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Pedestrian Space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8초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Street Vitality in High-Density Residential Areas Based on Multi-source Data: A Case Study of Shanghai

  • Yuan, Meilun;Chen, Yong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8
    • /
    • 2021
  • Currently, big data and open data, together with traditional measured data, have come to constitute a new data environment, expanding new technical paths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treet environment. Streets provide precious linear public space in high-density residential areas. Pedestrian activities are the main body of street vitality. In this paper, 441 street segments were selected from 21 residential districts in high-density downtown area of Shanghai as case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pedestrian activities. Bivariate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street vitality was not only correlated with a highly populated environment, but also with other factors. In particular, the density of entrances and exits of residential properties, the proportion of walkable areas, and the density of retail and service facilities, were correlated with the vitality of street segments. The magnitudes of correlation between the street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pedestrian traffic differed across various trip purposes. Segment connectivity factors were more correlated with walking for leisure than for transportation. While public transportation factors were mainly correlated with walking for transportation, vehicular traffic facto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walking for leisure.

보행 특성을 고려한 보행자 서비스수준 평가지표 개발: 홍익대학교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Development of Criteria for Determining Level of Service for Pedestrian Walkway Considering a Pedestrian Platoon: Focusing on the Hongik University Area)

  • 최성택;추상호;전나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1-206
    • /
    • 2016
  • 보행자 행태는 개인의 사회 경제적 환경과 신체적 특성으로 인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보행 지표는 다양한 표본을 통해 얻게 된 결과의 평균적인 값을 활용하게 된다. 그러나 개별 보행자의 보행 특성이 매우 다르다면 평균 값 또한 대표성을 갖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 영상촬영을 통해 보행자를 관찰한 결과, 보행로 상에 뒤섞인 군집(platoon)이 보행 흐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보행로 상에 군집이 많이 섞여 있을수록 보행 흐름은 더욱 느려지고 보행공간은 혼잡해진다. 보행류율과 보행점유공간 등의 지표는 특정 시간동안 해당 보행로를 이용한 보행자수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군집의 비율이 높은 지점과 낮은 지점에서 동일한 수의 보행자가 관측되었다 하더라도 실질적인 보행 속도, 혼잡도 등은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관찰하여 보행 군집의 구성 비중이 높은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별도의 보행자 서비스 수준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값의 보행류율을 보이는 두 개의 지점이라 해도 보행 군집의 영향에 의해 서비스 수준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실내공적공간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blic Needs for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 윤지혜;김정곤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57-166
    • /
    • 2006
  • Recently, it appears several counterproposals about desirable figures of urban architecture. All of them proposes 'publicity' with cohernt tendency. The reason why it concentrates quantitative expansion of city without united design by urban plannar is that neglect quality values of city. As a solution of poor environment, there cue out the various efforts, about problem of each building, problem of city space, problem of laws and so forth. The reason why necessity of public space was embossed in that architecture extend the activity of citizen and make up the city space. But, each building pursues the private interest, so it is difficult to secure a public space with a high hand. Thus, architecture law has been revised in 1991 and bring the system of open space to match up the publicity and the private interest. Actually, western country brought it and obtained excellent results. While quantity of open space have increased since 1991, a lot of problems revealed in real usage and quality. By means of problem's solution, this study focus on the diversion of recognition for necessity of various open space. In result, on the occasion of approach and openess, except for several building, most glass a facade and the pedestrian can approach easily. Moreover, office buildings near the subway station connected with their low floor. So, the office buildings give openess to pedestrian and a people can approach easily to the buildings. On the occasion of amenity, most have bank and lobby on the first floor and have facilities on the underground floor. It leave open. But the reason why they have bank and lobby is that the space is dry and boring(without elements of nature and rest space). Hence, to make a space full of vitality, it have to plan various design elements and facilities. First of all, plan of indoor public space have to make up facility for the public interest. This study is basic investigation for necessity of indoor public space and through the survey of office buildings, it analyze the character of plan and find out the method of publicity's realization.

역세권 특성이 지하철 이용수요에 미치는 영향분석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way Trips and Characteristics of Subway Catchment Area.)

  • 조현우;이석환;신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5191-5198
    • /
    • 2010
  • 지하철 이용수요와 토지이용, 개발밀도, 환승교통체계, 접근성과 같은 다양한 역세권 특성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추진되어 왔으나, 역세권내 보행 가로망 구조와 지하철 이용수요간의 관계에 관한 분석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79개 지하철 역세권내 가로망의 구조를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역세권내 가로망 구조의 접근성을 포함한 다양한 역세권 특성이 지하철 이용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역세권 가로망 구조를 대변할 수 있는 공간지표인 통합도, 연결도, 명료도 중 역세권 가로망의 접근 편의성을 나타내는 통합도가 높을수록 지하철 이용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세권 토지이용형태와 개발밀도를 각각 반영하는 집객시설 집중도와 용적률이 높을수록 지하철 이용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산광역시의 지하철 역세권 구조를 대중교통 중심의 개발 체계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역세권내 보행가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로 설계와 통행 목적성이 강한 도시시설물을 압축 고밀의 건축물에 조성하기 위한 노력들이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교통분야의 리빙랩 적용사례 연구 : 보행자 자동감지 횡단보도 시스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iving Lab in Transportation : Focused on the Auto-Image Sensing Signal System for Pedestrian)

  • 전나영;김수재;추상호;이향숙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17
    • /
    • 2018
  • 리빙랩이란 사용자가 직접 나서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사용자 참여형 혁신 공간을 의미하며, 리빙랩 참여자는 기술 구상부터 제품 개발의 모든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전주시를 대상으로 리빙래 방법을 이용하여 보행자 자동감지 횡단보도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리빙랩 적용에 따른 시스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보행자 대기시간, 보행자 및 차량 신호위반, 무단횡단 측면의 측정지표를 설정하였으며, 시스템 설치전, 설치후, 리빙랩 적용후의 세가지 단계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측정지표 분석결과, 리빙랩을 적용한 시스템의 효과가 설치전과 설치후 보다 상대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교통 분야에서 리빙랩이 적용된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Lesson for New Urbanism from the Traditional Space in East Asia

  • Lee, Ja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143-151
    • /
    • 2018
  • Industrialization has accelerated the expansion of mobility to the urban areas, land use for function of residence and consumption. With the urbanization, the management and distribution of the physical space of the city and rational design have also become major issues. Rapid and widespread urbanization has consistently accumulated problems of natur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circumstances, and most of urban areas have begun to focus on restoring an efficient, safe and healthy urban environment to improve of the quality of life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New-Urbanism is a new urban development paradigm that resembl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a shared economy for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cost reduction.. The geographical significance of the sharing city's concept of the alleys is to revitalize sustainable cities while restoring the attractive elements of the city. This study examines the lessons of New-Urbanism in those traditional urban space comparing with each East Asia's cities such as golmok (alley or backlane) in Seoul, Huton in Beijing, Lilong in Shanghai, and Roji in Japan. This study diagnoses whether main principals of New-Urbanism such as development of good community and walkable pedestrian route, restoration of regional identity and sense of the place, and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strategy can be practiced in the community of alley as well.

도시공간에서 날씨와 계절이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eather and Season on Pedestrian Volume in Urban Space)

  • 이수미;홍성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56-65
    • /
    • 2019
  • 물리적 환경이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도시공간에서의 보행량에 날씨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공간에서 날씨가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2009년 서울시 유동인구 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지점별 보행량을 종속변수, 날씨와 물리적 환경을 독립변수로 하는 모형을 구축하였다. 날씨가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을 계절별, 토지이용별, 시간대별로 파악하고자 계절-토지이용-시간대로 구분된 28개의 모형을 작성하여 결과를 비교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가 정규성을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음이항 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날씨요인들은 보행량에 영향을 미친다. "비"는 대부분의 모형에서 보행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눈"과 "천둥번개"는 소수의 모형에서 매우 큰 보행량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날씨가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은 계절과 토지이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예를 들어 "비"의 보행량 감소효과는 주거지역보다는 상업지역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동절기 보다는 하절기에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환경요인들의 영향도 계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차로 수는 하절기에는 보행량에 정(+)의 영향을, 동절기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역 여부 또한 하절기에는 보행량에 강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동절기에는 그 효과가 작거나 음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행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눈이나 비에 대응할 수 있는 반옥외 도시공간의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계절별로 특화된 보행활성화 정책이 필요하다.

시애틀 도심가로 구성체계 및 계획특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street weaving system and its design characteristics in Seattle)

  • 이희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201-1210
    • /
    • 2007
  • 도시의 가로공간이 시민들에게 중요하고 이용하기 좋은 공공공간으로 역할하기 위해서는 가로계획이 단지 도시의 일부를 보행자가 이용하기 편리하고 쾌적함을 줄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도시전체의 흐름을 이해하고 체계적으로 연계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시애틀의 블루링 프로젝트를 통하여 이러한 도심 가로구성체계에 대한 구체적 사례분석을 하여 그 물리적 구성방식과 계획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시애틀의 가로체계는 개념적으로 스마트성장개념에 닿아 있으며, 물리적 특징으로 (1)보행자 중심의, (2)다양한 인간활동을 수용하는 오픈스페이스의 일부로서 역할하는, (3)외곽의 오픈스페이스와 연결되어 고립되지 않은, (4)보행자의 흐름이 끊어지지 않고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위계적 구성을 가진, (5)지역적 디자인 요소를 최대한 활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도심 캠퍼스 공유공간의 공간 구조 변화에 대한 연구 - 그리드락의 반대 개념으로서의 공유 캠퍼스로의 변화에 대하여 - (A Study on the Change of Spatial Structures of Shared Space at Urban Campuses - The opposite concept of Gridlock upon the change to shared campuses -)

  • 강은기;백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1호
    • /
    • pp.145-156
    • /
    • 2018
  • Urban campus, one of the main urban facilities, is the representative place that is struggling with 'gridlock'. Due to privatization of space among different departments and space shortages, gridlock has been occurring as a result. The urban campus trying to solve this problem by changing the quality of space, especially the structure of the shared space, which is expected to be the solution to the grid lock proble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nge in the university's shared space based on paradigm transiti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i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hared space that appear at different stages through a new perspective that compares the gridlock phenomenon and the shared paradigm.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of the shared space, which has recently been restructured, is classified in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space, the creative space, and the common/complex space. In addition, these spatial characteristics are again analyzed through the division of legislative facility classification, management governance subject, area, building location and layout, exposure to the outside as well as the analysis of student and staff entry and exit, sharing structure of site and space, and the classification of program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tructured space is systemized so that the management governance of each space would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hare information and space. Furthermore, the spatial boundary between colleges or between campus spaces are not only physically, but categorically clear. The restructured space has semi (or in-between)-spati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intersection in inside and outside of the pedestrian's circulation and the mixture of programs. This study could serve as principal references in presenting the systematic analysis of directions of the shared spatial structure for the urban campus where new educational space is required due to the changes in the university system.

도시 가로공간 가로시설물의 이용실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전주시 상업가로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Actual Conditions of use in the Street Facilities of Urban Street Space- With the commercial Street on the Jeonju City -)

  • 박미화;유응교
    • KIEAE Journal
    • /
    • 제7권4호
    • /
    • pp.23-30
    • /
    • 2007
  • In Korea, the top priority of the exterior space in the urban commercial street has been put on the road and parking for cars, not on the street for pedestrians, because of the lack of institutional urban planning, the land use of high density, the pursuit of maximum commercial profit, etc. Also, it is true that the form and facade of the street buildings which fo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ercial street are regarded as the consumption-stimulating tool and, subsequently, are symbolized for commercial profit. This study starts from the recognition of reality, and, with the perspective of general plan for urban exterior space, tries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design of street space. Also, this study searches the ways to enhance the cultural, art, aesthetic and functional values of a city, as well as the ways to promote commercial activities and to perform commercial symbolism and pedestrian functions.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importance of street environmental design and the information of environmental design, so that the problems of current street environment, which generates the disorder and chaos of information, may be solved. Also, this study aims at promoting the continuous development for the future street environmental design and design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