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Economic Regeneration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1초

서점을 주제로 한 특화거리조성 사례분석 -부산시 '보수동 책방골목'을 중심으로- (Analysis on Characterized Street Making themed Bookstores -With a Case of 'Bosu-dong Book Street' in the City of Busan-)

  • 신선화;최강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47-458
    • /
    • 2012
  • 본 연구는 특화거리조성을 통한 도시재생 및 지역 활성화 특화전략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부산시의 대표적인 특화거리의 하나인 '보수동 책방골목'을 대상으로 특화거리의 조성내용, 조성주체, 조성과정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국외사례고찰의 대상으로 서점을 통한 특화거리 조성의 대표적인 국외사례인 '헤이 온 와이' 책 마을과 '간다 고서점 거리'를 선정하여 보수동 책방골목과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국내외 사례의 분석을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화거리의 내용적 측면에 있어서는 책과 관련된 관광 및 출판 산업 등과의 연계를 통한 지역의 활성화와 지역정체성을 기반으로 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특화거리를 조성하고 운영 관리하는 주체는 주민과 상인이 주도가 되고 공공은 이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 '주민 상인주도+공공지원'의 형태가 필요하다. 셋째, 특화거리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성과 운영 및 관리의 전 과정에 있어서 주민 및 상인을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의 적극적이고 활발한 참여와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e Structure of Green Environmental Management Initiated by Greenspace Scotland

  • Takeshi Kinoshita;Ye Kyung-Roc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2호
    • /
    • pp.210-215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port background, organism and activities of Greenspace Scotland, which was established for creation and management of green environment in urban Scotland, UK, and to help discussing an efficient structure for green environmental management in future Japa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Greenspace Scotland plays a key role to develop and offer the framework - structure of partnership - for creating, regenerating and managing green environment from a large-scale point of view. Rich varieties of projects, which are difficult to manage by individual organization, have been brought to realization through circulating national funds and policies among local communities in partnership with existing charities and voluntary sector keeping their identity and independence. Greenspace Scotland also put stress on the aspects of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regeneration in urban communities, and emphasizes a partnership development for above purposes.

  • PDF

대구시 도심 토지이용 특성과 재개발 (The Land Use Characteristics and Renewal of Urban Central District in Daegu)

  • 이상율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92-607
    • /
    • 2003
  • 본 연구는 대구시 도심의 토지이용 변화와 재개발의 실태를 파악하고, 도심 공간의 쇠퇴가 토지이용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1980년대이래 우리나라의 대도시가 겪는 공통의 현상으로서 도심의 쇠퇴는 인구뿐만 아니라 경제활동에서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같은 도심의 공동화 현상과 관련하여 도심에서 토지이용을 크게 용도지역과 실제 토지이용의 측면에서 중심상업지구와 주거지역에서 변화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중심상업지역은 중심상점가에서 상업적인 기능이 강화되고, 업무적 기능은 정체 혹은 쇠퇴로 나타나는데 비해 주거용 토지이용은 다른 용도지역과 혼합되어 나타나지만 실제 개발은 필지 규모의 제약 때문에 도심 공간의 효율화에 저해가 되는 것으로 밝혀진다. 아울러 건축물에 기초한 토지이용 전환의 정도에 의해서 주거용도의 변화정도를 뒷받침하고 있다. 끝으로 도시재개발사업의 일환으로서 도심재개발 사업을 살펴보고, 현재의 문제점과 그 과정을 기술하였다.

  • PDF

샌프란시스코 Yerba Buena Garden의 사회적 지속가능디자인 특성 (Socially Sustainable Design Characteristics of Yerba Buena Garden in San Francisco)

  • 이연숙;윤혜경
    • KIEAE Journal
    • /
    • 제8권3호
    • /
    • pp.61-68
    • /
    • 2008
  • The development of urbaniza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according to the rampant growth of industrialization not only brought about the improvement of life-quality but also induced us to reconsider the contemporary issues such as crisis of echo system which made us aware of the values and significance of the system and sustainable environments. As sustainability has been recognized as the holistic concept, it has been highlighted as one of the core concepts in the studies with the present ecological perspective. Particularly, as the plan of urbanization in Korea which had been based on the deconstruction has been converted into the regeneration, economic and cultural regeneration is also demanded for the future plan besides material regeneration. This study aims to scrutinize various attributes of socially sustainable designs in Yerba Buena Garden of San Francisco, USA which has been globally well known as a successful example of urban regeneration. By way of visit-and-observation of the place, the research for the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month of December, 2007. Three researchers visited Yerba Buena Garden to observe and take photographs and to obtain relevant data and public documents in local public library. Socially sustainable design was measured on the basis of such principles; social facilitation, permeability and accessibility, safely and emotional stability, softness and feminism, and child care convenience. Relevant data were systematically organized to support and prove the above principles. The result of the study is expected to effectively be utilized for Korean environment plan and design as a benchmarking guidelines against the crisis of degeneration and the aging society with the lowest birthrates in the world.

비용/공정/위험 통합 관점에서 메가 프로젝트 성과측정을 위한 위험성과지수 개발 (A Development of Risk Performance Index for Mega-project Performance Measurement in view of the integrated Cost/Schedule/Risk)

  • 김선규;박규영;유영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69-77
    • /
    • 2009
  • 최근 도심재생사업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는 기존 도시의 노후화된 건물과 저급화된 기반시설로 인해 파생되는 사회적 경제적 문제들을 새로운 도시개발 즉 재개발사업을 통해 해결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그러나 도심재생사업은 사업에 관계되는 다양하고 복잡한 이해관계자들과 규모의 방대함으로 수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사업의 성과를 보장할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심재생사업과 같은 메가 프로젝트의 성과관리를 함에 있어, 기존의 비용/공정 중심의 성과측정체계를 위험관리 관점으로 확장시킴으로서 메가 프로젝트에 대한 종합 성과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위험성과지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위험성과지수 방법론은 기존의 EVMS와 유사한 체계를 갖추고 있고, 위험성과지수를 구성하는 18종류의 세부지수와 변수를 통해 비용/공정/위험의 3차원적 통합 성과관리가 가능하게 하였다.

지방 중소도시 도심지역의 거주환경과 거주의식에 관한 연구 - 나주 도심재생을 위한 사례연구 I - (A Study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Consciousness of Downtown Areas at Regional Small & Medium Cities - Case Study for Urban Regeneration of Naju Region I -)

  • 정영덕;조용준;김윤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25-132
    • /
    • 2007
  •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residential environment and consciousness of downtown residents in Naju city and its results are as follows. Naju's population or urban population were decreased by half for 25 years, but area of residential regions was increased twice. It indicates that major parts of increased residence area are occupied by housing site development area. Uses of downtown buildings are for residential building mostly, but commercial building is less than 1/3 and story of buildings is mostly the first floor. So downtown area in Naju has residential function mostly and family composition is over sixties in more than half of population and regional aging is remarkable because household over majority of the population has no family under twenties. Downtown areas showed detached house and their own house in 2/3 of population and residents over majority of population have lived in current house over 20 years and had strong settlement. But housing site area is less than 40 pyeong at 3/2 of population and 2/3 of population have not parking lot. Most of population have dissatisfaction with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and for solving their dissatisfaction, improvement of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road extension and construction of parking lot are needed most. Most of residents consider that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or economic level is normal or developed a little compared to five years ago, but when such a dissatisfaction is solved, they continue to live in their area.

주민의 인식과 태도로 본 도시 공동체의 현황과 과제 - 대구 동구 안심지역을 사례로 - (Features and Issues of an Urban Community by Analysing Residents' Awareness and Attitude)

  • 이영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9-281
    • /
    • 2014
  • 최근 도시재생 및 사회적 경제 등의 분야에서 도시 공동체가 주목받고 있다. 지금까지는 도시 공동체의 이상적 대안적 성격에 관심이 있었으나, 도시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서는 현실의 공동체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과제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논문에서는 최근 공동체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사회경제적 특성, 지역사회에 대한 공동체 의식, 지역에서 이웃과 맺고 있는 관계와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것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도시 공동체의 현황과 과제를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이 지역에서는 중산층, 고학력, 아파트 거주자들이 주로 참여하였으며, 이웃과 사회적 관계를 활발히 맺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참여가 활발하였다. 이러한 공동체 활동의 특정 계층 지향성은 다른 주민의 정보 접근을 제한하고 이는 참여 제한으로 이어지며 배제가 일어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계층 간 보다 개방적인 느슨한 연대가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 PDF

연안정주지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어항(송정항, 구덕포항, 공수항)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Coastal Settlements -Focused on the Fishery Ports(Songjeong, Gudeokpo, Gongsu) in Busan-)

  • 권도헌;이석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770-1777
    • /
    • 2014
  • 연안정주지에는 다양한 유 무형의 지역자산이 있으며 환경적으로도 민감한 곳이다. 연안정주지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지역자산에 대한 가치를 간과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해관계가 다양하고 첨예한 주민에 대한 고려 또한 미흡하다. 그 지역의 상황과 주민의 요구 및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연안정주지를 개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연안정주지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부문을 함께 고려하지 않은 물리적 환경 개선 위주의 연안정주지 개발은 지역주민의 소외와 갈등, 그리고 그 지역이 지니고 있는 고유한 장소성 상실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재생의 관점에서 연안정주지의 구성요소 및 유형을 구분하여 부산지역 어항(漁港) 일대의 연안정주지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는 연안정주지의 공간적 물리적 재생뿐 아니라 다양한 생활환경을 포함한 지역 문화(전통성과 지역성) 보존, 지역 경제 활성화, 그리고 지역 공동체의 강화 등을 포함한 통합적 재생의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며, 연안정주지의 매력과 경쟁력, 그리고 지속가능한 발전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항만지역의 재생을 통한 워터프론트 문화도시 통합계획 (Integrated Waterfront Cultural Planning through Regeneration of Former Industrial Harborfront)

  • 이금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75-185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산업항구도시의 재도약을 위한 도시경제기능과 다양한 도시활동을 추구하기 위한 지역역사 기반의 생활문화공간 조성 측면에서 항구도시의 특성을 살린 워터프론트 통합계획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요코하마의 성장과정과 개발배경을 살펴보고 MM21의 개발정책 및 전략 체계를 기초로 하여 MM21의 워터프론트 및 역사문화공간 계획특성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MM21은 도쿄의 확장으로 위성도시의 위기에 처한 요코하마가 추진한 6대 사업 중 핵심이 되는 공공프로젝트로, 도시자립성 강화, 항만기능의 질적 전환, 수도권의 업무기능 분담을 목표로 하여 항구도시, 창조문화도시, 녹색수변도시, 정보도시 건설을 위해 워터프론트 통합도시개발을 계획하였다. 결론: MM21 분석을 통해 도출된 항구도시의 특성을 살린 워터프론트 문화도시 계획방안은 워터프론트 중심의 토지이용계획과 내륙지역과의 통합계획, 항구도시로 성장한 도시조직을 최대한 보존하고 워터프론트 도시로 전환할 수 있는 구역계획 구축, 조망점을 통해 바다와 항만을 향한 도시경관 제공, 항만과 바다를 향한 워터프론트 오픈스페이스와 에스플라나드 경관조성, 역사적 건축물과 문화자산 보존 및 문화예술공간으로 재활용, 공공문화예술과 보행네트워크를 연계한 워터프론트 공간계획 등이다.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공간구조와 공시지가 변화 분석 (Analyzing the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and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by Using Space Syntax)

  • 조정훈;문태헌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3-52
    • /
    • 2016
  • 지가는 도시의 사회 경제적 특성을 함축적으로 표현하면서 도시공간이 가지는 종합적인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지가는 각종 도시개발사업에 의한 공간구조와 지역의 사회경제적 변화를 부분적으로 파악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개설과 같은 도시의 물리적 공간변화에 따른 지가의 변화를 연구해 보았다. 방법론적으로는 도시공간구조를 종합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도입하여 도로망 형태와 지가와의 관계를 회귀분석으로 파악하고, 도로망 변화에 따른 지가변동을 시뮬레이션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도로망의 통합도가 공시지가와 가장 연관성이 높고, 통합도가 높을수록 공시지가가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사례지역에 임의로 도로를 개설하고 통합도를 재 산정한 후, 도로개설에 의한 주변의 지가변동을 예측해 보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도입한 연구방법이나 결과는 주민들의 관심이 높은 지가 변화를 수월하게 예측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시재생사업이나 도시개발사업 등과 같은 사업을 시행하기 전에 지가 변화를 미리 예측하여 주민들에게 제시함으로써 주민들의 이해와 참여를 확대하는 등 원활한 사업 추진과 관련 정책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