임진이;이정민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12호
    • /
    • pp.55-63
    • /
    • 2014
  • Purpose -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onsiderations for rejuvenating traditional public market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at is because the traditional market is not just a commercial space but also a living center for local people's existence. Cultural contents like these are invaluable assets in the contemporary economy. However, traditional markets are gradually declining because of changes in distribution systems and consumer lifestyles. New distribution systems such as modern distribution markets, home shopping, and online shopping malls made traditional markets less competitive. Further, traditional markets have not been able to adapt to the changing consumption styles of younger generations. Some say that it is a natural phenomenon that cannot be stopped. However, traditional markets are not just another distribution system but also a valuable resource that encapsulates the local people's tradition and history. Thus, a revitalization strategy for traditional public markets has become an urgent task in contemporary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is study aimed to find ways to activate traditional public markets by making it a community landmark based on visual merchandising perspectives. Research design and methodology -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Granville Island (Vancouver, Canada) as a role-model project for rejuvenating the traditional market. It investigated Granville Island both with walk-through evaluation and literature reviews. Results - We found that it has been developed not only to improve visual aspects, but also to promote cultural contents with high value added. For example, the developers maintained the visual elements that tell the original history of the site as an industrial factory. The renewal project had a balance between improving the outer look and creating attractive contents. The following are the merits of Granville Island that Korean traditional markets should note. First, they kept the whole area clean and hygienic. Second, merchants are well educated, business-savvy, and consumer-oriented. Third, the area's total environmental designs were done by professionals of a high caliber. Fourth, the city government and the merchants'association were collaborating well in their efforts to accommodate the changing needs of consumers. Conclusions - This study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as a conclusion. First, it will be a very powerful tool to rejuvenate the traditional market if we can discover unique cultural resources and develop them as cultural products, experiences, and events. Consumers of the 21st century have a strong tendency to consume not only material products, but also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attached to them. Second, in order to mainta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arkets, fostering the viability of the merchants' association and local residents' society would be essential.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the traditional market into a cultural place not only for the shopping patronage of local residents, but also for attracting tourists to increase sales. Finally, professional management and design approaches are needed in order to make the traditional market a pleasant space from a visual merchandising standpoint.

지속가능한 도시산업공간 정책 -미국 주요 도시의 경험과 시사점- (Sustainable Urban Industrial Space Policy: Experiences and Implications from US Cities)

  • 김진오;박정일
    • 지역연구
    • /
    • 제36권3호
    • /
    • pp.53-65
    • /
    • 2020
  • 본 연구는 미국 도시의 도시산업용지 보존 및 산업 교외화 방지 정책과 도시재생 프로젝트 사례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산업공간 조성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뉴욕시의 Industrial Business Zone, 시카고의 Planned Manufacturing District, 산호세의 순상실 방지(no-net-loss)정책, 그리고 필라델피아와 시애틀에서 최근 도입된 용도지역제를 중심으로 미국 도시의 도시산업공간 정책과 제도를 검토하였다. 이들 정책과 제도의 시행은 도심의 산업용지가 타용도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업활동 증진과 도시민을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보다 세분화되고 진화된 형태의 용도지역제의 도입은 변화하는 산업수요에 맞추어 보다 다양한 형태의 도시산업공간을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었다. 한편 포틀랜드 Willamette Industrial Urban Renewal Area, 애틀랜타 BeltLine, 밀워키 메노모니 밸리를 중심으로 도시재생 프로젝트 계획사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산업용지의 보전과 활성화를 위해 용도지역제 등을 통한 공간계획적 차원의 정책을 보완·강화할 것. 둘째, 산업용지의 효과적 보전과 재생을 위해서는 기존 산업용지의 토지이용과 고용주 및 고용인을 우선적으로 배려할 것. 셋째, 산업용지의 보전과 재생을 위한 용도지역제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적극적 참여와 배려를 위한 주민참여형 계획을 수립할 것. 마지막으로 도심 산업용지의 보전 과정에서 제기되는 민감한 환경오염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토지이용 전략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프랑스의 창조도시정책: 낭트의 창조도시 개발사업을 중심으로 (Creative City Policy in France: Case studies on Creative City Development Projects of Nantes)

  • 배준구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16-629
    • /
    • 2016
  • 이 논문은 도시재생을 통해 창조성을 살리는 도시정책을 선도적으로 추진하여 성공을 거둔 프랑스 낭트(Nantes)시의 창조도시 개발사업 사례(추진과정, 거버넌스, 성과)를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낭트는 조선소의 폐쇄로 인한 지역경제의 침체가 심화됨에 따라 창조도시사업을 통해 새로운 도시발전을 도모하였다. 낭트의 창조도시사업은 약 20년간 추진되었는데 성공적 경제전환과 함께 도시의 이미지 제고에 기여하였으며, 프랑스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평가를 받고 있다. 낭트는 창조도시사업의 추진과정에서 유럽 프로젝트 참여와 더불어 다른 도시들의 사례를 참조하고, 전문가들의 아이디어를 수용하여 낭트 고유의 모델을 모색하였다. 낭트는 창조도시사업의 추진과정에서 규모와 여건에 맞게 다른 도시들과 차별화하고, 명확한 목표와 역동적 협동 작업에 초점을 두면서 도시와 문화 프로젝트 간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낭트는 쇠퇴한 지구의 재생을 위해 건물이나 공간을 창조적으로 바꾸고, 역사 문화자원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창조산업을 창출 또는 유치하였다.

공·폐가를 활용한 예술마을 대상지 선정방법 - 광주광역시(대한민국)를 중심으로- (Site selecting method of Art-Village using Empty House - Focused on Gwangju, Korea-)

  • 최우람;원현성
    • KIEAE Journal
    • /
    • 제16권5호
    • /
    • pp.81-86
    • /
    • 2016
  • Purpose: An increase of empty houses is recognized a serious problem in residential environmental improvement areas and old downtown. The government recognizes the empty houses as a reason for the accelerated formation of local slum, and a negative element threaten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urban landscape. Therefore, it has a high interest in the use of empty house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is study, we propose a site selecting method for the composition of Art-Village by using empty houses. Method: The main process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dot map and contour map based on a survey of the empty houses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Based on this result, the site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five principles; 1) Density of Empty Houses, 2) Accessibility, 3) Resources of Amenity, 4) Related Plan, and 5) Regional arrangement Result: As a result, this research proposed methods of selecting sites for art village by using empty houses. The eight regions were selec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지역재생 관점의 공공건축 기획시스템 현황과 개선방향 - 서울시 공공건축 기획 사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Public Architectural Planning System from a Local Regeneration Perspective - A Case Study of the Public Architectural Projects in Seoul -)

  • 김혜련;이운용;이정형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6호
    • /
    • pp.47-56
    • /
    • 2018
  • This study aims to reconsider public architecture as effective resources for the local regeneration and draws a couple of issues based on analysis of planning status and cases from the perspectives of local regeneration.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as ways of improvement of public architecture planning: first, in order to secure systematic management of local re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build up a dedicated organization or collaboration system that organically links and manages public facilities. Also related criteria that include the feasibility study, preliminary examination system, conduct review of investment and review standards need to be supplemented.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plan including the periphery of public architecture in the aspect of integrated urban planning, and to set up a selection of location standard that supports public architecture be a local center. Lastly, to activate local communities, the study proposes diversification of ways of combining programs and a process for participation and operating funds.

도시재생사업에서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Index for Gentrification occurred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이정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87-194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생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검토하고 국내외 연구 자료를 통해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표를 도출하여 정량화 된 수치로 진단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지표를 바탕으로 구조와 주체, 생산과 소비, 공급과 수요, 자본과 문화로 4개 평가영역을 구분하였다. 영역별 중요도를 살펴보면,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중요지표로 생산과 소비측면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공급과 수요, 구조와 주체, 자본과 문화 순으로 나타났다. 세부요인별로는 구조와 주체에서 매출액변화, 생산과 소비에서 프랜차이즈 증가, 공급과 수요에서 임대료 상승, 자본과 문화에서 통행량의 증가를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도시재생사업지역 내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지표를 중요도로 분석한 결과 프랜차이즈 증가, 1인 창업, 임대료 상승, 부동산 가치 상승 등 생산과 소비, 공급과 수요 측면에서 높은 가중치를 보이고 있다. 즉 도시재생 사업지역 내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은 기존 사례지역에서 알 수 있듯이 프랜차이즈 증가와 임대료 상승에 대한 부분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모니터링을 통해 단계별 대책이 필요하다.

구도시 재생정책을 위한 인과관계 분석 (Causal Relations Analysis for Older City Regeneration Policy)

  • 황희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53-260
    • /
    • 2017
  •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올바른 재생정책의 방향과 비전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방중소도시의 재생정책은 획일적인 물리적 재개발정책이나 예산지원에서 벗어나 지역주민들의 집단 효능감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지방중소도시의 구도심 주민들을 대상으로 과거와 비교한 현재의 쇠퇴정도를 물리적 부문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환경 인구 교육 복지 문화 등의 종합적인 부문에 대해 분석하여 각 부문별 쇠퇴양상과 정도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 목적은 구도심 주민들의 쇠퇴지각이 지역주민의 집단 효능감과 재생사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인과 관계와 그 영향정도를 규명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북부 D시 설문에 참여한 시민으로 응답한 설문지 309장을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SPSS 22.0과 AMOS 22.0을 활용하였고, 유의수준 .05를 기준으로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적 의의는 지방중소도시의 재생정책 마련에 필요한 연구 자료가 되며, 시사점으로는 쇠퇴현상에 대한 정량적요인 뿐만 아니라 정성적 요인에 대한 다양한 현상을 종합하여 도시쇠퇴수준 및 특성을 꾸준히 연구하고 지역불균형을 해소하는 개발정책에 대안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Automatic wall slant angle map generation using 3D point clouds

  • Kim, Jeongyun;Yun, Seungsang;Jung, Minwoo;Kim, Ayoung;Cho, Younggun
    • ETRI Journal
    • /
    • 제43권4호
    • /
    • pp.594-602
    • /
    • 2021
  • Recently, quantitative and repetitive inspections of the old urban area were conducted because many structures exceed their designed lifetime. The health of a building can be validated from the condition of the outer wall, while the slant angle of the wall widely serves as an indicator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Mostly, the inspector directly measures the inclination of the wall or partially uses 3D point measurements using a static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These approaches are costly, time-consuming, and only limited space can be measured. Therefore, we propose a mobile mapping system and automatic slant map generation algorithm, configured to capture urban environments online. Additionally, we use the LiDAR-inertial mapping algorithm to construct raw point clouds with gravity information.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walls from raw point clouds and measures the slant angle of walls accurately. The generated slant angle map is evaluated i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and the accuracy is compared with real tiltmeter measur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