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Planning System

검색결과 895건 처리시간 0.027초

하수관거 통수능 검토를 통한 관거 개선방안 연구 (Sewerage rehabilitation strategy based on sewer capacity evaluation)

  • 류재나;오재일;오석호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7-55
    • /
    • 2009
  • Sewers are important national infrastructure and play an essential part by handling both wastewater and stormwater to minimise problems caused to human life and the environment. However, they can cause urban flooding when rainfall exceeds the system capacity. Sewer flooding is an unwelcome and increasingly frequent problem in many urban areas, and its frequency will increase over time with urbanisation and climate change. Under current standards, sewers are designed to drain stormwater generated by up to 10 year return period storms, but data suggests that many in practice have been experienced flooding with exceeding system capacity under increased storm events. A large number of studies has considered upgrading or increasing the design standard but there are still lack of information to propose a suitable return period with the corresponding system quantity to achieve. A methodology is required to suggest a proper level of standard within a suitable sewerage rehabilitation planning that can avoid the exceedance problem.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ethodology to support effective sewer rehabilitation that could prevent urban flooding mainly resulted from the exceedance of existing storm sewer system capacity. Selected sewerage rehabilitation methods were examined under different storm return periods and compared to achieve the best value for money.

도심 MICROCELL의 CDMA 시스템 용량에 대한 기지국 배치 효과 (Effect of Cell Shape on Design of CDMA Systems for Urban Microcells)

  • 민승욱;최진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3B호
    • /
    • pp.153-160
    • /
    • 2007
  • 도심에서와 같이 주변 빌딩보다 낮은 높이의 안테나를 가진 낮은 출력의 기지국의 배치는 전파특성의 주변 환경에 대한 의존성을 높인다. 결과적으로 도심에서의 전파는 방향성을 가지며, 이는 기존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사용된 원형 기지국 반경에 대한 가정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원형 기지국 반경에 대한 가정은 시스템 설계를 보수적으로 하여 더 많은 기지국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 연구는 비등방형 전파모델에 의한 기지국 배치가 시스템 용량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직교형 거리를 가진 지형에서 안테나 높이가 낮은 기지국에 대한 측정 데이터에 의한 전파모델이 서술되고 소프트 핸드오프에 대하여 분석이 이루어진다.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스마트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전략분야 도출연구: 부산 사례를 바탕으로 (Identification of Strategic Fields for Developing Smart City in Busan Using Text Mining)

  • 채윤식;이상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1-1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부산 및 기타 지자체의 도시계획 보고서에 포함되어 있는 서지정보를 분석하고 새로운 스마트도시계획의 수립을 위한 전략 분야를 도출하는 것이다. 텍스트 마이닝 분석은 구조화되어 있지 않은 문서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획득한 정보의 특성과 패턴을 발견하는 기법으로 최근 지식관리 측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분석을 통해 초기의 부산 도시계획은 개별 산업분야 고도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 각 분야별 정보시스템의 연계에 대한 논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최근 계획에서는 도시통합운영관리와 관련한 물리적 인프라와 ICT시스템과 관련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타 지자체에 비해 항만/물류, 문화, 전시 분야가 특유의 서비스영역으로 도출되었지만 도시안전, 데이터공유,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계획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새로운 스마트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국토공간정보를 이용한 국토공간계획수립방안 (The Study on the National and Urban planning by using Spatial Data Information Infrastructure.)

  • 최봉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2-156
    • /
    • 2004
  • 국가지리정보구축사업(이하 NGIS 사업)이 마무리되면서 국토공간에 대한 기반정보들이 구축되어 가고 있지만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못하는 문제의 원인이 국토정책의 내재적 문제에서 기인하는 것인지, 아니면 NGIS 사업의 특성상 나타나는 문제인지를 살펴보고, 국토정책에서 NGIS 사업의 성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국토정책이 당면한 정책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 PDF

도시내 주거지 유형별 녹지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green space by the types of urban residential areas)

  • 송태갑;김은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6-65
    • /
    • 1997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uggest some directions for desirable urban green space planning through 1) establishing a new classification system by examining the existing concept, problems and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 and 2) defining the essence of green space environment and finding some analytical and evaluative methods through a clear establishment of functions, indicators of green space. In the research, measurements of the amount of green space was accompanied with measurements of green covered space, green volume, and the structure of greenery within the frame of vision. As result,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was possible,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was possible, which turned out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existing 2-dimensional measuring method. It is found that the ratio of green covered space is to proportional to the ratio of green volume in this study. Therefore in green space planning process it is desirable to consider the ratio of green volume all together.

  • PDF

하천에 있어서 자연성의 보전, 정비 및 창출에 관한 연구 : 지역하천의 생태학적 토지이용 특성(1) (A Study on the Conservaion, Rehabilitation and Creation of Naturality of Rivers : Characteristic of Ecological Land Use in the River Basin(1))

  • 이행렬;김훈희;박정원
    • 한국농촌계획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촌계획학회 1998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 /
    • pp.25-26
    • /
    • 1998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land use characteristics between urban and rural river systems. The ecological land unit systems was used to the key method for that objectives and the visual analysis was also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 The won-sung river was characterized by the formal urban river system of which the headwater was covered with the various man-made constructions. Also the pong-se river showed a little simptoms of the urbanization from the headwater that meant the urgent ecological land use evaluation about that region.

  • PDF

국토이용정보체계를 통한 미래지향적 국토공간계획 (Future-oriented National and Urban Planning through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

  • 김용범;임종훈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4년도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81-90
    • /
    • 2004
  • 국토이용정보체계는 국가에서 구축한 DB와 응용시스템, 지자체 보유 DB와 응용시스템은 물론, 이들을 활용하기 위한 연계시스템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국토와 도시의 계획적 이용과 관리를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계획과 관리의 대상이자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이며 지속가능한 이용이 보장되어야 하는 국토공간의 미래지향적 계획 방안에 대해 국토이용정보체계를 중심으로 연구방향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전략적 발전을 위한 공간계획의 이론, 핵심 기술 및 응용 시스템 개발측면에서의 향후 기술과 방법론의 발전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전략적 로드맵이 필요하다. 이를 중심으로 미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 가능한 국토이용정보체계가 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지식정보화 사회의 요구를 수용하고 이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토이용정보체계를 미래지향적 공간계획의 핵심이 되며, 공간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개선시키되, 수혜자가 업무 담당자는 물론 시민이 될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PDF

농촌계획지원용 지역자원평가시스템 구축(I) - 자원평가 구성요소의 목표체계 구축 - (Resources Evaluation System for Rural Planning Purposes( I ) - Formulation of Goal System for Resource Evaluation -)

  • 최수명;황한철
    • 농촌계획
    • /
    • 제3권1호
    • /
    • pp.54-67
    • /
    • 1997
  • Korean societies have been experiencing the wholesale structural changes in the rapid currents of recent openness, glob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which effect much more heavily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areas, so rural recomposition works being an important national concern. In order to systematically reconstruct the rural structure, the decision makers, with a four step hierarchy of rural resident-residents group-community-region, should be endowed with the objective judgement on basic elements of resource potentialities under their control. In this process. rational resource evaluation works would be firstly necessiated from expert groups. Based on the view mentioned above, this study principally aimed at developing a rational evaluation framework for rural resources. For that objective, the first step of the study pigeonholed the total resources items identifiable in rural areas from the existing study results, spatial planning and field surveying data. After then, using the formalized classification criteria of resources items, a tentative goal system for rural resources evaluation was proposed and the final one determined through expert-group checking. The results obtained during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Using the existing examples of resources identification/classification and the basic data list for county-level development planning as the principal reference ones, total rural resources elements were classified into 3 constituent units : land,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resources, which correspond to places to work, to play and to live, respectively, as 3 constituent ones of life-supporting space. 2. Three characteristic areal types were adopted to represent the total rural areas : lowland, upland and seashore areas, and also 3 practical use types to represent the objectives of resources evaluation systems : for land use planning, natural conservation policy and village improvement planning. Thus 9 different types of goal system for resources evaluation were developed(each system by 3 areal typesX3 practical use types) 3. Each goal system has 3-tier classification steps from the higher, middle and lower one. The higher and middle steps should contain equally applicable components to all the rural areas, of which allowable number being around 3 and 4 respectively. However the lower step would contain detailed sub-components changeable to areal characteristics of which allowable number being around 7.

  • PDF

경성부 도시계획서 상의 공원녹지 개념과 현황의 변화 양상 (Change in Concepts and Status of Park and Green Space in Urban Planning Documents of Gyeongseong)

  • 조세호;김영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17-132
    • /
    • 2019
  •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경성도시계획 문헌에 기록된 공원녹지 현황표를 분석하여 근대 공원녹지계획의 의의와 한계를 파악하였다. 1925년부터 1940년의 문서 7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1930년과 1940년의 문헌은 공식적인 경성 공원녹지 계획안을 담고 있다. 경성의 근대 도시계획 흐름에서 공원녹지는 1920년대까지는 중요한 계획의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 1934년 조선시가지계획령의 제정을 계기로 1930년대부터 공원계획은 법정 시가지계획의 일부가 되었고, 1940년에 경성시가지계획공원안을 통해 경성의 종합적인 공원녹지계획이 완성된다. 도시계획 초기에 공원은 위생시설로 인식되다가 이후 방공, 여가, 문화적 기능을 하는 공간으로 계획된다. 주요 문헌의 계획 내용을 비교하면 규모와 기능에 따른 공원의 유형 구분, 공간적 배치를 고려한 계획 기준, 시설녹지를 통한 녹지체계의 구상 등의 중요한 계획 내용의 발전이 있었다. 공원녹지계획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해 공원녹지의 수나 면적의 실질적인 증가는 거의 없었으며, 계획안과 현황 사이에는 심각한 괴리가 나타난다. 1920년대에는 경성운동장이 유일하게 조성된 시설이었으며, 1930년대에도 삼청공원, 앵정공원 두 개소만 신설된다. 1930년의 계획에서 38개소가, 1940년에는 140개소의 계획 공원이 제안된 것과는 대조적이다. 하지만 산림의 공원화, 대한제국 황실 토지의 공원화, 공원 용도의 중복지정, 소규모 아동공원 중심의 실행 등 현실적 조건에서 공원녹지의 양과 질을 향상하려는 대안이 계속해서 탐색되었다. 부족한 예산과 전쟁 준비의 상황으로 인해 일제강점기의 공원녹지계획안은 상당 부분 실현되지 못했지만, 해방 이후 서울의 공원녹지체계를 만들어 나가는 중요한 틀로서 역할을 한다.

뉴어버니즘적 수변 및 워터프론트 지역개발체계와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terfront and Waterfront Regional Development System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New Urbanism)

  • 이광영;공준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8
    • /
    • 2019
  • This study organize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by compiling New-urbanism,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theory of development. And the framework of analysis about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New Urbanistic Waterfront and urban development was derived by compiling theory of Waterfront and Waterfront city and considering prior study. This study will analyze the advanced cases at home and abroa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rban development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alysis system of the New Urbanism Waterfront and Waterfront City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advanced case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rough the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