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population

검색결과 1,458건 처리시간 0.022초

농어촌뉴타운조성사업의 특성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of Rural New Town Development Project)

  • 한석종;주석중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39-46
    • /
    • 2011
  • The agricultural population, the farming, the agriculture of our country has been decreased more rapidly than those of other countries. Also, the changing speed of the rural village in Korea has shown a similar trend. By considering the urbanization process and migration state caused by the economic growth and the increasing level of relative poverty in comparison with the urban area, it has been necessary to go through the impoverishment and slum-orientation of the rural area. In our country, the rural village became old age. So, the collapse is predicted to a population shortage if such trend is continued in the village society. according to investigate, Many urban peoples have opinion that migrates to a farm village. but those not migrate to rural community. The mainly reason is low life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ed the plan that the urban people migrates to a rural village, and must have the plan to be engaged in the agriculture. lt was the rural-fishing New Town development project that started in 2009 for 30~40 years's urban people. This study is about characteristic and improvement of Rural-Fishing New Town development project.

The Aging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Infrastructure and Community Environment: Searching for Polic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 Kim, Dohyung;Park, Jiyoung;Bae, Chang-Hee Christine;Wen, Frank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9권1호
    • /
    • pp.79-94
    • /
    • 2020
  • This study reviews how an aging society can be connected to the urban-built environment, transportation system, infrastructure, and climate change topics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and innov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Each topic was described with the aging society that we will encounter in the near future. Based on the expected discussions, we suggested how polic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may interact with the new emerging society. Especially, digital transformation is expected to hyper-connect the aging society beyond physical barriers where numerous policies and innovat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shed light on the elderly population. We observe, however, that this cannot be achieved only by the government sector; rather, municipal governments and local communities, as well as private sectors, all together need to prepare for the new society of the aging population. Furthermore, an ideal approach is to accommodate multidisciplinary studies that can address the polic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simultaneously and collectively. By doing so, we can minimize the negative impacts when an aging society approaches.

Effect of Gardening as a physical activity on the improvement of Blood lipoprotein profile in an urban population in Republic of Korea: A pilot study

  • Jang, TaeSu;Lee, Ae-Kyung;Park, EunJi;Kim, Jae K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3호
    • /
    • pp.170-178
    • /
    • 2022
  • Purpose: Gardening has been reported to have positive emotional and physical effects in older adults. However, limited studies have assessed this relationship in Korea. Therefore, in this pilot study of densely populated urban dwellers,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emporary but repeated experiences of the natural environment could positively change metabolism-related blood indicators. Methods: This study used pre- and post-interventional design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6 weeks of gardening on lipid profiles in an urban adult population and investigate their relationships. This study was conducted 30 times at the H Botanical Garden in Yongin City from August 16, 2021 to November 30, 2021 (16 weeks, twice a week, 3 hours each time). Before and after the gardening program, a clinical pathologist collected blood samples from the participants. Results: High-density lipoprotein levels increased, low-density lipoprotein levels decreased,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decreased after the gardening activity.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gardening has potential for clinical application as it has good control over the lipid profile through physical activity.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populations and their living environment and for various studies in the future as experiencing the natural environment provides many health benefits.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한 서울시 대중교통 서비스 형평성 분석 - 취약계층 유형별 이동성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Equity of Public Transit Service using Smart Card Data in Seoul, Korea - Focused on the Mobility of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Groups -)

  • 이호준;하재현;이수기
    • 지역연구
    • /
    • 제33권3호
    • /
    • pp.101-113
    • /
    • 2017
  • 본 연구는 2014년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장거리 통행에서 대중교통 의존도가 높은 교통 취약계층의 대중교통 이동성을 평가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특히, 신체적인 문제나 제도적으로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하게 되는 교통약자(노인, 청소년)와, 경제적 여건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통근통행을 하는 저소득층 인구를 중심으로 대중교통 이동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서울시의 노인, 청소년, 기초생활수급자의 분포와 각 취약계층의 대중교통 이동성 수준을 함께 고려하여 각 취약계층의 대중교통 이동성 취약지를 식별하고, 이를 종합하여 대중교통 이동성 개선 우선 지역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대중교통 이동성이 낮으며, 교통취약계층 인구가 많이 거주하고 있는 15개의 대중교통 우선 개선지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의 실제 통행 데이터인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중교통의 이동성을 평가한 점과 교통 취약계층의 기본적인 이동성을 위해 대중교통 서비스가 개선되어야할 대중교통 이동성 취약지를 식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지역 내 문화체육자원이 도시성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s of Local Cultural and Sports Resources on Urban Growth)

  • 곽정현;서원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06-716
    • /
    • 2016
  • 최근 높아진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인식으로 여가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와 체육과 관련된 다양한 자원을 통해 해당 도시를 성장시키고자 하는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점에서 지역 내 문화체육자원이 도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통한 정책적 방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 228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문화체육자원을 중심으로 사회 교통 공간성격의 범주에 포함되는 도시의 다양한 개별자원 지표를 이용해 지역의 인구, 산업, 재정측면의 성장에 있어서의 영향관계를 준로그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해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체육자원을 포함한 다양한 지역 내 자원들은 해당 도시의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구성장 측면에서는 공공체육시설 및 프로스포츠시설의 확충을, 산업성장 측면에서는 프로스포츠시설의 유치를 통한 지역 내 소비증가를, 재정건전성 측면에서는 연관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큰 프로스포츠시설 유치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본 연구는 생활체육을 바탕으로 한 삶의 질 환경 조성 및 산업기반으로서의 문화스포츠 기반조성은 도시성장에 있어 중요하며, 이러한 자원을 활용한 도시성장 정책은 차세대 전략으로 지방정부가 관심을 가질만한 충분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심지 위계 분석을 통한 대전시 도시공간구조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Urban Spatial Structure through Central Hierarchy Analysis: Focus on Daejeon)

  • 류경수;박성은
    • 지역연구
    • /
    • 제40권2호
    • /
    • pp.57-73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차별화 된 분석지표를 활용하여 2040년 대전의 중심지 위계와 도시공간구조를 설정하는 것이다. 미래의 대전시의 도시공간에서 중심지 위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인구밀도, 건축물의 용도(상업 및 업무, 주거 등), 통행량 데이터(KTDB) 등 3개 지표를 도출하였다. 지표를 활용하여 중심지 위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핵)기능을 담당하는 1차 중심지는 둔산도심과 원도심(대전역세권, 도심융합특구지정), 도안신도시 일원으로 3개 지역으로 설정하고, 부도심(지역거점)에 해당하는 2차 중심지는 9개로 설정하였으며, 지역중심(생활권 중심)에 해당하는 3차 중심지는 10개, 그리고 특화거점 5개를 신설하는 중심지 위계를 설정하였다. 둘째, 2030대전도시기본계획 상 중심지 위계와는 다른 새로운 2차 중심지와 3차 중심지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3개 지표를 통해 도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도시공간구조와 중심지 위계 설정에 있어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CPTED 요소로써 서울시 공원·녹지의 효과와 계획적 함의 (The Effects of Urban Park and Vegetation on Crime in Seoul and Its Planning Implication to CPTED)

  • 조민균;박찬;장정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7-35
    • /
    • 2018
  • CPTED 기법을 의무적으로 적용함에 있어서 공원 녹지의 부정적인 부분만 반영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는 공원 녹지의 긍정적 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CPTED 요소로써 공원 녹지의 효과를 이론과 데이터에 근거한 실증과 이를 통하여 계획적 함의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로는 통계청과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통계자료와 USGS의 Landsat8 위성영상을 활용하였으며, 사용된 분석 도구로는 ArcGis와 통계 프로그램 SPSS, Microsoft Excel, R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공간통계분석, 상관분석, 문헌분석을 추가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회귀분석의 결과는 총인구(${\beta}=.663$), 풍속대상업소 수(${\beta}=.447$), 관할구역의 면적(${\beta}=.395$)은 범죄율과 양(+)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녹지의 효과를 보여주는 유동인구(${\beta}=-.241$)와 수목활력(NDVI, ${\beta}=-.281$)은 음(-)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원 녹지가 유동인구를 높이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목활력(NDVI)은 심리적 안정을 통해 폭력성을 낮추고, 영역성 강화와 이미지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CPTED 요소로써 공원 녹지의 물리적 공간배치와 프로그램 및 관리방안에 관한 계획적 함의를 제시했다.

도시공원 서비스권역 내 · 외 이용인구 정밀 분석 - 대구광역시 근린공원, 주민등록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Sensitivity Analysis on the Population within and outside of the Urban Park Service Areas - Focused on Daegu Metropolitan City Neighborhood Parks and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Data -)

  • 손승우;안동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9-18
    • /
    • 2013
  • 본 연구는 도시공원 공간적 분포의 문제점을 도시공원 서비스권역과 주소별 주민등록 데이터를 사용한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도시공원 중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지정된 "거주자의 보건 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이바지 하기 위해 설치"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크게 1)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분석, 2)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내 외 인구분석, 3) 기존 연구와의 비교 검토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들에서 나타났던 거주민 분석의 한계를 개선하고자 차별성을 두어, 각 주소별로 등록된 거주민 주민등록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거주하는 주민수를 적용하였다.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또한 기존에 주로 사용되었던 직선거리를 적용한 버퍼분석이 아닌 보행로, 새주소길 등을 적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도출한 결과,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면적은 전체면적의 7.99%의 비율을 보였으며, 전체 주거지역 중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면적은 31.23%의 비율을 보였다.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내에 거주하는 인구는 대구광역시 인구의 43.03%만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인구 반 이상의 인구가 서비스권역 외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방법과의 비교 검토 결과는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및 서비스권역 내 외 인구 수치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의 식이섬유 섭취상태의 연차적 추이(1969~1990) (Annual Changes in the Estimated Dietary Fiber Intake of Korean During 1969~1990)

  • 이혜성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7권1호
    • /
    • pp.59-69
    • /
    • 1994
  • Dietary fiber(DF) intakes of Korean during 1969∼1990 were estimated and the major food sources of fiber were analyzed using the data from the Annual Reports of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 The estimated daily DF intake of Korean has gradually decreased during the 22 years, from 24.46g in 1969 to 17.31g in 1990 with a remarkable decline in 1987. The average DF intakes of the rural population were higher than those fo urban's until 1980, but the situation was reversed until 1987 and the regional difference in DF consumption disappeared thereafter. Vegetables, cereals, grain and legumes were the major sources of fiber for Korean in recent 5 years(1986∼1990), providing 32%, 16% and 19% of DF intake respectively. Throughout the 22years, the intakes of DF from cereals and fresh vegetables have been reduced and those from processed vegetables, seaweeds and fruits has been increased. Df intake from legumes continuously increased until 1986, and it decreased thereafter. Rural population consumed more fiber from cereals than the urban's during the 1970s, but thereafter regional difference in cereal fiber intakes became insignificant. Urban population consumed more fiber from legumes and fruits than the rural's through the entire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resent DF intake of Korean is considerably lower than generally anticipated and is below the tentative recommended DF intake and thus higher DF intake than the present level is needed.

  • PDF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the development of smart cities in Tanzania

  • Mwakitalima, Isaka J.;Rizwan, Mohammad;Kumar, Narendra
    • Advances in Energy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35-146
    • /
    • 2020
  • In developing countries especially in African continent, rapid population growth in cities is a major concern. Majority of governments in Africa have made more effort to develop urban areas as compared to the rural ones.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are more concentrated in urban areas. This is a pushing factor for the rapid population growth in cities as many people, especially young generation, tend to migrate from rural to urban. This growth leads to excessive exploitation of natural resources,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increased pressure on social services. Rapid increased population acts as an encouragement to construct smart cities for achieving needs for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s. Tanzania as one of the developing countries in Africa has taken initiatives in establishing smart cities. The aim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examin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the development of Smart cities in Tanzania with a case study of Mbeya city. In addition, conceptualization about development of smart cities is proposed to prioritize the planning of smart grid among other smart city infrastructure systems. Conclusively, Mbeya city has a full potential of many strengths and opportunities for successful development as a smart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