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district

검색결과 686건 처리시간 0.029초

대규모 택지개발에 의한 도시확장이 도시 공간구조변화에 미치는 영향분석 -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Urban Area Expansion by Developing a Large Scale Residential District on Changes of Urban Spatial Structure - In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

  • 정영환;강인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137-146
    • /
    • 2006
  •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urban expansion by developing a new large scale residential district on changes of whole urban spatial structure. For the analysis, time seri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by using the space syntax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n expansion of urban area led to lower both of the local and global integration levels, second, the spatial occupation ratio of upper 10% in the whole integration showed that old city center was separated, and moved to the Dunsan District, third,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an integration of the old city center region maintained a high level in spite of a movement of city center and its local integration still had highest level so that the old city center will take one of the two city center roles together with Dunsan District.

대도시 혁신지구로서 테헤란밸리의 구성요소와 경쟁력 연구 (A Study on the Components and Competitiveness of the Teheran Valley as an Urban Innovation District)

  • 이효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1-336
    • /
    • 2019
  • ICT 산업이 국가경쟁력 성장에 일조하는 산업으로 발전하게 되면서 정부 지원을 통해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지역이 ICT 산업을 기반으로 활성화되었다. 본 연구는 벤처와 ICT 기업들의 밀집지역으로서 이들 발전에 핵심지역인 강남구 테헤란밸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테헤란밸리는 계획적으로 조성된 산업단지의 등장 등과 같은 주변 입지 변화로 잠시 쇠퇴하는 모습이 나타났지만 혁신에 앞장서는 스타트업을 위한 지역으로 재도약 하며 새로운 혁신지구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남구 테헤란밸리를 대상으로 대도시 내 새로운 도시형 혁신지구가 등장한 배경과 형성요인을 살펴보았다. 또한 대도시 혁신지구의 지표를 경제적/공간적 물리적/네트워크/인적 자산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대도시 내 새로운 도시형 혁신지구로서 테헤란밸리의 위상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스타트업과 이를 지원하는 기관들, ICT 기술 기반의 혁신주도 기업과 구성원이 집적된 도시의 혁신 지구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취락지구의 계획기반시설 가치 측정을 위한 사용자 지불의사 분석 - 청주시 자연취락지구 지구단위계획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User's Willingness to Pay for Value Measurement of Planned Infrastructure in the Settlement Zone - Around the District Unit Plan of the Settlement Zone in Cheongju-city -)

  • 윤기범;홍의동;황희연
    • 농촌계획
    • /
    • 제19권4호
    • /
    • pp.1-1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corresponding residents' benefit to get in the future from the district unit plan of the settlement zone by Cheongju local government. The target districts were selected as Gumdeong-gol district, Juseong district, and Shinmok-gol district, and Hyeonam district which had recently set their district unit plans. Specific targets to be analyzed were some infrastructure including roads, parking lots, parks and others. Using the analysis methods of the Logit model and non-parametric test approach, this study estimated to the average amounts to be willingly paid(WTP) by the residents in targeting settlement zones and tested the reliability of the average amounts of WTP.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WTPs for infrastructure under 1st influence area in target districts were estimated as 5,233won for road, 2,826won for parking lot, and 3,705won for park respectively. For the WTPs for infrastructure under 1nd area were estimated as 4,910 won for road, 2,242won for parking lot, and 3,620won for park respectively. Second, as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non-parametric WTP which built the 95% confidence interval, it was found that the all WTPs except the WTP for parking lot were fell into the 95% confidence interval. Third, as the result of calculating yearly total sum of benefits that the residents would get from the 1st influence area and the 2nd influence area, it was found that Gumdeong-gol district were expected to get 62,376,472won-amounted benefits, and Juseong district, and Shinmok-gol district, and Hyeonam district would get 35,0778,016won, 26,886,560won, and 22,252,032won respectively.

대구시 도심 토지이용 특성과 재개발 (The Land Use Characteristics and Renewal of Urban Central District in Daegu)

  • 이상율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92-607
    • /
    • 2003
  • 본 연구는 대구시 도심의 토지이용 변화와 재개발의 실태를 파악하고, 도심 공간의 쇠퇴가 토지이용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1980년대이래 우리나라의 대도시가 겪는 공통의 현상으로서 도심의 쇠퇴는 인구뿐만 아니라 경제활동에서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같은 도심의 공동화 현상과 관련하여 도심에서 토지이용을 크게 용도지역과 실제 토지이용의 측면에서 중심상업지구와 주거지역에서 변화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중심상업지역은 중심상점가에서 상업적인 기능이 강화되고, 업무적 기능은 정체 혹은 쇠퇴로 나타나는데 비해 주거용 토지이용은 다른 용도지역과 혼합되어 나타나지만 실제 개발은 필지 규모의 제약 때문에 도심 공간의 효율화에 저해가 되는 것으로 밝혀진다. 아울러 건축물에 기초한 토지이용 전환의 정도에 의해서 주거용도의 변화정도를 뒷받침하고 있다. 끝으로 도시재개발사업의 일환으로서 도심재개발 사업을 살펴보고, 현재의 문제점과 그 과정을 기술하였다.

  • PDF

도심주거지의 재생을 위한 건축협정의 도입과 적용방안 -교토시 도심부 아네야코우지카이와이(姉小路界?) 사례를 중심으로- (Introduction and Practice of 「An Architectural Agreement」 for Renewal of Residential Districts focused on Aneyakouji in the Center of Kyoto City)

  • 이민경;원세용;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67-7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roduction and practice method of "an architectural agreement" for renewal of urban residential districts. To solve this theme, this paper is intened to consider the formative procedur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an architectural zone by mutual agreement focused on Aneyakouji district in the center of Kyoto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an Aneyakouji district organized "a society recollecting Aneyakouji district", conflicting between the preservation of the traditional residential context and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mansion, attracted so many town meetings and various events, and contracted an architectural zone by mutual agreement on 2002, 7. And so this architectural agreement zone had been sustainedly developed, it is based on deep-rooted relationships, opening of events and meetings, and partnership of residents companies administrators professionals. We will introduce "an architectural agreement" considering the former contents such as the case study of Aneyakouji district.

  • PDF

그린투어리즘 활성화를 위한 도시민의 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the City People to Revitalize the Green Tourism)

  • 김익환;장한섭;김영민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51-59
    • /
    • 2009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duce the image of city people on rural district, and to clarify the city people's demands on rural tour and their consciousness on green tourism. This study also aims to propose the effective ways of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rural district to revitalize green tourism and to promote the exchange between urban and rural districts.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most city people have a warm-hearted lyric image on rural district. In addition, it is indicated that the city people like the rural district with beautiful scenery, which is easy to contact with nature. On the other hand, as the goal of green tourism, in addition to the contact with nature, the exchange between urban and rural districts and the understanding on the rural life through personal experience are also considered very important. Finally, the city people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green tour program with emphasis on the city people of overall-type.

  • PDF

어촌, 농촌, 도시 지역별 주민의 식품을 통한 다이옥신의 섭취량 추정 (Comparison of Estimated Daily Dietary Intake of Dioxins in Coastal, Rural, and Urban District)

  • 박정덕;황명애;임룻;최병선;양재호;배윤정;전예숙;최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25-33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식생활 양상이 서로 다를 것으로 생각되는 어촌, 농촌, 도시 지역별 각각 213명, 193명, 187명을 대상으로 직접면담과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식사섭취조사를 실시한 후 35가지 식품 중 다이옥신 함량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다이옥신 섭취상태를 비교 평가하였다. 지역별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어촌 61.5세, 농촌 57.6세, 도시 49.4세 순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신장은 도시 대상자가 160.0 cm로 어촌의 158.1 cm나 농촌의 157.7 cm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지역별 남녀 성별 분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일 에너지 섭취량은 농촌 1707.7 kcal, 도시 1596.5 kcal, 어촌 1493.8 kcal로 농촌이 어촌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1일 총 식품섭취량은 지역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어패류는 어촌 지역이, 곡류, 채소류, 육류, 조미료류는 농촌지역이, 당류, 두류, 난류, 해조류, 우유류, 유지류는 도시지역이 가장 높았다. 35종 식품의 다이옥신 함량자료를 이용하여 평가한 어촌, 농촌, 도시 대상자의 1일 다이옥신 섭취량은 어촌이 0.70 pgTEQ/kg/day로 농촌의 0.32 pgTEQ/kg/day나 도시의 0.46 pgTEQ/kg/day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곡류, 두류, 채소류, 어패류를 통한 다이옥신 섭취량은 어촌이, 난류와 우유류를 통한 다이옥신 섭취량은 도시가 가장 높았다. 전체 대상자의 다이옥신 섭취량은 육류, 난류, 어패류, 유지류, 조미료류 및 총 식품섭취량과 각각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식품을 통한 다이옥신 섭취량은 어촌 지역이 농촌이나 도시보다 높고 어패류나 동물성식품을 통한 섭취가 높았으나, 세 지역 모두 우리나라 내용(耐容) 1일 섭취량보다 낮아 안전한 수준이었다.

인천광역시 원도심 공원녹지 기본계획 현황 및 이용 평가 (The Evaluation of Present Situation and Use for the Master Plan of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in Incheon Metropolitan's Old town)

  • 이석현;김하늘;곽동화
    • 도시과학
    • /
    • 제7권2호
    • /
    • pp.37-4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evaluate the proper planning for 2030 Incheon Urban Parks & Green Space Master Plan. Some of the plans are aimed at multiple small districts within the city's old town, as local governments are planned to be sub-subsidized by Incheon Metropolitan City. However, these plans have become simple plans for each district and therefore find it difficult to collec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ing system of the residents who are directly used. First, the construction of the urban park and green space network requires the construction of a service using system that can be felt by the users. Second, the basic idea of each district planned as the detailed strategy of the master plan should be planned through consultation with nearby the district. Third, specific targets and directions for the urban park and green space plan through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are needed.

도시재생사업에서 도시정비예정구역의 유형구분을 위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적용 (To Build the Spatial Database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 of Pre-Redevelopment Zone of Daejeon for the Strategy of Urban Regeneration)

  • 최봉문;조병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436-445
    • /
    • 2010
  • 본 연구는 도시재생 관련 선행연구와 도시재생 사례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 유형을 도출하고, 대전시 도시정비사업에 대해 분석한 후, 기존의 물리적 환경에 의해 구분되는 도시정비사업의 문제점을 검토함으로써, 도시재생의 취지에 맞도록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 문화적 환경의 특성을 고려하는 도시정비사업의 유형화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를 사례대상지로 도시정비사업을 중심으로 유형화 실태를 살펴보았으며, 도시정비사업의 문제점과 그를 해결하기 위한 도시정비사업(지구)의 유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세부내용으로는 도시재생 관련 선행연구와 사례를 통해 정리한 도시재생의 유형을 정리하고, 도시재생의 유형으로 물리 환경 재생, 사회 문화 재생, 경제 산업 재생으로 구분하여 이러한 필요한 공간정보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대전광역시의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202개 정비예정구역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Construction of Total Information Portal Service for Korea Urban Regeneration

  • Yang, Dong-Suk;Yu, Yeong-Hwa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3호
    • /
    • pp.203-212
    • /
    • 2012
  • In this study, the total information portal service for urban regeneration was constructed to supply comprehensive information for Korean urban regeneration. The portal service is largely divided into an information analysis service for urban regeneration and an information disclosure service. For total information portal service, the information analysis service constructed a system for making district level decline diagnosis and city and county level potential analysis. Moreover, it can construct and control analyzed information specified at the district level. The information disclosure service consists of functions capable of recycling information, interworking the analysis service and facilitating expert participation. It also supplies data of total information DB in reprocessable format. For revitalization of communities, the information analysis service is constructed to lead experts on urban regeneration to share their opin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