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characteristic factor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2초

신도시 생활밀접업종에 관한 시민 니즈 빅데이터 분석 연구 (Big Data Analysis of the Citizen's Needs regarding the Life-friendly Businesses in New City)

  • 이동철;장혜정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3-48
    • /
    • 2019
  • 일상생활에 필요한 상점의 존재는 주민의 주거환경 만족도를 높여주는 요인이 되며, 창업자의 입장에서 지역주민의 니즈가 높은 업종의 창업은 사업 성공을 좌우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업종의 창업현황을 알아보고, 이러한 상점의 형성이 신도시 초기 소비자 니즈에 부합하는지 분석하여 창업자와 소비자가 모두 윈윈할 수 있는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S시를 대상으로 신도시 출범 직후부터 현재까지의 생활밀접업종 현황과 시민의 니즈를 분석한 결과, 생활밀접업종에 대한 주민의 니즈는 새로운 거주지로 이주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니즈가 도시 조성 초반에 강하게 나타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정착 과정에서 니즈의 해소 및 증대에 따라, 니즈의 크기가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S시의 경우, 교육에 대한 니즈가 도시 조성 초반 강하게 나타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부분 약해지는 특성을 보인다. 반면 생활의 기본요건이라고 할 수 있는 음식에 대한 니즈는 낮게 시작해서 지속적으로 증대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안동지역 매장문화재 중 매장지반재료의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Research on the Burial Ground Materials of the Buried Cultural Assets in Andong)

  • 박형동;황지호;김성수
    • 보존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1-57
    • /
    • 1999
  • 경북 안동시 정상동에서 발굴된 1560년대의 이명정과 그의 부인 일선 문씨의 시신이 바로 옆에 매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부패정도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그 원인을 공학적 측면에서 규명하였다. 연구지역 주변은 상당한 심도가지 잘 발달된 마사토 지반으로 인해 배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시신이 부패되지 않는 하나의 요인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두시신의 부패에 영향을 미치는 수분 및 공기 침투에 대한 방벽역할을 했을 것으로 판단되는 회곽물질을 대상으로 물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온전한 상태로 보존된 일선 문씨 시신 주변 회곽물질이 이명정 시신 주변 회곽물질보다 상대적으로 더 치밀하게 밀집된 구조로 밝혀졌으며, 이것은 주변 수분 및 공기로부터 시신을 밀폐시키는 정도가 훨씬 더 탁월했다는 구체적 증거가 된다. 비슷한 시기에 동일한 장소에 매장된 두 시신 주변의 회곽물질의 특성 차이를 유발시키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두 회곽물질 내 함유된 광물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시료 내에 함유된 광물이 상이하였다. 이것은 두 회곽시료의 구성물질이 상이했음을 말해주며, 광물학적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방해석을 더 많이 함유하면서 석고도 포함된 일선 문씨 시신 주변 회곽물질이 밀폐환경 조성에 더 용이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접근성 변수를 반영한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모형 개발 (Development of Estimation Model of Trip Generation Model and Trip Distribution Model Reflecting Coefficient of Accessibility)

  • 전용현;노정현;장준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76-584
    • /
    • 2017
  • 교통수요 예측 결과는 교통계획 및 운영과 같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매우 주요하게 작용되고 있다. 교통수요 예측 시 적용되는 기존 교통수요 예측 4단계 모형은 지정된 기점과 종점 간의 통행만을 대상으로 하며 모형의 특성상 접근성 향상에 따라 유발되는 수요는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모형의 한계를 보완하고 모형의 추정력 및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 접근성을 반영한 전국 지역 간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모형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접근성을 반영한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모형 정산 결과, 접근성 계수의 부호는 양(+)의 값으로 추정되었다. 통행목적 중 업무통행은 타 목적통행에 비해 외부요소의 제약에 가장 둔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통행은 통행비용에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산된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모형을 관측자료 와의 비교를 통해 검증한 결과, 접근성을 반영한 모형의 가중평균(weighted average) 오차율(%), RMSE(Root Mean Square Error), 총 오차량(total error)등이 기존 모형에 비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모형의 추정력 및 신뢰성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장소기억의 재현을 주제로 조성된 서울숲, 선유도공원의 장소성 형성 구조 연구 (Internal Structure of the Sense of Place for Parks that were aimed at Reenacting the Place Memory - Focusing on Seoul Park and Seonyudo Park -)

  • 임승빈;권윤구;정윤희;허윤선;변재상;최형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1-12
    • /
    • 2014
  • 최근 전세계적으로 공장과 공단, 공업도시, 노동자 주거 단지, 쓰레기 매립지 등의 인더스트리얼 사이트를 공공의 땅으로 회복하고 공원화함에 있어 장소가 지니고 있던 역사적, 형태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고유한 장소성을 고려한 장소기억의 재현이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공원설계에 있어 주요한 목표가 되고 있는 장소성 높은 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조성 및 개원 당시 공원을 설계하는 방식에 있어 장소의 기억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였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는 서울숲과 선유도공원의 장소성 형성 구조를 도출하여, 향후 장소성을 고려한 공원계획 및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토대로 도출된 서울숲, 선유도공원에 대한 장소성 형성구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서울숲과 선유도공원은 자연물리적, 인공물리적, 체험적 요인의 만족도가 장소성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장소성이 높아질수록 방문용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소의 물리적 환경에 따라서 서울숲과 선유도공원은 놀이, 운동 등 체험적 요인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소성을 높이기 위하여는 물리적 요인에 더하여 체험적 요인을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한다. 셋째, 동일한 유형의 장소일지라도 개별 장소의 특성에 따라 요인 및 변수의 상대적 중요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장소별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각 요인과 관련된 구체적 변수의 중요도는 장소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숲에서는 자연물리적 요소가 인공물리적 요소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선유도공원에서는 인공물리적 요소가 자연물리적 요소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소성 연구에 있어 정량적 연구방법인 구조방정식 모형을 다양한 장소에 도입하여 장소성 구조모형을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장소성 형성을 위한 보다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장소성의 실체에 한걸음 더 접근할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방법 및 결과를 토대로 더욱 다양한 장소를 대상으로 장소성 형성모델을 도출하는 후속 연구가 계속된다면, 의미 있고 개성적이며 정겨운 도시의 장소, 더 나아가서 인간적인 도시, 경쟁력 있는 도시를 만드는 일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불투수층 사면에서의 도달시간 (Time of Concentration on Impervious Overland)

  • 유동훈;전우용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195-205
    • /
    • 2000
  • 도달시간 산정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요소에는 유역형상과 흐름상태, 유출특성 등이 있다. 한편 Singh(1976)은 지표면흐름을 Kinematic Wave 이론으로 해석하였으며 유역형상을 평면형상과 수렴형상, 발산형상으로 분류하여 유역형상에 따른 도달시간 산정식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Singh이 제시한 평면형상에서의 도달시간 산정식에 기초하여 불투수 지표면 유출에서의 도달시간 산정을 다루었다. 이를 위한 이론식 유도는 흐름을 개수로 흐름(층류, 완난류, 전난류)으로 파악하여 수행하였고 각 개수로 흐름상태에 대한 이론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강우강도를 주요 인자로 고려하여 재현기간별 강우강도를 포함한 근사식 즉 복합형 도달시간 산정식을 개발하였다.

  • PDF

하위주택시장과 이주에 관한 연구 - 서울 근교 신도시(분당ㆍ일산)를 사례지역으로 - (A Study on Housing Submarkets and Residential Mobility: In the New Towns of Pundang and Ilsa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류연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45-263
    • /
    • 1997
  • 주택특성별 주택공급과 가구별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주거선택시 차별적 접근성에 의한 주택수요에 의해 주택시장은 분절화된다. 더욱이 소규모 거주지역으로서의 근린은 주택공급과 주택수요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주택시장 분절화를 심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분절화된 주택시장은 그 메커니즘이 서로 다른 특색을 지니는 바. 기존의 거주지 분화 및 주택시장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대도시의 주택시장을 단일의 주택 시장으로 가정함으로써 하위주택시장간 특성의 차이를 간과하였다고 할 수 있다. 거주지 분화 개념이 생태적 접 근 이후의 공간적 패턴에 주로 초점을 둔 개념인 반면에. 하위주택시장 개념은 공간적 패턴 형성 이면의 과정부터 고찰함으로써 도시 거주 공간구조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하위주택시장 분석을 통해 이주시 가구의 거주지 선택 과정에서의 사회경제적 제약과 주택기회의 차별성을 살펴 볼 수가 있어 기존의 행태적 접근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근교 신도시(분당ㆍ일산)를 연구 대상 지역으로하여 하위주택시장과 이주과정의 여러 특색들을 살펴 보았다.

  • PDF

전기방사를 통해 제조된 정전기 보유 필터의 표면전위 및 대전량에 따른 성능특성 분석 (Characteristic Analysis of Electret Filters made by Electrospinning)

  • 김길태;안영철;이재근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0권12호
    • /
    • pp.820-824
    • /
    • 2008
  • Electret filter media are used in general ventilation filters, disposable respirators, vehicle cabin filters, vacuum cleaners and room air cleaners. There are basic mechanisms of interception, inertial impaction, diffusion, gravitational settling, electrostatic attraction by which an aerosol particle can be deposited onto a fiber in a filter. The ability of fine particle removal strongly depends on the electrostatic forces between particles and polarized fibers. Thus, the stability of the fiber polarization is a major factor in the reliability of electret filters. In this study, the electret filter is made by electrospinning process using Polystyrene which is dissolved by 5 : 5 of Tetrahydrofuran (THF) and Dimethylformamide (DMF). Also the electrical properties and the filtration performances of electrospun filter media are Quantitatively investigated. Electrical properties of electrospun filters have been studied on surface charge potential and surface charge density. Also the filtration performance of the electret filters are evaluated on collection efficiency. The surface charge potential and the surface charge density of electrospun PS filters are increased with increasing applied voltage and saturated at 30 kV of applied voltage. Also collection efficiency of electro spun filters is increased with increasing surface charge potential and surface charge density. But the surface charge potential is decreased by natural decay and it causes deterioration of particle collection efficiency.

딥러닝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횡단보도 탐지 모델 연구 (Crosswalk Detection Model for Visually impaired Using Deep Learning)

  • 김준수;이혁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7-75
    • /
    • 2024
  • 복잡한 도시 환경에서 횡단보도는 보행자의 안전한 이동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시각 장애인에게는 횡단보도가 큰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 안전한 보행을 위한 점자 블록이나 음향 신호등과 같은 보조 시설들이 존재하지만, 부실한 관리로 인하여 때로는 오히려 안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 장애인의 보행 보조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활용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 실시간 횡단보도 탐지 모델에 정확도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횡단보도 이미지의 흰색 줄이 도로 표면과 대조를 이루는 특성을 활용하여 이미지를 이진화하고, 이를 통해 횡단보도를 더 잘 인식할 수 있게 하고 횡단보도 전체와 중간 부분을 각각 학습한 두 가지 모델을 활용하여 횡단보도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횡단보도를 인식하는 경계 상자를 전체와 부분의 두 단계로 생성하여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횡단보도 횡단 영상에서 RGB 이미지 학습에서 탐지 모델이 탐지하지 못한 프레임들을 추가로 탐지할 수 있었다.

의사 특성에 따른 외래 진료내용의 변이 (A Study on the Practice Variations According to Physician Characteristics)

  • 정은경;문옥륜;김창엽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4호
    • /
    • pp.614-627
    • /
    • 1993
  • It is well known that a physician's personal characteristic affects his practice pattern. Furthermore, a physician's specialty has powerful influences on his practice pattern.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specialization has received the most attention for its influence on physician's service behavio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variations of contents and volume of physician's services. This study has intend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practice variations according to various physician characteristics. There are some other evidences that medical care providers are different in using of health services and resources in Korea. Four physician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two demographical factors, age and sex, and two practice factors, place of practice and medical specialty. Also, three indicators of service amount (total amount of insurance claim bill, number of visits per case, number of prescriptions per case) were selected. From the pool of insurance claims for ambulatory care received by the Korean National Federation of Medical Insurance(NFMI), 84,898 cases were randomly sampled. In the meantime using physician database of NFMI, 613 general practitioners (GP), 107 regular family physicians (FP), 483 'grandfather' family physicians(GFP), and 1,157 specialist practitioners(SP) were randomly sampled. Their different practice contents were compared concerning the specialty, age groups, sex, and practice sites (urban-rural) Specialist physicians tend to provide more costly care than do generalists. General practitioners and family physicians usually make fewer following visits and prescriptions. Age is also the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amount of services, which is highest at the physician's age group of 40's. Female doctors and urban practitioners use much more resources than their counterparts respectively.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physician's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the specialty can affect practice patterns and resource utilizations. Other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sex are not controllable but physician's specialty is relatively easily controllable during the entire phases of policy implementation. This is all the more true in the individual's initial decision of his specialty. Specialization therefore should receive policymaker's attention for its potential influence on medical care utilization and health care expenditure.

  • PDF

영산강 하천경관의 수위변화에 따른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Factor for Youngsan River Scenery considering the Variation of River Stage)

  • 유상완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141-150
    • /
    • 2007
  • 본 연구는 수량에 의한 수면폭의 변화로 인한 하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변 환경이 일정할 때 수량에 의한 수면폭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선호되어지는가?"에 대한 연구의문에서 출발하여 영산강경관의 수면폭에 미치는 선호요인을 구명하고 가장 선호되어진 경관의 수면폭/하폭비를 산정하여 시각적 선호도에 의한 필요유량을 산정하였다. 수면폭 변화에 따른 영산강 경관의 시각적 선호요인 변수는 먼저 영산교의 경우 개방감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복잡성 인자 등 3개의 변수, 임곡교의 경우 복잡성 인자, 심미성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등 3개 변수로서 모두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다중회귀모형에서 도시하천경관일 경우 물리적영향이 시각적 선호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며, 자연하천경관일 경우 복잡성정도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필요유량의 수면폭/하폭비는 0.5에서 0.7정도의 비율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폭 변화에 따른 영산강 경관의 시각적 평가에 의한 요인 분석 결과와 하천의 필요유량은 하천경관을 조성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것이며, 이용자의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