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Neighborhood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31초

COVID-19 발생 전·후 생활권 공원녹지 모빌리티 변화 분석 (Mobility Change around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 최가윤;김용국;권오규;유예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01-118
    • /
    • 2023
  • 팬데믹 기간 동안 도시민의 생활권 공원녹지 이용률은 크게 증가하였으며 COVID-19의 발생은 도시민들에게 생활권 공원녹지의 가치와 기능을 부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COVID-19 발생 전·후 시민들의 이동 및 생활권 공원녹지 이용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실증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친 사회·공간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 방법으로는 첫째, 통신사 시그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생활권 공원녹지 모빌리티 변화를 분석하였다. 체류시간 및 이동량 변화 분석을 통해 COVID-19 발생 이후 나타난 시민들의 이동 특성과 보행 기반의 생활권 공원녹지 방문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둘째, 생활권 공원녹지 모빌리티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COVID-19 발생 전·후 시민들의 생활권 공원녹지 방문량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공간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후 군집분석을 통해 생활권 공원녹지 서비스의 공급 및 관리 관점에서 포스트 코로나 대응을 위한 생활권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생활권 공원녹지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발생 이후 거주지 주변 500m 이내에서의 활동이 증가하였다. 도보생활권에서의 체류시간과 보행 이동량은 2020년과 2021년 모두 증가하였으며 이는 변화한 도보생활권의 범위를 고려해 공원녹지의 양적 확보 기준과 유치거리 등을 재검토할 필요성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둘째, 보행을 통한 생활권 공원녹지 방문량이 COVID-19 발생 이후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집을 중심으로 한 생활권 공원녹지 방문량뿐만 아니라 직장을 중심으로 한 방문량 역시 크게 증가하였다. 팬데믹 시대의 공원녹지 정책은 주거지와 상업·업무시설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서비스 소외지역을 발굴하고, 해당 지역의 공원녹지 서비스를 양적·질적으로 개선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원녹지 서비스 수준이 높은 지역일수록 보행을 통한 이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녹지의 확보 기준을 단순 면적으로 볼 것이 아니라 보행 접근성 등 시민들의 실제 공원녹지 서비스 향상에 기여하는 지표를 활용할 필요가 있겠다. 넷째, 군집분석 결과 팬데믹 시대에 대응한 생활권 공원녹지의 개선 유형이 다섯 가지로 도출되었다. 이는 앞으로의 공원녹지 정책에서 소규모 생활권 단위의 사회경제적 지위 특성, 공원녹지 서비스 수준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통신사 시그널 데이터 분석, GIS 분석, 통계분석 등 다각적인 분석 방법론을 활용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한 생활권 공원녹지 정책 수립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학술적, 정책적 의의를 갖는다.

도심내 실개천 조성을 통한 생물서식처 복원방안 - 서울시 강남구 청담근린공원을 사례로 - (Biotope Restoration for a Brooklet Creation in Urban -Focusing on the Cheongdam Neighborhood Park -)

  • 강현경;이수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1-14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the plan of creating a brooklet reflecting an water-friendly space as well as its function as the habitats of wildbird in Cheongdam Neighborhood Park in Seoul. Major fields of this study include a survey of the staus, a basic plan, a master plan, a execution; a survey of this site was focused on topography, water system, trail, existing vegetation, wildbird; a detailed plan was focused on flow plan, planting plan, facility plan. Existing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5 types; Quercus mongolica-Q. acutissima forest, Robinia pseudoacacia forest, Populus${\times}$albaglandulosa forest, artificial green space, urban area. 11 species and 49 individuals of wildbirds appeared in 2004(3~4month). The plan of creating a brooklet were divided passive-zone, eco-zone, and dynamic-zone. Environment elements of each space including a mountain stream, ecological pond, marshland, ecological landscape forest, wildbird observation trail, waterway etc. The brooklet of Cheongdam Neighborhood Park is rated high as an important space for wildbird biodiversity. Accordingly, continuous monitoring of this biotope as a urban habitat is required as the environment changes.

중소도시 택지개발지구내 근린형 복합용도건물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천시 부곡택지지구를 중심으로 -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eighborhood Mixed-use Buildings in the Housing Development District of Small Cities - Focused on Bugok Housing District in Gimcheon -)

  • 이근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177-187
    • /
    • 2008
  • This study does try to proceed on the assumption that complex buildings can vitalize urban life of modern society from contemporary complexity and cases of past failure, and intend to propose future planning guidelines and directions of the neighborhood mixed-use buildings in the housing development district of small cities. For this purpose, thirty buildings which had been built on Bugok housing district in Gimcheon from 1999 until 2007 were chosen and investigated in urban and architectural dimension. The scope of this investigation is that site size is below 400 square meter and the number of stories on the ground below 5 floor, and the method of that is through field investigation, field photographs, and recordings and drawings on those. Investigative contents could be divided and analysized into physical and functional elements in urban and architectural dimensio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uture planning approach of complex buildings in medium and small cities will be considered as planning principles.

  • PDF

서울시 자전거 교통사고와 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 요인 분석 (Analysis of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Bicycle Accidents and Accidental Severity in Seoul, Korea)

  • 황선근;이수기
    • 국토계획
    • /
    • 제53권7호
    • /
    • pp.49-6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bicycle accidents and accidental severity in Seoul, Korea. The use of bicycles has increased rapidly as daily transportation means in recent years. As a result, bicycle accidents are also steadily increasing. Using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TAAS) data from 2015 to 2017, this study uses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bicycle accidents and accidential severit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icycle accidents are more likely to occur in commercial and mixed land use areas where pedestrians, bicycle and vehicles are moving together. Second, bicycle accident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road structures such as four-way intersection. In contrast, three-way intersection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rious bicycle accidents. The density of speed hump or street tre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icycle accidents and accidential severity. This finding indicates the effect of speed limit or street trees on bicycle safety. Fourth, bicycle infrastructures are also important factors affecting bicycle accidents and accidential severity. Bicycle-exclusive roads or bicycle-pedestrian mixed road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icycle accidents and accidential severity. Finally,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bicycle safety.

CPTED 사업으로 인한 근린의 물리적 환경변화가 빈곤지역 주민들의 범죄두려움과 동네만족도, 동네애착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부산 사하구 감천2동을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Neighborhood Physical Changes caused by CPTED Project on Resident's Fear of Crime, Neighborhood Satisfaction, and Neighborhood Attachment in the Poverty Area - Focused on the Gamcheon 2-dong, Saha-gu, Busan -)

  • 박주현;이경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1호
    • /
    • pp.105-11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 change on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project implemented in Gamcheon 2 Dong on the fear of crime, neighborhood satisfaction, and neighborhood attachment in the poor. In this study, the data collected through field surveys an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pecifically the SPSS AMOS 25 program.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neighborhood satisfaction was enhanced by the improvement in the walking environment and the reduction in the neighborhood disorder level of the target area through the installation of major CPTED facilitie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 that the reduction in the neighborhood disorder due to the CPTED project enhanced the neighborhood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neighborhood attachment in the local residents. In addition, the changes in the walking environment caused by the CPTED proje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neighborhood satisfaction, and as the degree of neighborhood disorder decreased, the neighborhood satisfaction increased and the local people's attachment level increased.

평택시 일반근린형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Revitaliza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General Neighborhood in Pyeongtaek City)

  • 강경주;장정민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2호
    • /
    • pp.51-7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평택시가 추진하고 있는 안정지구와 신장지구의 일반근린형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파악된 문제점을 토대로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의 중요도 요인을 도출하였다. 상가 주인 및 종업원과 거주 주민을 대상으로 한 1차 설문조사의 분석결과 도시재생사업의 인지도는 높은 편이며 도시재생사업의 필요성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요인·경제적 요인·문화적 요인 3개 모두에서 전체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개선방안을 위한 2차 전문가 설문과 AHP분석에 따르면, 행정전문가와 실무전문가의 중요도 선택에서는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행정전문가 중요도 분석으로 네트워크형 지역거버넌스 구축 중요도는 1순위로 나타났다. 미군 관련 행사 주관 및 장기적 프리마켓운영 중요도는 2순위, 주한미군과 지역사회 간 교류협력 확대 중요도는 3순위로 나타났다. 실무전문가 중요도 분석으로 미군 관련 행사 주관 및 장기적 프리마켓운영 중요도는 1순위로 나타났고, 미군관련축제 행사지원 및 지역 자연경관자원 개발 중요도는 2순위, 상생협력상가 조성 및 공공재원지원방안 중요도는 3순위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근린형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해 미군과 지역주민 수요증대를 위한 상업시설의 적극적인 유치를 하고 지역관광과 연계한 프로그램과 미군관련 행사주관 및 장기적으로 프리마켓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지역거버넌스 협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도·농지역 청소년의 물리적 환경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of the Urban and Rural Adolescents)

  • 이선민;최병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73-8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of the adolescents in urban and rural areas.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research subjects wer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Jeollabuk-do rural areas. The questionnaire inquired about the housing, neighborhood, and school environments, and these contents were depended on previous studie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27 to September 6, 2013, and 446 data were collected. They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2.0 progra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urban adolescents evaluated physical environment to be better than rural adolescents. Specifically, the urban adolescents evaluated 'facility/accommodation', 'security/health', 'amenity' of the housing environment, 'disorder', 'comfortability', 'nature awareness'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noise', 'overcrowding', and 'security' of the school environment to be higher. 2) The urban adolescents'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rural ones. 3) The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which had effects on adolescents' mental health,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reas, and so adolescents' physical environment would be designed by the local environment conditions.

빅데이터를 활용한 생활밀착형 치유정원 연관키워드 분석 (An Analysis of Keywords Related to Neighborhood Healing Gardens Using Big Data)

  • 황지루이;이애란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2호
    • /
    • pp.81-90
    • /
    • 2022
  • 본 연구는 도심내 정신건강의 녹색치유공간의 사회적 필요성에 기인하여 생활밀착형 정원에 대한 현 시대의 사회적 인식요소 분석을 통해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빅데이터 툴 중 덱스톰을 활용하여 웹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텍스트마이닝을 진행하여 키워드 분석, 네트워크 분석과 담론분석을 통해 요소의 추출과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치유공간과 치유환경은 도시 내부인 생활밀착의 공간 안에 친화적 건강 환경을 구축하고 있었다. 둘째, 생활밀착은 시설뿐 아니라 생활문화와 도시환경을 연동하여 국가와 지방행정, 시민이 참여하는 사업과 활동을 담고 있으며 생활밀착형 정원은 녹색복지와 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해 내실화되고 있다. 결론으로 정신건강에 유익하고 친근한 생활권의 공익형 정원은 긍정적 자극을 줄 수 있는 치유 환경으로서의 녹색인프라이다.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대구시 근린공원 질적 가치 형평성 (Qualitative Equity of Neighborhood Parks in Daegu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 정미정;정태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45-55
    • /
    • 2020
  • 환경정의의 관점에서 도시공원은 시민들에게 신체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어메니티 역할을 한다. 공정한 도시공원의 분배기준은 커뮤니티의 수요, 배경을 고려해 최대의 혜택을 나누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대구시 도시공원의 질적 공급 불균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원의 질적 수준 평가는 대구시 내 82개 근린생활권 및 도보권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NGST(Neighborhood Green Space Tool)를 통해 진행하였다. 사회경제적 지위 변수(기초생활 수급자 비율, 한부모 가족 비율, 평균 주택매매가, 노후주택비율, 인구 당 공원 면적)는 그 형평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를 통한 대구시 내 도시공원의 질적 형평성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시 내 공원계획은 지자체 정책보다 주거단지와 병행해서 진행된다. 중심에서 외연부로 뻗어나가는 외곽주택지구 개발은 대구시 내 주민들의 사회 경제적 지위를 양분화 하였다. 구도심에 있는 행정동은 상대적으로 오래되고 제대로 관리 받지 못한 공원들이 많았다. 둘째, 대구시 내 근린공원은 전반적으로 레크레이션 시설 부족 문제를 겪고 있었으며, 이는 공원을 둘러싼 주거의 가치에 영향을 받았다. 레크레이션 시설 점수가 낮을수록 공원의 지형구배가 높았고 신체활동의 제약을 받았다. 셋째, 대구시 공원의 양적 공급은 공원의 질적 가치와 관련이 없었다. 일인당 공원면적은 충분했으나, 시민들이 생활권 내에서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도시공원은 매우 적었기 때문에 질적 형평성을 나누는 기준이 될 수 없었다.

도시공원 서비스권역 내 · 외 이용인구 정밀 분석 - 대구광역시 근린공원, 주민등록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Sensitivity Analysis on the Population within and outside of the Urban Park Service Areas - Focused on Daegu Metropolitan City Neighborhood Parks and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Data -)

  • 손승우;안동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9-18
    • /
    • 2013
  • 본 연구는 도시공원 공간적 분포의 문제점을 도시공원 서비스권역과 주소별 주민등록 데이터를 사용한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도시공원 중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지정된 "거주자의 보건 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이바지 하기 위해 설치"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크게 1)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분석, 2)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내 외 인구분석, 3) 기존 연구와의 비교 검토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들에서 나타났던 거주민 분석의 한계를 개선하고자 차별성을 두어, 각 주소별로 등록된 거주민 주민등록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거주하는 주민수를 적용하였다.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또한 기존에 주로 사용되었던 직선거리를 적용한 버퍼분석이 아닌 보행로, 새주소길 등을 적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도출한 결과,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면적은 전체면적의 7.99%의 비율을 보였으며, 전체 주거지역 중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면적은 31.23%의 비율을 보였다.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내에 거주하는 인구는 대구광역시 인구의 43.03%만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인구 반 이상의 인구가 서비스권역 외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방법과의 비교 검토 결과는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및 서비스권역 내 외 인구 수치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