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Flooding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23초

도시 홍수: 원인, 영향 및 저감 전략 고찰 (A Review of Urban Flooding: Causes, Impacts, and Mitigation Strategies)

  • 이진용
    • 지질공학
    • /
    • 제33권3호
    • /
    • pp.489-502
    • /
    • 2023
  • 도시 홍수는 도시화와 기후 변화의 상호작용에 의해 전 세계 도시들에게 중요한 도전으로 인식된다. 이 논문은 최근 도시 홍수 연구사례들을 조사하여 그 원인, 영향 및 잠재적인 완화 전략을 이해하려고 하였다. 도시화는 증가하는 불투수 표면과 변화된 배수 패턴으로 인해 자연적인 수류를 방해하며 강한 강우 이벤트 동안 표면 유출을 강화시킨다. 도시 홍수의 충격은 광범위하게 생명, 기반 시설, 경제 및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데 생명과 재산 피해, 중요 서비스 중단 및 환경적 피해는 효과적인 도시 홍수 관리의 긴급성을 요구한다. 도시 홍수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통합된 홍수 관리 전략이 필수적인데 지속 가능한 도시계획, 녹색 인프라, 그리고 개선된 배수 시스템은 홍수 취약성을 감소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기경보 시스템, 긴급 대응 방안, 그리고 지역 주민의 참여는 홍수 대비 및 회복탄력성의 필수 구성 요소이다. 미래 전망에 의하면 기후 변화에 따른 홍수 위험 증가를 보여주므로 회복탄력성과 적응 조치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관련 분야의 연구, 데이터 수집 및 모델링 기술의 발전은 더 정확한 홍수 예측을 가능하게 하며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것이다.

도시배수체계와 연계한 내수침수모형의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Inundation Modeling with Urban Flooding Caused by the Surcharge of Storm Sewers)

  • 김지성;한건연;이창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12호
    • /
    • pp.1013-1022
    • /
    • 2006
  • 도시지역에의 내수침수는 주로 우수관로 배수체계의 통수능력 부족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도시침수에 대한 국내외 연구가 우수관로해석에 국한되어왔다. 하지만 우수관로시스템 해석을 통해서 배수능이 부족한 관거를 찾는 것만으로 침수방지대책을 세우는 것은 매우 근사적이고 비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침수양상에 대한 정확하고 합리적인 해를 도출하기 위하여 ILLUDAS를 이용한 관로시스템 해석과 2차원 지표류 계산모형을 연계한 침수해석 모형을 개발하였고, 2001년 7월 서울지역의 집중호우 사상에 대한 적용결과로 해석결과를 검증하였다. 표고차가 적은 도시유역에서 침수모의를 위해서는 2차원적 홍수전파양상을 반드시 고려해야 침수범위, 침수위 등에 대한 정확한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도시 홍수 예경보와 침수지도 작성 등의 도시치수 및 방재계획 수립에 실제적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내수위 조건에 따른 도시내수침수 예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rban Inundation Flooding Forecasting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Conditions)

  • 추태호;추연문;전해성;권창헌;이재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45-550
    • /
    • 2019
  •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이상기후현상으로 자연재해의 발생빈도와 피해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 인하여 도시유역의 수문학적 양상이 변화함에 따라 불투수 면적 증가와 함께 증가된 호우로 심각한 내수침수 피해를 가져온다. 이에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수침수 예측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강도와 지속시간만으로 침수예측이 가능한 Flood Nomogram을 개발하였다. 내수침수 발생가능이 매우 높고 침수 위험도가 높은 대도시내 침수예상 지역의 내수침수피해 특성을 분석하여 내수침수 예보 기준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우수맨홀과 우수관경을 기준으로 내수위를 4가지 조건하에 도시내수침수 예보 기준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우수맨홀이 넘칠 때, 2) 우수관경이 가득 찼을 때, 3) 우수관경의 70%에 도달했을 때, 그리고 4) 우수관경의 60%에 도달했을 경우이다. 따라서, 침수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강우와 침수피해를 유발하는 강우사상을 통하여, 내수침수가 시작되기 전에 사전대비, 대응할 수 있는 기준과 예측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급성장 도시지역의 기후변화 홍수재해 위험성 분석 (Flooding Risk under Climate Change of Fast Growing Cities in Vietnam)

  • 김소윤;이병재;이종소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9
    • /
    • 2020
  • 베트남의 도시들은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위험성이 높은 상황인데, 빠르게 도시지역이 확장됨에 따라 홍수위험성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확장강도지수를 활용하여 지난 10년간(2007년-2017년) 베트남 국가차원에서의 도시확장 추세를 확인한 후, 기후변화 영향이 크고 확장속도가 빠른 지역으로서 후에시를 선정하여 홍수발생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홍강델타, 메콩델타, 해안지역의 주요 도시 주변으로 확장되었으며, 후에시의 경우 확장속도가 빠른 지역일수록 예상침수면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에 홍수재해 위험성이 더욱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재해취약성분석 제도 등 국내의 도시방재정책은 베트남 급성장지역에서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계획 수립 시 도움이 될 것이다.

도시확장강도와 건물침수의 공간적 관계성 (Spatial Relations of the Urban Expansion Intensity and Flooded Buildings)

  • 강상준;권태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4호
    • /
    • pp.759-764
    • /
    • 2017
  • 본 연구는 홍수로 인한 건물침수 발생지역과 시가지 확장현상 사이에 어떠한 공간적 상관성이 존재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강릉시 일대를 대상으로 Urban Expansion Intensity Index 와 Hotspot Analysis를 이용하여 공간적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지 분석을 통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물침수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은 도시확장강도가 높으며 또한 그러한 확장이 짧은 기간에 이루어진 가도시화 성격이 강할수록 건물침수 발생 강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양호한 도시기반시설이 미흡하다고 여겨지는 구도심지역은 상대적으로 전체 연구대상지의 평균수준으로 건물침수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높은 개발강도와 더불어 체계적인 도시기반시설마련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비교적 짧은 기간의 도시개발 또는 가도시화는 주택침수발생현상을 유발한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개연성은 공동주택지와 같은 신규개발지 증가가 신규개발지 인근 기개발지의 홍수취약성을 인접지역 신규개발 이전 상태에 비해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인과관계에 대한 향후 실증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유출저감을 위한 도시형 수로 시스템 및 시공방법 (Urban Waterway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Runoff Reduction)

  • 오영탁;한승완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25-33
    • /
    • 2021
  • 본 기술은 기존의 빗물받이 및 도시형수로 시스템의 대체 가능한 기술로서 적용시 빗물은 빠르게 투수됨으로써 도시홍수를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이다. 강우시 인도 방향의 제1 수로 공간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담배꽁초 등의 쓰레기는 유입되지 않고, 채움재를 통해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감소시킨 후 지하로 투수시킬 수 있다. 제2 수로 공간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유속을 떨어뜨려 임시로 저류하였다가 배수관으로 배수시킴으로써, 배수관에서의 병목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도시형 수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통해 도시홍수 및 미세먼지 저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효과적인 도시 홍수 저감을 위한 그린-그레이 인프라 위치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ized Placement of Green-Gray Infrastructure for Effective Flood Mitigation)

  • 배채영;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5-75
    • /
    • 2022
  • Urban flood management(UFM) strategy ought to consider the connec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existing and new infrastructures to manage stormwater and improve the capacity to treat water. It is also important to demonstrate strategies that can be implemented to reduce the flow at flooding sources and minimize flood risk at critical locations. Although the general theory of spatial impact is popular, modeling guidelines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for implementation in real-world plans are still lacking. Under such background, this study conducted a modeling research based on an actual target site to confirm the hypothesis that it is appropriate to install green infrastructure(GI) in the source area and to take structural protection measures in the impact area, as summariz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ed the hypothesis, but the results were different from the hypothesis depending on which hydrological performance indicators were targete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strategies that can be implemented to reduce the flow at flooding sources and minimize the risk of flooding in critical locations in terms of spatial planning and regeneration.

하수관거시설의 침수대응 운영·관리 실태 연구 (II) (Survey on sewerage operation/management planning for flooding (II))

  • 류재나;차영주;오재일;현인환;김영란;장대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1-276
    • /
    • 2009
  • Under current design standard, sewers are designed to drain stormwater generated up to 10 year return period of storms. This implies sewer flooding could occur from rainfall exceeding a 10 year return period. 5, 10, 20 and 30 year return period of storm intensities were calculated for 22 locations (cities) of meterological stations over the nation and compared to the recorded rainfall intensities for the last 30 years. The comparison resulted in the numbers of year maximum rainfall intensities exceeded each return period. Using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incidences of flooding since 1980" of the previous paper (Survey on sewerage operation/management planning for flooding (I)), the actual rainfall records on the date of flooding events were analyzed to demonstrate the number of flooding events caused by the exceedance of sewer capacity. For the last 30 years, more than 6 years of year maximum rainfall intensity (20%) were larger than the 10 year return period of storm in 4 cities of the 22 used for the first analysis. The number of rainfall records that exceeded the 10 year return period was 50 of the 260 actual flooding events investigated from the survey.

SWMM 모델을 이용한 우수 관리 홍수 탄력성 분석 (Analysis of Flood Resilience of the Stormwater Management Using SWMM Model)

  • Hwang, Soonho;Kim, Jaekyoung;Kang, Junsuk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6-126
    • /
    • 2021
  • Stormwater redu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afety and resilience to flooding in urban areas. Due to rapid climate change, the world is experiencing abnormal climate phenomena, and sudden floods and concentrated torrential rains are frequently occurring in urban basins and the amount of outflow due to stormwater increases. In addition, the damage caused by urban flooding and inundation due to extreme rainfall exceeding the events that occurred in the past increases. To solve this problem, water supply, drainage, and water supply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the water management paradigm is shifting from sewage maintenance to water circulation and water-sensitive cities. So,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easures to increase the resilience of urban ecosystem systems for urban excellence reduction by analyzing the effects of green infra structures and LID techniques and evaluating changes in resilience. In this study, for simulating and analysis of runoff for various stormwater patterns and LID applications,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was used.

  • PDF

강남지역 홍수영향예보를 위한 침수특성 분석 (Analysis on Inundation Characteristics for Flood Impact Forecasting in Gangnam Drainage Basin)

  • 이병주
    • 대기
    • /
    • 제27권2호
    • /
    • pp.189-197
    • /
    • 2017
  • Progressing from weather forecasts and warnings to multi-hazard impact-based forecast and warning services represents a paradigm shift in service delivery. Urban flooding is a typical meteorological disaster. This study proposes support plan for urban flooding impact-based forecast by providing inundation risk matrix. To achieve this goal, we first configured storm sewer management model (SWMM) to analyze 1D pipe networks and then grid based inundation analysis model (GIAM) to analyze 2D inundation depth over the Gangnam drainage area with $7.4km^2$. The accuracy of the simulated inundation results for heavy rainfall in 2010 and 2011 are 0.61 and 0.57 in POD index, respectively. 20 inundation scenarios responding on rainfall scenarios with 10~200 mm interval are produced for 60 and 120 minutes of rainfall duration. When the inundation damage thresholds are defined as pre-occurrence stage, occurrence stage to $0.01km^2$, 0.01 to $0.1km^2$, and $0.1km^2$ or more in area with a depth of 0.5 m or more, rainfall thresholds responding on each inundation damage threshold results in: 0 to 20 mm, 20 to 50 mm, 50 to 80 mm, and 80 mm or more in the rainfall duration 60 minutes and 0 to 30 mm, 30 to 70 mm, 70 to 110 mm, and 110 mm or more in the rainfall duration 120 minutes. Rainfall thresholds as a trigger of urban inundation damage can be used to form an inundation risk matrix. It is expected to be used for urban flood impact foreca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