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Silver Tow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6초

스마트 기술을 적용한 도시형 실버타운에 관한 연구 - 노인의 행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rban Type Silver Town based on Smart Technology - With Focus on the Behavior of the Elderly -)

  • 이정필;정철오;김용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41-148
    • /
    • 2006
  • Recently, human's life is more longer and the birth rate continually decrease by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In 2026 the ratio of the elderly will come up to 20.8% and be a 'post-aged society'. Development of economy and industrialization not only accelerate the urbanization and formation of nuclear family, but also change the changing of traditional society and one's value. So the issue of society and value's changing in the elderly increase the centralizing in the silver industry, and by the recent research about the elderly, they not want to live with their children, but want to live independently. This study is meaningful at the next generation of Ubiquitous society and post-aged society, proposing the smart silver town in urban type and let the elderly keeping the existing life in city. It realize the concept of 'Aging in Place' and propose the smart silver town in urban type which appropriate to behavior of the elderly, and being satisfy with various requirements of the elderly. This study point up the combination of physical elements and electronic elements through the smart technology, and making an smart environment to compose the smart silver town in urban type which react the behavior of the elderly.

Research of the conditions and Preferences of Uniforms for the Disabled in Silver-towns

  • Wee, Hye-Jung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3호
    • /
    • pp.90-96
    • /
    • 2010
  • We are stepping into so called "aged society" stage, as the mature people account for 7% of the population by UN's standard yardstick.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source in producing ecological lifestyle uniforms of health and substantiality: LOHAS which are relevant to high performance and healthy body and take things like architecture, driving, surroundings, and recycling as main factor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Therefore we can predict, through exerting researches about consumer's usage and preference of uniforms, that the garment business will be upgraded to the medical welfare and urban life style business level. All of the silver town resident we researched wear silver town uniforms, and the uniforms were chosen by the owner and operator. This research was processed through the survey of supervisors who were employed in senior residences. 66% of elderly changed their clothes for laundary every 2 days, The timing of removal of the old uniform was that 17% was less than 1 years, consideration of buying silver-town uniforms were consider materials, design, laundary, convenience of administration, durability, color, cost.

실버타운의 입지별 유형에 따른 공간구성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s and Conditions of Spacial Composition according to Location Style of Silver Towns)

  • 손재원;한기증;이특구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7-1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directions and conditions of spacial composition according to location style of silver towns. The spacial composition of silver town used in 3 case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location(the urban type, the sub-urban type and the resort type). The points of analysis are focused on the necessary spaces and selectable spaces related to location of silver towns. In conclusion, the urban and sub-urban silver towns should have the necessary spaces and selectable spaces through analysis of the spaces in healthcare facilities near at hand. The resort silver towns should be planned to harmony the functional spaces with building shapes because they consist of various spaces.

  • PDF

도시형 실버타운의 입지특성 분석 연구 (Analysis of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Urban Silver Towns)

  • 권지혜;박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79-288
    • /
    • 2018
  • 최근 우리나라에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노년층은, 과거와 달리 '액티브 시니어'로 불린다. 액티브 시니어는 높은 거주 비용에도 불구하고 도심의 실버타운에 거주하는 것을 선호하며 그들만의 새로운 도시콘텐츠를 만들어 간다. 액티브 시니어의 생활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도시 콘텐츠는 그들의 거주지 선택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액티브 시니어의 도시생활 콘텐츠를 바탕으로 액티브 시니어의 주요 거주지로 선호되는 도시형 실버타운의 입지 특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액티브 시니어의 도시생활 콘텐츠를 고려한 도시형 실버타운 입지 특성으로는 1) 대중교통, 2) 주변간선도로, 3) 문화 쇼핑시설, 4) 의료시설, 5) 아파트 단지, 6) 자연적 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자연적 환경보다는 주변의 의료시설 및 아파트 단지 및 문화 쇼핑 시설이 도시형 실버타운의 주요한 입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액티브 시니어의 새로운 도시 콘텐츠인 도심 실버타운의 입지선정뿐만 아니라 고령자 주택 관련 정책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도권 실버타운의 공간적 분포와 이용자 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ilver Towns and Their Residents' Recogni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이영민;송정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2-258
    • /
    • 2015
  • 본 연구는 수도권 실버타운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살펴보았고, 수도권 실버타운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실버타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최근에는 가족과의 교류가 용이하며, 의료시설과 접근성이 좋은 도심이나 도시 근교 지역을 선호하는 노인들이 증가함에 따라 수도권에 실버타운이 집중 분포하고 있다. 이들 시설은 주로 서울의 북쪽과 경부 고속도로를 축으로 한 경기도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들이 실버타운을 선택할 때 시설의 위치와 접근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실버타운에서 노인들은 가사 노동에서 해방되어 의미 있는 일을 하면서 여생을 보낼 수 있고, 사회적 계층이 유사한 사람들과 원만하게 교류하며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80세 이상의 이용자들은 실버타운을 집으로 인식하고 뿌리내림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에 60~70대의 비교적 젊은 노인들은 실버타운에 입소하여 자신만의 고유한 특성이나 자기결정권이 제한되는 것에 불편을 느끼고 다른 주거 공간으로 이주하는 것을 고려하기도 하였다.

  • PDF

오픈 하우징 개념을 적용한 도시형 노인 공동주거시설의 주호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당뇨병 노인의 질병 종류와 진행에 대응하여- (A Study on Unit Model Development of Urban Type Silver Housing Applying Open Housing Concept -In Response to the kinds and process of diabetes elders-)

  • 이보람;윤재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1-2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rototypical plans for a dwelling unit applying the concepts of 'open housing' and 'aging in place' for senior citizens living in cities focusing on specific life patterns with chronic disease. Especially, a unit was designed for diabetes patients because diabetes, a representative disease of elderly people, often accompanies complications such as arthritis and Alzheimer disease. A unit design suitable for the convenient life of the elderly people with diabetes will provide a guideline for the similar unit designs of the senior citizens with other diseases.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unit plan are proposed. A-type plan is for type-1 diabetes patients, B-type alt.1 for the independent seniors of type-2 diabetes patients, and B-type alt.2 for the dependant seniors of type-2 diabetes patients. And a support design for a unit plan with the exclusive area of $60\;m^2$ is proposed. The same support design is used for all three unit types. Although the locations of bathroom and storage room are fixed and the location of the kitchen is changeable only in wet-zone. In conclusion, senior residents with diabetes can choose one of three unit types before occupation and the chosen unit type can be renovated by replacing infill systems as the health condition or life style changes.

예비 수요자 주택선호특성을 고려한 유형별 고령자주택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elderly housing type development plan considering the Preconsumer Housing Characteristic -focused on Seoul metropolitan area-)

  • 김민창;원유호;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844-2858
    • /
    • 2014
  • 산업화와 도시화를 경험한 사회는 인구통계학적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세계적으로 고령화 인구를 점차 증가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도 2000년에 고령화 사회에 접어 들어들었으며, 2018년에는 고령 사회가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에 대비한 고령자주택의 개발 등의 노인의 라이프 생활을 고려한 주택개발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자 주택에 입주하기 원하는 예비 수요자의 특성에 따른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형별로 보다 세분화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고령자 주택의 선택의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세분화 하였다. 이를 통해 개선방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는데 이에 대한 시사점으로, 첫째, 고령자주택은 개발 유형별로 선호하는 특성이 상이하게 도출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개인특성에 따른 지표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고령자주택의 수요조사가 우선적으로 시도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도심형 고령자주택 개발 시 원활한 개발을 위해 지자체 차원의 지가를 고려한 토지확보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교외형 고령자주택 개발 시 경기도권에 수요층이 자연스럽게 고령자주택으로 입주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근교에 생활환경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원형 고령자주택 개발 시 다양한 생산, 여가 등의 프로그램의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