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growth

검색결과 1,063건 처리시간 0.032초

강원도 일부도시의 경관내 탄소흡수 및 배출과 도시녹지의 역할 (Carbon Uptake and Emissions in Urban Landscape, and the Role of Urban Greenspace for several Cities in Kangwon Province)

  • 조현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9-53
    • /
    • 1999
  • This study quantified carbon uptake and emissions in urban landscape, and the role of urban greenspace in atmospheric carbon reduction for several cities of Chuncheon and Kangleung in Kangwon province. Mean carbon storage by trees and shrubs was 26.0 t (mertric tons)/ha in Chuncheon and 46.7 t/ha in Kangleung for natural lands, and ranged from 4.7 to 6.3 t/ha for urban lands (all land use types except natural and agricultural lands) in both cities. Mean annual carbon uptake by trees and shrubs ranged from 1.60 to 1.71 t/ha/yr for natural lands, and from 0.56 to 0.71 t/ha/yr for urban lan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95% confidence level) between the two cities in the carbon storage and annual carbon uptake per ha, except the carbon storage for natural lands. Organic carbon storage in soils (to a depth of 60 cm) of Chuncheon average 24.8 t/ha for urban lands and 31.6 t/ha for natural lands, 1.3 times greater than for urban lands. Annual carbon accumulation in soils was 1.3 t/hr/yr for natural lands of the study cities. Annual per capita carbon emissions from fossil fuel consumption were 1.3 t/yr in Chunceon and 1.8 t/yr in Kangleung. The principal carbon release in urban landscapes was from transport and industry. Total carbon storage by urban greenspace (trees, shrubs, and soils) equaled 66% of total carbon emissions in Chuncheon and 101% in Kangleung. Carbon uptake by urban greenspace annually offset total carbon emissions by approximately 4% in the study cities. Thus, urban greenspace played a partial important role in reducing atmospheric $CO_2$ concentrations. To increase $CO_2$ uptake and storage by urban greenspace, suggested are conservation of natural lands, minimization of hard surfaces and more plantings, selection of tree species with high growth rate, and proper management for longer healthy tree growth.

  • PDF

GIS분석기법을 이용한 도시화 지역의 공간적 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수도권의 도시성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Urbanized Area using GIS Analysis: Focused on Urban Growth of Seoul Metropolitan Area)

  • 정재준;노영희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19-331
    • /
    • 2007
  • 도시화 지역은 지역발전과 더불어 공간적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수도권 역시 예외는 아니어서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경제개발을 주도하며 도시화 지역의 공간적 범위가 확대일로에 있다. 그러나 도시화 지역의 공간적 분포를 평가함에 있어 그 분포 양상이 집적형태인지 임의적 형태인지 아니면 분산된 형태인지는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다. 즉, 시기가 지남에 따라 도시화 지역이 확대되기는 하지만 정량적으로 그 분포를 판단하기란 쉽지 않다. 본 연구는 GIS의 통계적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도시화 지역의 확대와 성장이 도시화 지역의 분포 패턴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시계열적 도시성장 과정에서 수도권 내 도시화 지역의 분포패턴을 파악하고자 래스터 기반의 GIS 분석방법, 방격 분석(quadrat analysis), 그리고 최근린 분석(nearest neighbor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수도권의 도시화 지역의 집적정도는 1980년대 초반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후로는 약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1980년대 중반 이후 수도권 내에서는 외연적 성장이 약화되고 비지적 도시성장 또는 도로망과 연계한 소규모 개발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수원시 덕영대로의 가로수 건강성 평가 및 주요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Health Status of Street Trees and Major Affecting Factors on Deogyeong-daero in Suwon)

  • 김은영;정경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9-57
    • /
    • 2019
  • The street trees increase the liveability of cities by reducing stormwater runoff, improving air quality, storing carbon, providing shade, and ameliorating the urban heat-island effect. In this study, the health status of street trees in Suwon was evaluat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of the trees were also derived. In order to evaluate the growth and health of street trees,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on a total of 125 trees in 25 sections of the Deogyeong-daero where is through the city. During the field survey, the following items were examined: Street trees health status (i.e. species, height,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planting types, vigor, etc.), soil factors (i.e. soil temperature, humidity, pH, hardness, etc.), and environmental factors (i.e. landuse, road width, etc.). As the results of field survey, the main species of the street trees was Zelkova serrata, which was healthy in most of the sections. The factors such as planting types, soil temperatures, tree root cover, road extension, distance from the road were derived to affect the growth and health of street trees, and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or vigorous street trees: First, it is important to install and maintain the protection facilities like tree root cover for the growth of trees.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plant multiple trees in narrow spaces like a street green space. Third, it is important to provide appropriate soil conditions continuously for growth of threes. Finally, it should be utilized as a mitigation measure of urban heat island effects.

인천시 공간구조의 특성 변화와 체계적 도시구조 운영 방향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tructure and Urban Restructuring of the Incheon City)

  • 김대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4-34
    • /
    • 2003
  • 본 연구는 인천시 도시구조의 특성을 제시하고, 도시구조의 재편과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인천시는 인구증가와 함께 지속적인 외곽으로의 평면적 확산이 진행되고 있다. 대규모 개발사업에 따른 새로운 주거지로의 인구이동이 활발해짐으로써 기존 시가지의 쇠퇴가 두드러지는데 반해 시 외곽지역에 많은 인구가 집중하고 있는 추세이다. 인천이 추구해야 할 표시구조 재연의 기본 방향으로 네트워크형 도시구조 창출, 개발지정구역의 설정, 도심재활성화를 위한 발전축 조성, 생활권 중심지 개발을 제시하였다. 인천시의 도시구조 운영전략으로는 국제지향적 단지개발, 새로운 거점과 발전축 조성, 전문테마거리 조성을 통한 특화지향적 개발, 세계도시형 표시로의 성장을 위한 네트워크형 개발, 지역생활권 중심개발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인천의 안정적인 발전과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효율적인 도시구조 음영전략을 수립하는데 기본적인 틀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도시확장 분석을 위한 위성영상 토지이용 분류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Landuse Classification Nomenclature for Urban Growth Analysis using Satellite Imagery)

  • 김윤수;이광재;류지원;김정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83-94
    • /
    • 2003
  • 위성영상 자료는 도시의 물리적 확장을 분석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된다. 도시의 물리적 확장은 도시의 토지이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지속가능한 도시성장을 위해서는 토지이용을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성장관리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 토지이용의 분류는 우선 그 기준이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고 영상 해상도 등에 따라서도 그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도시 확장 분석을 위해서는 다중시기의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토지이용의 분류를 시행하고, 시기별 토지이용의 변화와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확장의 형태와 패턴을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향후의 도시 확장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 개발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도시 확장 예측모델 개발의 전 단계로써 다양한 공간 해상도를 지닌 원격탐사 자료의 국내외 분류기준의 검토를 통해,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토지이용 분류기준을 도시확장 분석의 측면에서 설정하고자 한다.

  • PDF

도시 상호작용에 따른 기능적 자기상관분석 및 기능계량경제모형 개발 - 중소도시의 경제성장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Functional Autocorrelation and Development of Functional Econometric Model through Urban Interactions - Focusing on Economic Growth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

  • 김도형;우명제
    • 국토계획
    • /
    • 제54권3호
    • /
    • pp.63-74
    • /
    • 2019
  •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polici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However, since it is often difficult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through individual projects, many local governments in metropolitan areas are working together to pursue local growth. On the other hand,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that are not included in metropolitan areas due to their spatial limitations hav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effective growth policies. Given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unctional correlation based on urban interactions and develop functional econometric model for the economic growth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This study uses spatial econometrics models and functional weight matrix to identify the effects of functional networks o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The results show the effect of functional networks on the growth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regional spatial planning that addresses effective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서울대도시지역 도시성장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rban Growth Forecasting fo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강영옥;박수홍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21-639
    • /
    • 2000
  • 도시는 산업혁명 이후 급속히 발달하기 시작한 인간의 대표적인 정주공간으로, 산업활동의 집중, 도시로의 인구유입으로 공간적인 범위가 확대되어 가고 있다. 급속한 도시성장은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른 온실효과, 대기오염의 증가 등은 심각한 도시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지속 가능한 도시성장을 위해 도시가 어떻게 성장해 왔는가를 분석하고, 향후의 도시성장을 예측하며, 이에 대한 적절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은 도시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도시지역을 대상으로 1957년부터 1997년까지의 도시성장에 관한 자료를 구축하고, 셀룰라 오토마타(Cellular Automata) 개념에 기초하고 있는 도시성장모델(UGM)을 이용하여 1998년부터 2050년까지의 서울대도시지역의 도시성장을 예측하였다.

  • PDF

해항도시의 경제성장과 해양산업 간의 관계 - 부산시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of Sea Port City and Ocean Industries: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 강윤호;우양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627-635
    • /
    • 2013
  • 본 연구의 주제는 우리나라 제1의 항만이자, 해양수도인 부산시를 대상으로 해항도시(sea port city)의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산업(ocean industries)의 장기적인 효과 및 그 주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즉 수산업, 해운항만산업, 해양관광산업, 조선업 등 해항도시의 다양한 해양산업이 그 도시의 경제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부산시를 대상으로 심층 연구한다. 이를 위해 해항도시의 경제성장과 각 영향변인들에 관한 논거를 살펴보고, 다시 이를 토대로 수산, 해운항만, 조선, 해양관광, 도시재정, 인구, 정치 등에 관한 변수를 설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항도시 부산의 사례에서 해양산업이 도시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산업, 해운항만산업, 조선산업, 해양관광산업 등 연구대상으로 삼은 모든 분야의 해양산업이 해항도시의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도시경제성장에 대해 해운항만산업과 해양관광산업 및 조선산업의 활성화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수산업의 활성화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들은 우리에게 해항도시에 대한 해양산업의 경제적 기여를 새롭게 인식하도록 만드는 동시에, 향후 정부가 해양산업에 관한 주요 성장동인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도시-농촌지역 고등학생의 성장, 혈압 및 혈중콜레스테롤에 대한 연구 (The Comparision of Growth, Blood Pressure and s-Cholesterol in High School Students from Rural and Urban Area of Korea)

  • 김락형;장인수;윤정훈;강신화;강현철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9-39
    • /
    • 200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growth, blood pressure, and s-cholesterol of urban and rural students in Korea. Methods: April 1999, We examined the students' health of a boys high school and a girls high school in a urban area - Jeonju, Korea.(boys were 317, girls were 343). And we also examined the students' health of a high school in a rural area - Gimje, Korea.(boys were 33, girls wee 36). Height, body-weight, Body Mass Index(BMI)I, blood pressure, and s-cholesterole were checked and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and Conclusion: The mean of height in urban students was $165.25{\pm}7.79cm$, and that in rural students was $163.77{\pm}8.72c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stically between two groups. The mean of body-weight in urban students $(57.78{\pm}10.51k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rural students $(54.71{\pm}10.11kg)$)(p<0.05). The mean of body mass index(BMI) in urban students $(21.12{\pm}3.27kg/m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rural students $(20.30{\pm}2.69kg/m2)$(p<0.05). Obese students $(BMI{\geq}27)$ were 31(4.70%) in urban students, 3(4.35%) in rural students. The mean of systolic blood pressure in rural students $(114.99{\pm}9.50mmH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urban students $(111.89{\pm}12.42mmHg)$(p<0.05) The mean of diastolic blood pressure in rural students$(75.72{\pm}9.90mmHg)$ was ver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urban students $(68.45{\pm}9.40mmHg)$(p<0.001). Hypertensives (${\geq}138/86mmHg\;in\;boys,\;{\geq}130/83mmHg$ in girls) were 28(4.24%) in urban students, 13(18.84%) in rural students. The mean of s-cholesterol in urban students was $174.95{\pm}32.28mg/dL$, and that in rural students was $176.81{\pm}33.18mg/d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stically between two groups. Hypercholesterolemias (${\geq}198mg/dL$ in boys, ${\geq}212mg/dL$ in girls) were 130(19.70%) in urban students, 14(20.89%) in rural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body weight, BMI,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between urban and rural student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se differences in health examination.

  • PDF

도시균형발전을 위한 도시공간구조 변화 진단 (Analysis of Changes in Urban Spatial Structure for Balanced Urban Development)

  • 김호용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0-5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 가능한 도시성장 관리를 위한 일환으로 도시균형발전을 위해 공간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도시공간 구조 진단하는 것이다. 도시공간구조는 다양한 활동의 상호작용이므로 공간구조 요소들의 패턴 변화 분석과 함께 요소들의 분석 결과를 연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구, 교통 분야에 대하여 접근하였으며, 대상지의 관련 법령에 따라 정의된 다양한 생활권별 공간구조를 분석하였다. 인구는 시계열별 변화 데이터를 공간통계기법인 Getis-Ord Gi* 기법에 적용함으로써 인구 집중지역에 대한 군집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교통은 출퇴근 교통 O-D 데이터를 Social Network Analysis 기법에 적용함으로써 중심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지 전체적으로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었으며, 중심성의 변화가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른 공간요인과 연계하여 해석함으로써 생활권별 도시공간구조를 전망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당 도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도시정책뿐만 아니라, 전 세계 많은 도시에서도 급속한 도시발전과 통제할 수 없는 개발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입하고 있는 다양한 도시 성장 관리 정책의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