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parks

검색결과 618건 처리시간 0.021초

도시 주거지 학교와 공원의 주차장 입체화 사례의 형태와 이용 특성 분석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Utilization of Mixed-use Schools and Parks with Parking Facilities in Urban Residential Areas)

  • 김윤선;양우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1-12
    • /
    • 2011
  •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life environment and economic growth, the more highly a city has developed, the more concentrated is the urban function. That is, a city is required for adding more infrastructure. But, both limited land resources and financial problems made it impossible to add infrastructure. So, the necessity of multi-dimensional planning of urban infrastructure was recognized. Especially, in the urban residential area, a mixed-use of the playground of a school and the empty space of a park is desired to serve the issue of insufficient parking spaces. Schools and parks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a town, and playing a central role for the town life. For this reason, they are highly demanded in urban residential areas and also expected to be effective. However, we need to consider not only parking convenience but also the safety of users in design process, because people using parks and schools include young students and the elderly. In this study, we mainly examined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utilization of schools and parks with parking facilities in urban residential areas. Then, we analyzed cases through comparing and evaluating in terms of convenience and safety. and weighed up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schools and the parks having parking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references for preparing design standards for such facilities.

동경의 녹지공간 조성과 그 운용에 관한 연구 -도시공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reating and Utilizing the Green Space in Tokyo -focusing on city parks-)

  • 이현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7-264
    • /
    • 1999
  • In this study, I investigate how city parks have been created, and what are som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and function of 69 city parks in Tokyo. The city parks in Tokyo have been made in three patterns. The first is planned parks which have been created as a urban facilities considering the scales and types. The second is memorial parks which have been made to memorialize the national monumental event or to preserve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The third is public property parks which have been made by occurrence of public vacant land which is resulted from the grant of Royal Garden, restoration of public rented ground, producton of reclaimed land, utilization of dry river bed. The city parks can be classified in five patterns according to distance from CBD and park area. The first is central parks which have historical characteristics strongly. The second is planned parks that are specialized functionally. The third is large scale urban edge parks which are located in the edge of 23-Gu(district) in Tokyo. The fourth is hill parks which have natural characteristics strongly. The fifth is waterside parks that are located along a lake, a pond, a river, or artificial waterside facilities. From this study I have found out that a great effort has been made to activate the utilization of parks for residents in Tokyo, through mnagement goals and ways of parks, composition and chatacteristics of park facility resources, various Events, residents participation in undertaking of parks.

  • PDF

Mapping and Analyzing the Park Cooling Intensity in Mitigation of Urban Heat Island Effect in Lahore, Pakistan

  • Hanif, Aysha;Nasar-u-Minallah, Muhammad;Zia, Sahar;Ashraf, Iqra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27-137
    • /
    • 2022
  • Urban Heat Island (UHI) effect has been widely studied as a global concern of the 21st century. Heat generation from urban built-up structures and anthropogenic heat sources are the main factors to create UHIs. Unfortunately, both factors are expanding rapidly in Lahore and accelerating UHI effects. The effects of UHI are expanding with the expansion of impermeable surfaces towards urban green areas. Therefore, this study was arranged to analyze the role of urban cooling intensity in reducing urban heat island effects. For this purpose, 15 park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ir effects on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of Lahore. The study obtained two images of Landsat-8 based on seasons: the first of June-2018 for summer and the second of November-2018 for winter. The LST of the study area was calculated using the radiative transfer equation (RTE)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theme parks have the largest cooling effect while the linear parks have the lowest. The mean park LST and PCI of the samples a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fractional vegetation cover (FVC) and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 So, it is concluded that urban parks play a positive role in reducing and mitigating LST and UHI effect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increase of vegetation cover should be used to develop impervious surfaces and sustainable landscape planning.

수변공원과 체육공원의 중요 속성 (Salient Attributes of Waterfront Parks and Athletic Parks)

  • 홍성권;이상우;이민우;이상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33-43
    • /
    • 2007
  • The revised Urban Park regulations newly adopt Theme Parks in order to enhance richness and diversities of urban services to communities. However, the regulations ambiguously define the main facilities and service programs of the theme parks. And there have been increasing concerns about confusions in terms of the main facilities and service programs of the theme parks among landscape designers/planners, local governments and relevant field of areas. Misunderstanding on the facilities and service programs of the theme parks may lead to ruin the purposes of the new urban park regulations. In the lights of these, this paper tries to reach a consensus for main facilities and service programs of two theme parks including athletic park and waterfront park, based on measured potential users' preferences with a conjoint choice model. For waterfront parks, potential users show low preferences or negative responses to facilities which are perceived as un-environment friendly. They also show high preferences on ecological areas sitting near to streams. For athletic parks, potential users show demand to introduce something different facilities and atmosphere from existing athletic parks. The demands are particularly high for children's play ground facilities and service facilities. This study also show some methodological examples to compute the carrying capacity with two hypothetical alternatives. This approach might be beneficial for local governments which are wish to alternate the park size on the basis of local conditions such as their financial conditions and land availability.

도시공원에서 스케이트보드 활동 공간 발달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Transition of a Skateboarding Space in an Urban Park)

  • 조한솔;손용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26-39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공원에서 스포츠 활동 중 하나인 스케이트보드 활동이 어떻게 공간적으로 발달하게 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 과정을 통해 도시공원이 동적 활동을 수용하는데 나타나는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신문기사에 나타난 스케이트보드 문화 유입에서부터 공간 설치에 관한 내용을 담론분석을 통해 도출하고, 시기별로 어떠한 요인에 의해 공간 생성 혹은 소멸로 이어졌는지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케이트보드 행태가 공원에서 일부 공간으로 자리 잡은 데는 세 가지 원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도시 공원이 스케이트보드 이용에 적절한 장소로 이용자와 운영자 모두 받아드렸고, 이 이용에 대한 긍정적 시대 담론과 결합해 공원정비가 이루어졌다. 둘째, 시대적으로 다른 신생, 혹은 대중적 스포츠와 흐름을 같이 하면서 복합적인 용도 공간 창출이 가능할 때 스케이트 파크가 집중적으로 발달하였다. 셋째, 신도시간의 문화 비교 양상과 공원 유치를 스포츠 마케팅의 수단이 되어 지역경제를 부흥하려는 양상을 볼 수 있고, 이때 스케이트보드 공원의 보급이 이루어졌다. 반대로 공간 소멸로 이어지는 원인은 첫째, 일부 공간을 점유하는 방식이나 장소의 행태가 부딪치는 공간은 소멸로 이어졌다. 둘째, 이용자 행태를 담지 못한 설비의 부적절함과 일시적이고 이벤트성의 대회, 행태만을 위한 설비가 공간 자체를 오래 이용할 수 없는 설비로 이어졌다. 셋째, 메가 이벤트의 개최와는 상관없이 국내에서는 이런 기물을 지속적으로 활용할 만큼 문화현상이 지속되지 않았고, 공간용도와 다른 행태를 유도하는 스케이트보드 문화가 이어져 전용 공간에 대한 관심이 멀어지게 되었다.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한 도시공원과 스포츠 활동의 수용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논할 수 있다. 첫째, 일시적인 이슈와 경향 등 공간의 설정에 대한 담론을 뛰어넘는 스포츠 활동을 제공할 수 있는 계획 설정이 부족하다. 둘째, 공간적의 설정에서부터 생성 이후에 따라오는 공원에서 스포츠 활동 운영에 있어서 공간과 활동의 상호작용이 부족하다. 셋째, 다양하게 나타나는 스포츠 활동과 기존 공간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다양한 시도로 해결하는 움직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원에서 스포츠 활동의 수용과 발달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현 도시공원의 체재에서 동적 행태를 수용하는 동안 나타나는 상황들을 파악해 봄으로써 스포츠를 공원에 계획하는 것에 대한 문제를 제고해볼 수 있는 연구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강동구 도시 녹지축 기능 활성화를 위한 도시공원의 생태적 리뉴얼 방안 연구 (Ecological Renewal Plan of Urban Parks for the Revitalization of Urban Green Axis in Gangdong-Gu)

  • 박정아;한봉호;곽정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2-27
    • /
    • 2023
  • 본 연구는 강동구의 조성형공원 중 도시 녹지축에 입지한 환경생태적인 가치가 높은 공원을 대상으로 도시공원의 생태적 리뉴얼 조성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적용한 설계를 제안하였다. 강동구의 개황과 도시공원 개황을 분석하고 강동구의 토지이용 및 녹지율, 공원녹지, 녹지축 현황을 분석하여 리뉴얼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강동구의 조성형 공원은 근린공원 2개소, 어린이공원 52개소로 총 54개소였으며 현황검토 1단계에서는 공원이 자연축, 녹지축상에 입지 및 인접 여부 등 입지적 가치 분석을 통해 17개소를 추출하였고, 2단계에서는 각 공원 서비스권역 내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비율을 바탕으로 1단계 추출 공원 중 8개소를 선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공원면적의 법적 기준 충족 여부를 통해 2단계 추출공원 중 2개소를 선정하였으며, 4단계에서는 공원의 노후화 조사를 통해 3단계 추출 공원 중 1개소를 선정하였다. 리뉴얼 대상지의 도시생태적 현황은 엔트로피 저감 측면의 토지이용현황, 물순환 측면의 토양피복현황, 생물다양성 측면의 식재구조현황을 조사하였다. 리뉴얼 대상지 3곳의 현황분석 결과는 녹지면적은 18.3-45.3%로 부족하였고 시설지 면적은 54.7%-81.7%로 높아 도시온도 저감효과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불투수포장 면적이 공원 면적의 34.5%-48.9%로 시설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물순환 기능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재구조는 단층과 복층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교목층은 양호하였으나 하부식생이 빈약하였고 식이식물이나 대경목 식재지는 없어 생물다양성이 낮은 상태였다. 본 연구에서 리뉴얼 대상지로 선정한 선린어린이공원, 당말어린이공원, 샘물어린이공원을 생태적으로 리뉴얼 설계한 후 공원별 생태면적률은 리뉴얼 전보다 1.4-3배 이상 증가하였다. 도시 녹지축에 입지한 도시공원을 도시생태계의 관점으로 바라보고 이를 생태적으로 리뉴얼하면 도시생태계 측면에서 엔트로피 저감, 물순환 건강성 향상, 생물다양성 기반조성에 기대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공원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도입시설 연구 (Searching for Facilities and Service Programs for the Establishment of Urban Park Identification)

  • 홍성권;이민우;이상민;안명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29-36
    • /
    • 2007
  • The new Urban Park Regulation encourages local governments to introduce new types of urban parte such as historic parte, cultural parks and neighborhood parte. However ambiguity among those parks in terms of main facilities and providing recreational programs makes it difficult for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landscape designers and planners, to adopt this new regulations. In this light, the present study aims to search for park facilities and programs defined by the new regulations, in order to satisfy users' demands for those parks with consideration to parks' unique characteristics. For these purposes, a conjoint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hree hundreds participants. Sampled participants include the citizens of Seoul as well as current residents of Paju.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participants would like to have distinctive programs and facilities at these three new types of parks. However, no considerable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levels of programs and facilities participants wish to have, due to unfamiliarity with, in particular, cultural and historic parks. Despite this in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ttribute levels, study results clearly suggest that residents wold like to have new types of facilities and recreational programs.

중심지리론에 의한 도시근린공원의 세력균점점리론 모형 (Equilibrium Point Model Of Urban Community Parks Based On A Centrality Index Model)

  • 권상준;심경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0-128
    • /
    • 1993
  • This study suggests one hypothesis: The strength of the catchment forces of urban community parks can be represented as an equilibrium point model, which is derived from a centrality index for. That model was designed by Reilly(1931) and developed by Godlund(1956). An equilibrium point model for the catchments is represented as followed formulae: m=$\frac{CA2}{CA-CB}$ m=$\frac {{{{{L SQRT {{C}_{A}$.$ {C}_{B}} {CA-CB} Here, m is distance from the center of park A to the cetner of park B. r is radius of a circle where the catchment between park A and B is equal pointed traces. CA is index of the centrality of park A from Reilly's Law. CB is an index of the centrality of park B from Reilly's Law. L is an the distance between park A and B. The equilibrium point model is testified in the case of Chong-ju community parks. The testification has been limited to the application to such manifest outdoor recreational facilities as bentches, even though there are statistically and economically problems for a quantitative model to be testified. But the testification could be a rationale for the catchment forces of urban community parks, which was quantitatively represent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wo or there parks should be related with the feasibility of the parks. Therefore, the urban community park should be planned to be located, hiving separately its identity that might be considered with the facility diversification and the locational competitiveness of a park.

  • PDF

일제강점기 조선시가지계획령에 고시된 부산 소재 도시공원의 변천 (Transitions of Urban Parks in Busan noticed by the Chosun Planning Ordinanc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김영하;윤국빈;강영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15
    • /
    • 2017
  •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계획된 부산 도시공원 32개소를 대상으로 도시의 성장과 발전에 따른 공원의 변화과정을 고찰했다. 특히, 도시공원의 변화과정을 도시계획적 관점에서 검토하기 위해 부산시에서 편찬된 도시계획사 관련 서적, 부산시보 고시공고, 도시공원 유원지 녹지현황 내부 자료, 결재문서 등을 조사 분석했다. 그 결과, 일제강점기 일본 거류지역 일본인에 의해 조성된 대정공원, 고관공원, 용두산공원은 시가지 공원계획 이전부터 공원으로 이용되었으며, 이러한 공원을 포함한 1944년 법적으로 명시한 32개소의 공원은 방재기능을 고려하여 계획되었다. 해방이후, 한국전쟁의 혼란한 시기와 도시계획 재정비로 인해 공원부지는 무허가 건축물 난립, 주택건설, 상업지, 공공청사 및 학교 건립 등으로 이용되었으며, 그에 반해 도심지에 위치한 도로공원과 대부분의 소공원은 폐지되었다. 하지만, 그린부산 정책과 더불어 일제강점기 당시 도심 외곽에 계획된 미집행 공원은 도시 성장으로 도심지에 위치한 주요 공원으로 자리 잡아, 쾌적한 도시형성을 위한 공원사업으로 연지공원, 양정공원, 당곡공원이 조성되고 있다. 이렇게 일제강점기에 계획된 32개소의 공원은 부산 도시형성 과정의 시대상을 반영하여 폐지 또는 조성되었다. 폐지된 공원은 개발압력에 토지매입 효율성이 낮다고 판단된 공원이며, 조성되고 있는 공원은 개발이 용이하지 못했던 위치에 입지한 공원이다. 따라서, 공원이 사회공통자본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공원 부지의 토지매입 여건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매개중심성 분석을 활용한 서울시 미집행공원 내 사유지 보전 우선순위 평가 (Assessing Conservation Priority of Private Land in Unexecuted Urban Parks in Seoul Using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 황병묵;고동욱;강완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1호
    • /
    • pp.22-34
    • /
    • 2021
  • 2020년 7월 공원일몰제 시행을 앞두고 도시자연공원구역 지정과 관련 법률 개정을 통해 서울시 미집행 도시공원의 실효 시점이 연장되었다. 그러나 미집행 도시공원의 개발이 여전히 가능한 상황에서 공원녹지의 추가적인 토지개발이 예상된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 미집행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향후 공원 내 사유지의 토지전용이 일어날 상황을 가정하고 예상되는 경관 연결성 변화에 따른 우선매입 대상지를 선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원일몰제 시행 전과 후의 토지피복 변화와 생물의 이동능력을 반영한 4가지 경관투과성 시나리오(PB100, PB1, PA100, PA1)를 작성하였다. 이들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Connectivity Analysis Toolkit의 전류흐름 매개중심성(current flow betweenness centrality) 방식으로 경관 연결성을 계산하고 미집행공원별 전류흐름 매개중심성 순위 변화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공원일몰제 시행 이후 상황을 반영한 PA1과 PA100 시나리오에서 서울시 남부에 위치한 미집행 도시공원의 전류흐름 매개중심성 순위가 크게 감소하였고, 한강을 통한 이동이 어려운 PA1 시나리오는 북한산 인근 공원에서 전류흐름 매개중심성 순위가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미집행 도시공원의 환경적·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매입방안 모색에 있어 본 연구결과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