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s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5초

UTIS 통신망을 활용한 보험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II) (A Study on the Insurance programs using UTIS System(II))

  • 임필섭;임요웅;김천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483-49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기존 보험사들의 UBI(: Usage Based Insurance) 상품에서는 운전성향에 관한 다양한 데이타를 분석하거나 보험가입자 또는 보험사가 운행기록을 실시간 확인(모니터링)하는 수단으로서 텔레매틱스나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와 같은 첨단장치를 활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선통신 인프라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 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을 활용하여 PAYD, PHYD 및 MHYD등의 보험 상품을 연계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UTIS 시스템과 차량 운행기록 장치를 활용하여 운전자 성향을 분석하였다.

가변 차로를 효율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추론 시스템 (A Hybrid Inference System for Efficiently Controlling Reversible Lane)

  • 권희철;유정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9-26
    • /
    • 2012
  • 교차로에서 가변차선은 이동하는 차량들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고 교통 혼잡을 줄일 수 있으며 도로의 가용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가변차선의 교통통제는 단순하며 수동으로 가변차로를 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변차로의 이동방향에 대한 변경 여부를 지능적으로 판단하여 교통 흐름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3단계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는 교차로에서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효율성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퍼지추론 방법, 두 번째는 이동방향으로 가변차로를 변경할 지에 대한 잠정 판단, 세 번째는 이러한 잠정판단을 최종결정하기 위한 판단기준을 제시한다. 이동방향으로의 효율성은 matlab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얻는다.

통행시간 자료를 이용한 신호시간계획의 결정 방법 (Determination Method of Signal Timing Plan Using Travel Time Data)

  • 정영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2-6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구간통행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신호교차로의 신호시간 산정모형을 개발하였다. 도시교통정보시스템 UTIS와 같이 구간통행시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검지체계를 적용하였으며, 결정적 지체모형을 이용하여 통행시간 정보로 부터 포화도 및 수요교통량을 산정하기 위한 모형을 정립하였다. 또한 본 모형은 수요교통량을 이용하여 Webster 모형 기반의 신호최적화를 수행함으로써 교차로 지체를 최소화 시키는 신호시간을 산정할 수 있다. 알고리즘의 효과평가를 위해 VISSIM과 API 도구인 ComInterface를 적용한 미시적 시뮬레이션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이동류의 포화상태를 확인하여 지체 최소화를 위한 신호시간이 산정됨을 확인하였다. 최근 국내 교통관리분야에서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 UTIS, 첨단교통관리시스템 ATMS와 같아 구간통행시간을 수집할 수 있는 검지체계가 급격히 확산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교통신호운영 분야에서 교통정보시스템을 적용하였다는데 의의가 있겠다.

교통정보 수집 및 감시 동시운영을 위한 CCTV 카메라 자율자세 보정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CTV Camera Autonomous Posture Calibration Algorithm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Monitoring)

  • 김준규;정준호;한학용;신치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15-125
    • /
    • 2023
  • 본 논문은 교통상태 감시 등 교통관제를 위해 설정한 CCTV 카메라의 화각 상태에서 교통량, 속도 등 교통정보 수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CCTV 카메라 자세보정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것이다. 개발한 자율자세보정 알고리즘은 차량인식 및 추적기법을 이용하여 도로를 식별하고, 운영자의 교통감시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화각을 결정한다.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검증은 현장에 설치한 CCTV를 이용하였으며, 교통감시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해 각각 설정한 화각에 대해 자율자세보정 알고리즘이 자동 산출한 화각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운영자 감시를 위한 화각은 상호 96%의 일치성을 보였다. 교통정보의 경우는 교통량 및 속도의 정확도가 각각 96%, 95%로 산출됐으며 수동 설정한 화각과 비교할 때 약 2%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제안 알고리즘을 통해 관제용 CCTV를 이용하여 교통정보 수집 및 교통상황 감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ub-Optimal Route Planning by Immuno-Agents

  • Takakazu, Ishimatsu;Chan, Tony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89.6-89
    • /
    • 2001
  • In Vehic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VICS), which is an active field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TS), information of traffic congestion is sent to each vehicle at real time. However, a centralized navigation system is not realistic to guide millions of vehicles in a megalopolis. Autonomous distributed systems should be more flexible and scalable, and also have a chance to focus on each vehicle´s demand. This paper proposes a sub-optimal route planning mechanism of vehicles in urban areas using the non-network type immune system. Simulation is carried out using a cellular automaton model. This system announces a sub-optimal route to drivers in real time using VICS.

  • PDF

A New Traffic Congestion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Method Based on Comprehensive Fuzzy Assessment in VANET

  • Rui, Lanlan;Zhang, Yao;Huang, Haoqiu;Qiu, Xues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1호
    • /
    • pp.41-60
    • /
    • 2018
  • Recently, road traffic congestion is becoming a serious urban phenomenon, leading to massive adverse impacts on the ecology and economy. Therefore, solving this problem has drawn public attention throughout the world. One new promising solution is to take full advantage of vehicular ad hoc networks (VANETs).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traffic congestion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method based on vehicle clustering and fuzzy assessment in VANET environment. To enhance real-time performance, this method collects traffic information by vehicle clustering. The average speed, road density, and average stop delay are selected as the characteristic parameters for traffic state identification. We use a comprehensive fuzzy assessment based on the three indicators to determine the road congestion condition.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precisely reflect the road condition and is more accurate and stable compared to existing algorithms.

GIS를 이용한 도시철도 건설계획수립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Decision Support System Design for GIS based Construction Planning of Urban Railroad)

  • 오윤석;구지희;김태훈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39-155
    • /
    • 2005
  • 수도권의 인구밀집 현상은 우리나라의 큰 사회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도시를 건립하여 인구를 분산시키려 노력하고 있지만 서울과의 접근성이 극심한 교통체증으로 인하여 약하기 때문에 신도시들은 베드타운의 역할을 잘 수행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는 대중교통수단의 확충이 그 해결책이 될 것이다. 따라서 국내 수도권 도시철도망의 경우 향후 연장길이 확충은 물론 경량전철 둥 다양한 유형의 도시철도가 도입될 예정이다. 이러한 계획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철도자체의 특성에 대한 고려뿐만 아니라 도시철도가 건설되는 지역의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의 공간분석기능을 이용한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을 설계함으로서 기존 도시철도 건설계획 수립과정을 개선해보고자 한다.

  • PDF

Multivariate Congestion Prediction using Stacked LSTM Autoencoder based Bidirectional LSTM Model

  • Vijayalakshmi, B;Thanga, Ramya S;Ramar, K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1호
    • /
    • pp.216-238
    • /
    • 2023
  • I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traffic management is an important task. The accurate forecasting of traffic characteristics like flow, congestion, and density is still active research because of the non-linear nature and uncertainty of the spatiotemporal data. Inclement weather, such as rain and snow, and other special events such as holidays, accidents, and road closur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driving and the average speed of vehicles on the road, which lowers traffic capacity and causes congestion in a widespread manner. This work designs a model for multivariate short-term traffic congestion prediction using SLSTM_AE-BiLSTM. The proposed design consists of a Bidirectional Long Short Term Memory(BiLSTM) network to predict traffic flow value and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odel for detecting the congestion status. This model uses spatial static temporal dynamic data. The stacked Long Short Term Memory Autoencoder (SLSTM AE) is used to encode the weather features into a reduced and more informative feature space. BiLSTM model is used to capture the features from the past and present traffic data simultaneously and also to identify the long-term dependencies. It uses the traffic data and encoded weather data to perform the traffic flow prediction. The CNN model is used to predict the recurring congestion status based on the predicted traffic flow value at a particular urban traffic network. In this work, a publicly available Caltrans PEMS dataset with traffic parameters is used. The proposed model generates the congestion prediction with an accuracy rate of 92.74% which is slightly better when compared with other deep learning models for congestion prediction.

보호좌회전과 보호/비보호 겸용 좌회전 통행특성 차이를 고려한 보호/비보호 겸용 좌회전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PLT(Protected/Permitted Left-Turn) Considering the Traffic Characteristics of PLT/PPLT)

  • 남상범;김주현;신언교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0-44
    • /
    • 2020
  • 기존 논문들처럼 지체시간 감소만으로 PPLT 특성을 반영하여 PPLT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체시간 외에 통과 좌회전 교통량, 상충위험수를 사용하여 PPLT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좌회전 교통량이 용량 이상이면서 많을수록, 대향 직진 교통량은 용량 미만이면서 적을수록 PPLT 효과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좌회전 교통량이 용량 미만에서는 선행 신호대기 차량들이 비보호로 교차로를 통과하게 되어 지체시간은 일부 감소하지만 전체 통과 좌회전 교통량은 증가하지 않고 상충위험률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대향 직진 차로수가 1, 2차로에서는 상충위험수가 유사하지만 3차로 이상이 되면 크게 증가한다. 또한 PLT와 PPLT의 통과 좌회전 교통량 차이는 지체시간 차이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면서 지체시간보다 PPLT 적용 범위가 더 넓고 상충위험수와 연관성이 높게 분석되었다. 따라서 PPLT의 교통류 특성과 상충위험수 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통과 좌회전 교통량이 지체시간보다 유리하다. 즉, PLT와 PPLT의 통과 좌회전 교통량, 지체시간 차이와 대향직진 3차로 이상에서의 상충위험수를 동시에 고려하여 PPLT 적용 여부를 판단하면 지체시간만을 적용해온 기존 방안에 비해 합리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 Graph-based Model for RSUs Deployment in Vehicular Networks by Considering Urban and Network Limitations and QoS Requirements of Service Advertisement and Discovery

  • Balouchzahi, Nik Mohammad;Fathy, Mahmood;Akbari, Ahmad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5호
    • /
    • pp.1662-1681
    • /
    • 2015
  • The efficient send and receive of information in VANET improves the efficiency of the safety and traffic services advertisment and discovery. However, if the V2V is the only communication system used, the restrictions of the urban environment and network drop the performance of VANET.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it is necessary to use V2I communication as well as V2V communication. Therefore, RSUs must be placed in the environment. However due to the high costs of placement, the full coverage of the environment would not be possib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ptimally install a limited number of RSUs in th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