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Sewage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46초

Data complement algorithm of a complex sewerage pipe system for urban inundation modeling

  • Lee, Seungsoo;An, Hyunuk;Kim, Yeonsu;Hur, Young-Teck;Lee, Daeeop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3호
    • /
    • pp.509-517
    • /
    • 2020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sewer network data are a fundamental input material for urban inundation modeling, which is important to reduce the increasing damages from urban inundation due to climate change. However, the essential attributes of the data built by a local government are often missing because the purpose of building the data is the maintenance of the sewer system. Inconsistent simpl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sewer network data made by individual researchers may increase the uncertainty of flood simulations and influence the inundation analysis resul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asic algorithm to convert the GIS-based sewage network data into input data that can be used for inundation simulations in consistent way. In this study, the format of GIS-based sewer network data for a watershed near the Sadang Station in Seoul and the Oncheon River Basin in Busan was investigated, and a missing data supplementing algorithm was developed. The missing data such as diameter, location, elevation of pipes and manholes were assumed following a consistent rule, which was developed referring to government documents, previous studies, and average data. The developed algorithm will contribute to minimizing the uncertainty of sewer network data in an urban inundation analysis by excluding the subjective judgment of individual researchers.

SWMM 모델을 이용한 우수 관리 홍수 탄력성 분석 (Analysis of Flood Resilience of the Stormwater Management Using SWMM Model)

  • Hwang, Soonho;Kim, Jaekyoung;Kang, Junsuk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6-126
    • /
    • 2021
  • Stormwater redu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afety and resilience to flooding in urban areas. Due to rapid climate change, the world is experiencing abnormal climate phenomena, and sudden floods and concentrated torrential rains are frequently occurring in urban basins and the amount of outflow due to stormwater increases. In addition, the damage caused by urban flooding and inundation due to extreme rainfall exceeding the events that occurred in the past increases. To solve this problem, water supply, drainage, and water supply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the water management paradigm is shifting from sewage maintenance to water circulation and water-sensitive cities. So,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easures to increase the resilience of urban ecosystem systems for urban excellence reduction by analyzing the effects of green infra structures and LID techniques and evaluating changes in resilience. In this study, for simulating and analysis of runoff for various stormwater patterns and LID applications,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was used.

  • PDF

Establishment of Phosphorus Flow Model in Urban Area using Material Flow Analysis

  • Lee, Mina;Kim, Kye-Ho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80-84
    • /
    • 2014
  • Phosphorus (P) is an essential nutrient for all living organisms. P is mostly obtained from mined rock phosphate. However, existing rock phosphate reserves could be exhausted in the next 50-100 years. As Korea is totally dependent on imported rock phosphate, we should seek for solution to overcome the P depletion by efficient use and recycling. For this, this study suggested a P flow model to identify the location and flow route of P in urban area based on traditional material flow analysis. The type of P entering the urban areas are fertilizer, food and feed. Each type of P is used in agriculture, human consumption and animal husbandry. After going through each process, P is moved to waste management facilities within food waste, excreta and sewage. Some portion of P in waste are buried, incinerated and discharged, which can be reservoir of P in the future.

소규모 도시 하천 유역의 수질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Analysis of Water Quality for A Small Stream in Urban Watershed)

  • 곽재원;정종태;김형수;안경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9-141
    • /
    • 2008
  • 본 연구는 도심지 유역인 경기도 부천 여월동 단지 내 도시하천의 수질 특성을 분석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해당 유역의 하천은 차집관로에 의한 생활하수와 평시 흐름의 차단으로 인하여 매우 적은 유량만이 흐르고 있고, 각종 하수와 오염원의 유입으로 수질 오염 및 악취 발생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질 현황을 파악하고 수질 개선책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질 모니터링을 시행하였으며, 해당 유역의 특성과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QUAL2E 모형을 통한 수질 모델링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해 수질특성과 향후 미래 수질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주거지역내 소하천의 경우 오염원의 유입에 따라서 수질이 크게 변화하며 비점오염원에 대해서도 불안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대상지역의 경우 유지유량 공급과 오염원의 차단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국내 공동주택단지 자연 순응형 빗물관리시설 사례 분석 (Nature-adapted Rainwater Management Facility Cases in Korean Apartment Complexes)

  • 현경학;장선영;안성식
    • 환경영향평가
    • /
    • 제15권2호
    • /
    • pp.111-119
    • /
    • 2006
  • In Korea, an environment-friendly concept of "rain re-cycling" was initially introduced in apartment complex planning and designs in the late 1990s. Although its application cases are extremely few, with the growing importance of rainwater utilization, introduction of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in urban areas began to drawn keen attention. In urban areas also, plans to introduce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es as infrastructure improving living environment, such as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re very urgently required. In order to introduce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as infrastructure in an apartment complex, apartment complex cases that had introduced the facilities were reviewed first. In this study, a few applied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in an apartment complex were surveyed(Infiltration barrel, Rubble porosity storage tank, Underground storage tank). As a result, problems in introducing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es in Korea were identified.

BCS-II 공법을 이용한 마을하수도 처리 효율 분석: 안동시를 대상으로 (Analysis of RCSTP Treatment Efficiency using BCS-II Process: Case Study of An-dong City)

  • 임지열;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23-431
    • /
    • 2014
  • 상수원과 같은 수계 수질 보호 및 농촌 지역 개발을 위해 마을하수도 보급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안동 지역 마을하수도(11개소) 유입하수 특성 및 마을하수도에 도입된 처리 공법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안동 지역 마을하수도 유입하수는 도시지역에 비해 고농도의 유기물과 영양염류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안동시 마을하수도 공법은 안정적인 처리효율을 보였지만, 영양염류의 경우 유기물에 비해 solid retention time(SRT)와 food to microorganisms (F/M) ratio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동 지역 마을하수도 공법은 타 공법($A^2/O$, SBR, media)들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처리 효율을 보였으며, 본 공법은 마을하수도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공법이라 판단된다.

동절기 마을하수처리장 영양염류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CSTP Nutrient Removal Efficiency in Winter Season)

  • 임지열;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63-370
    • /
    • 2014
  • 농촌 지역 마을하수도 보급률은 도시 지역에 비해 38% 정도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농촌 지역은 상수원 인근에 위치하여 농촌지역에서 발생하는 하수는 상수원 오염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마을하수도 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절기 마을하수도 영양염류 제거 효율을 분석하였으며, 안동 임하댐 인근에 위치한 봉화, 영양 그리고 안동의 신설된 마을하수도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동절기 마을하수도 영양염류 제거 효율은 체류 시간과 미생물 농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을하수도 운전 시 영양염류 처리를 위해 운전 조건 조절 및 유지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수슬러지 지렁이 퇴비화 장치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On-Site Vermicomposting Unit for Sewage Sludge)

  • 김종오;이창호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1호
    • /
    • pp.92-96
    • /
    • 2003
  •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 지렁이 퇴비화 장치 개발을 목적으로 재래식 지렁이 이용기술의 문제점 개선 및 지렁이 생리 생태를 이용하여 제작된 소규모 지렁이 퇴비화 장치의 성능평가을 통한 현장 적용 가능한 장치 설계 및 운영지표 설정을 위한 실험 결과 실험장치 성능평가에서는 하수슬러지 급이시 입자크기와 먹이 공급 층의 높이가 각각 5mm 크기와 10cm 두께로 급이 할 때 처리율이 가장 높았으며, 지렁이 적정 밀도는 20~25kg${\cdot}$지렁이/50kg${\cdot}$하수슬러지로 나타났다. 또한 분변토 분리효율은 지렁이 사육상 높이를 80cm으로 운영했을 때 분리효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 2톤의 하수슬러지 처리가 가능한 $5{\times}3{\times}1m$ 크기의 지렁이 퇴비화 장치 설계가 가능하였다.

  • PDF

하수관거 악취 제거를 위한 맨홀필터 악취제거장치 성능 평가 - 황화수소 제거를 중심으로 - (Performance Evaluation of Manhole Filter to Remove Odor Inside Sewage Pipe -Focused on Removal of Hydrogen sulfide-)

  • 김충곤;이장훈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4호
    • /
    • pp.45-51
    • /
    • 2018
  • 본 연구는 도심지 거리 하수 악취 물질인 황화수소($H_2S$)를 제거하기 위해 맨홀에 설치해 악취를 제거하는 맨홀필터 악취제거장치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첫번째로 맨홀필터에 들어 있는 첨착활성탄의 황화수소($H_2S$) 흡착 성능 평가 결과 황화수소 제거율이 약 99.8%를 나타냈다. 두 번째로 악취제거장치 성능평가를 위해 서울특별시 대표적인 악취 발생 맨홀 4지점에서 성능을 평가한 결과, 대표적인 악취 유발물질인 황화수소($H_2S$)를 97% 이상 제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성능 평가 연구결과를 통해 맨홀필터 악취제거장치는 하수관거 맨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장치로써 적용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총인슬러지의 1차 침전지 반송에 따른 하수처리장 고형물 제거특성 연구 (Evaluation of Solids Removal Characteristics on Sewage Treatment Plants Using T-P sludge Return into the Primary Settling Tank)

  • 김종오;정동기;권혜정;황준석
    • 한국수처리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3-80
    • /
    • 2018
  • In this study, the solids removal characteristics using T-P sludge generated from PACl coagulation were analyzed by laboratory scale and full scale experiment. As the amounts of T-P sludge injection into the raw sewage influent increased at the rate of 0, 1, 2, 3, 4 %, the suspended solids concentrations after 20 minutes setting test decreased to 210, 137, 91, 64, 43 mg/L, respectively. The filtration time required for dewatering test of the raw sewage influent decreased to 982, 728, 658, 581, 492 sec for 0, 1, 2, 3, 4% of T-P sludge injection, respectively. As the amounts of PACl coagulant into the effluent from final setting tank increased at 0, 10, 20, 30, 40 mg/L, the required filtration times for T-P sludge increased into 12.3, 41.7, 53.7, 67.2, 79.5 sec and the dewaterability of T-P sludge decreased. After T-P sludge returned into the primary settling tank on J-si sewage treatment plants, the effluent concentrations of COD, SS, T-N and T-P from primary settling tank into bioreactor decreased by 35.9, 27.9, 22.2, and 52.6% due to the coagulation effects of the T-P sludge.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return of T-P sludge into the primary settling tank could result into the sludge reduction having a lower water content of 3.03% p than in case of the only T-P sludge dehyd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