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Population Density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1초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도시개발밀도의 적정성 평가 모델 구축 연구 (Establishment of the Measurement Model about the Adequate Urban Development Density using System Dynamics)

  • 전유신;문태훈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 /
    • pp.1-2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developing a development density control model for urban growth management, using system dynamics modeling. The density control model was developed to see how urban growth, transition, and decay occur depending on the interaction among population, houses, industry structure, land and urban infrastructure such as road, water supply, and sewage treatment facilities. Suggesting adequate level of development density control using the model was another purpose of this paper. The model was applied to An'yang city to estimate the maximum number of population, industry structures, houses, and cars that can be adequately sustained with the current An'yang city's infrastructur capacity. The computer simulation results shows that the city is overpopulated by some 90,000 people. To reduce the population to the adequate level that the current urban infrastructure can sustain, the current city regulation on floor area ratio are needed to be strengthened at least 20 to 35%.

  • PDF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도시개발밀도의 적정성 평가 모델 구축 연구 (Establishment of the Measurement Model about the Adequate Urban Development Density using System Dynamics)

  • 전유신;문태훈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4권2호
    • /
    • pp.71-9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build a development density control model and estimate optimum developmental density level for a sustainable urban growth management. To develop the model, system dynamics modeling approach was used. The model was developed to analyze how urban growth, transition, and decay occur depending on the interaction among population, houses, industry structure, land and urban infrastructure such as road, water supply, and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he model was applied to Anyang city to estimate optimum density level. Extensive computer simulation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aximum numbers of population, industry structure, houses, and cars that can be adequately sustained with the current Anyang city's infrastructure capacity. The computer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the city is overpopulated by some 90,000 people. It nab analyzed that 20% increase of existing capacity of urban infrastructure is necessary to support current population of Anyang city. To reduce the population to the adequate level whereby the current urban infrastructure can sustain, the current city regulation on floor area ratio needs be strengthened at least 20% to 35%.

  • PDF

도시활력 측정을 위한 생활인구 특성 분석 - 이동통신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living population characteristics to measure urban vitality - Focusing on mobile big data -)

  • 카마타 요코;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73-187
    • /
    • 2023
  • 본격적인 인구감소 시대에 들어선 가운데 지방 도시들은 사회적 인구 유입도 어려운 상황을 고려하여 생활인구 유도를 통한 도시 활력 증진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동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활력도 분석을 위해 인구감소 지역인 부산광역시 행정동을 대상으로 주민등록인구와 생활인구의 시공간 분포특성을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행정동을 인구증감의 변화 양상으로 유형화한 후, 도시쇠퇴 및 활력 관련 지표를 사용하여 유형별 지역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공간 분포특성 분석결과, 주민등록인구와 생활인구 밀도 분포패턴은 대체로 비슷한 패턴을 보였으나, 원도심 지역에서 주민등록인구 밀도가 낮으면서 생활인구 밀도가 높은 반대의 특성을 가지는 지역이 나타났다. 주민등록인구와 생활인구의 변화 양상은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주민등록인구는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 인구가 감소하는 반면, 생활인구는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활인구 감소 군집에 인접해서 인구증감의 지역 간 격자가 큰 군집이 나타나,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주변 지역에 생활인구가 확산하는 전이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을 시사했다. 유형화 결과, 주민등록인구가 감소하는 지역에서도 통근·통학 또는 방문으로 인한 활발한 인구 유입이 있었으며, 이러한 지역은 사업체 수의 증가를 유지하고 있어, 산업·경제적 성장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부산의 약 47% 행정동은 주민등록인구와 생활인구가 모두 감소하고 지역 쇠퇴가 진행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지역에 대해 우선적인 도시 활력 증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인한 도시활동의 한계거리 증가와 이동량의 증가로 지역간 교류가 날로 확대되는 점을 고려해 주민등록인구뿐만 아니라 도시계획지표로서의 생활인구 데이터의 활용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인구밀도경사함수를 이용한 우리나라 도시공간구조의 지역별.규모별 변화특성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Structure in Korea through the Population Gradient Curve)

  • 윤갑식;이갑정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45-457
    • /
    • 2013
  •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 도시공간구조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고, 지역별 규모별 그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도시공간구조는 인구밀도경사함수(population gradient curve)를 통해 분석하였고, 분석의 시간적 범위는 자료구축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2000년부터 2010년까지로 설정하였으며, 공간적 범위는 광역시를 제외한 70개 도시이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도시들은 평균적으로 도심 인구밀도는 감소하고, 인구밀도 경사도는 완만해져 도심 집중현상보다 외곽지역으로의 확산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수도권 지역은 전국 평균과 동일한 형태의 공간구조 변화를 경험하였지만, 수도권 지역은 외곽지역뿐만 아니라 도심까지 인구밀도가 함께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셋째, 인구 20만 이상의 중도시와 대도시에서는 도심 집중현상보다는 도시 외곽지역으로의 확산이 우세하게 나타난 반면, 인구 20만 미만의 소도시에서는 도심 인구밀도가 높아지면서 인구밀도 경사도의 절댓값이 커지는 도심 집중현상, 즉 압축도시의 특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도심 인구구심력의 유효범위 변동성 측정 (Variability in the Effective Spatial Range of the Population Centripetal Force of CBD)

  • 남광우;강인주;임두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0-131
    • /
    • 2009
  • 본 연구는 다핵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대도시의 도시공간구조 진단을 위해 도심 및 부도심의 인구분포상의 구심력 및 유효범위의 변동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1995년부터 2005년까지 5년 간격으로 도심 및 부도심의 인구구심력의 유효범위 변화를 측정하고자 5km 단위로 범위를 확장하여 인구밀도함수 중 음지수함수를 활용한 결정계수 값의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인구분포에 대한 공간적 영향권역의 변동성을 파악하여 도심 및 부도심의 생성, 성장, 쇠퇴 등의 진행과정에 따른 각 과정별 도심 및 부도심의 인구구심력의 유효범위와 도심 및 부도심간의 충돌과정에서의 유효범위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앙동은 지속적인 결정계수의 감소를 보이고 있으며 서면(부전동)은 설명력이 큰 변화없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심으로부터 5km씩 거리를 늘려 인구밀도함수를 적용한 경우에도 부전동의 경우는 10km이후부터 중앙동은 15km구간 이후부터 대체로 증가하였다. 전체적으로는 부산의 인구가 감소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분산화 단계인 것으로 나타나 보다 효율적인 도시공간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도심 및 부도심지역의 도심기능강화와 인접지역의 양호한 주거지역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공간구조의 변동성이 갖는 구체적인 공간적 차원의 정보를 제시하여 효율적 공간구조의 재편을 위한 정책적 접근의 기초자료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 PDF

인구밀도의 변화로 본 도시내부의 성장과 공간패턴 - 서울의 예 (Intra-Urban Growth and Spatial Patterns in variation of Poupulation Density-The case of Seoul-)

  • 이진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
    • /
    • pp.61-74
    • /
    • 1988
  • Changing patterns of population densities in urban centers are different between Western countries and non-Western countries. Although Seoul is located in a non-Western countr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its pattern of population density falls into the category of Western citie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ree population density gradient models, it is clear that no model can precisely explain the population distribution of Seoul over time. Some of the models partly indicate the actual population distrisbution. The Clark model is appropriate to denote population distribution in the center of Seoul at an early stage in development. The Sherratt model cannot adequately explain the population distribution of Seoul.

  • PDF

Vertical Urban Design and Thinking within the Framework of Urban Regeneration

  • Jun Zha;Xuewei Chen;Yan Li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75-82
    • /
    • 2023
  • By limiting population and land resources, a high-density urban form has become the inevitable choice for central cities in the rapid growth of many large cities in China. Due to the shift in urban growth and focus, high-density urban areas require restoration and improvement. This study intends to combine ancient and new districts, establish strategies for enhancing urban function, spatial utility, industry, and transportation, and thus enhance regional holistic effectiveness, by performing in-depth research.

국내 도시지역에 적용가능한 저층고밀 소형 공동주택 계획안 (Planning of low-rise high-density small-scaled urban housing complex)

  • 안재민;모정현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63-267
    • /
    • 2009
  • Recently, we have seen the change of population and family structure, population growth has slowed and family differentiation was constantly done. A rapidly increase of single and couple household. So small-scaled house demand will be increased. Therefore this study planned to solve recent collective housing problem and to satisfy new housing demand. The purpose of planning was that low-rise high-density small-scaled of urban housing complex. This study used for two methods. First methods were literature analysis for domestic collective houses's present conditions and issues. Other purpose was to confirm change of household. Second method is case studies. It went through two phases to select the cases. The cases selected domestic and foreign each eight, total sixteen. The cases analyzed to twelve elements characteristic of housing complex, unit and community facilities. This study applied one area of Seoul to the low-rise high-density small-scaled housing complex.

  • PDF

인구밀도경사함수를 이용한 도시축소현상 진단 - 영주시를 사례로 - (A Diagnosis of Shrinking City Using Population Gradient Curve: A Case Study on the City of Yeong-ju)

  • 김민석;변태근;이상호
    • 지역연구
    • /
    • 제35권4호
    • /
    • pp.33-45
    • /
    • 2019
  • 전 세계적인 저성장 기조로 인하여 주요 선진국에서는 도시축소문제가 도시정책의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국토연구원의 연구결과(2016)에 따르면 우리나라 77개 도시 중 23개 도시가 지속적 또는 일시적 축소도시로 진단되었다. 그러나 축소도시를 진단하는 기준은 단순한 인구통계학적인 측면에 머물러 있으며, 도시의 공간적 축소패턴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구조 분석방법의 하나인 인구밀도경사함수를 이용하여 다핵도시인 영주시의 특성을 고려한 도시축소현상을 진단하였다. 진단결과, 영주시는 CBD의 인구밀도 및 인구밀도경사도가 증가하는 축소도시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동지역의 경우 CBD의 인구밀도 및 인구밀도경사도가 감소하는 스프롤(sprawl)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풍기읍의 경우 CBD의 인구밀도만 감소하는 단순축소 현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 도시 내에서도 중심지마다 공간변화의 패턴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다핵구조를 갖는 도시의 경우에는 도시 전체뿐만 아니라 세부 지역에 대한 개별적인 진단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Effect of Gardening as a physical activity on the improvement of Blood lipoprotein profile in an urban population in Republic of Korea: A pilot study

  • Jang, TaeSu;Lee, Ae-Kyung;Park, EunJi;Kim, Jae K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3호
    • /
    • pp.170-178
    • /
    • 2022
  • Purpose: Gardening has been reported to have positive emotional and physical effects in older adults. However, limited studies have assessed this relationship in Korea. Therefore, in this pilot study of densely populated urban dwellers,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emporary but repeated experiences of the natural environment could positively change metabolism-related blood indicators. Methods: This study used pre- and post-interventional design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6 weeks of gardening on lipid profiles in an urban adult population and investigate their relationships. This study was conducted 30 times at the H Botanical Garden in Yongin City from August 16, 2021 to November 30, 2021 (16 weeks, twice a week, 3 hours each time). Before and after the gardening program, a clinical pathologist collected blood samples from the participants. Results: High-density lipoprotein levels increased, low-density lipoprotein levels decreased,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decreased after the gardening activity.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gardening has potential for clinical application as it has good control over the lipid profile through physical activity.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populations and their living environment and for various studies in the future as experiencing the natural environment provides many health benef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