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Airport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127초

Wi-Fi 기반 모바일 디바이스 실내측위 DB를 활용한 라디오맵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stablishment on Radiomap that Utilizes the Mobile device Indoor Positioning DB based on Wi-Fi)

  • 정인훈;김종문;최윤수;김상봉;이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7-69
    • /
    • 2014
  • 우리나라의 인구밀도는 2013년 기준, $1km^2$당 505명으로 도시국가를 제외하면 세계에서 3번째로 매우 높으며, 도심인구집중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건축물의 대형화와 복합화 그리고 지하철 및 지하공간과의 연계화 경향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으로 국민생활의 안전과 복지 증진을 위해 실내공간정보 DB와 더불어 정확한 실내측위DB 구축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당역과 인천국제공항을 대상으로 모바일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실내 AP원시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성과의 확인 보완 분석과정을 거쳐 Wi-Fi AP 위치 DB 및 RadioMap DB를 구축하였다. 또한 구축된 DB의 측위 성능 평가를 위해 인천공항 A동 지상 3층에서 10개 사당역 A동 지하 1층에서 9개의 지점을 선정하여 추정위치를 산출하여 추정위치 대비 참위치와의 거리, 즉 측위오차를 활용해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 지점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가 인천공항은 평균 17.81m, 표준편차 17.79m, 사당역은 평균 22.64m, 표준편차 23.74m의 결과값을 얻을 수 있었다. 여기서 사당역의 경우 실외로 통하는 출입구에 인접한 지점은 가시 AP의 개수가 다른 지점 대비 크게 부족하여 측위성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해당지점을 제외한 데이터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보았을 때 구축된 DB를 활용한 측위 시 사용자의 위치가 근접한 지점으로 매핑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구축된 DB가 해당 지역의 Wi-Fi AP 위치 및 전파패턴 정보를 올바르게 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토대로 한 실내공간정보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항공기 소음 성가심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Variables on Aircraft Noise Annoyance Response)

  • 이기정;이건;장서일;손진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41-347
    • /
    • 2007
  • 본 연구는 국내 항공기 소음에 대한 성가심 반응을 정량화하는 연구에서 성가심 반응에 영향을 주는 변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향이 예상되는 변수를 설문조사 시 함께 질의하고, 그 결과를 통해 성가심 반응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성가심 반응에 영향이 예상되는 독립변수는 크게 소음/비소음 변수로 나누었다. 소음 변수로서 항공기 소음원의 소음도, 비소음 변수로서 연령, 학력, 성별, 직업, 주택형태, 거주기간에 대해서 일원분산분석을 하였다. 또한 대상지역의 민원 발생 여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합성토지피복자료와 고해상도 중규모 모형을 이용한 시화호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주변 기상장 변화 연구 (A Study on Changes in Local Meteorological Fields due to a Change in Land Use in the Lake Shihwa Region Using Synthetic Land Cover Data and High-Resolution Mesoscale Model)

  • 박선기;김지희
    • 대기
    • /
    • 제21권4호
    • /
    • pp.405-414
    • /
    • 2011
  •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a change in land use on the local weather fields is investigated around the Lake Shihwa area using synthetic land cover data and a high-resolution mesoscale model -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The default land cover data generally used in the WRF is based on the land use category of th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 which erroneously presents most land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as savannas. To revise such a fault, a multi-temporal land cover data,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was employed to generate a land cover map of 2005 subject to the land use in Korea at that time. A new land cover map of 1989,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Lake Shihwa, was made based on the 2005 map and the Landsat 4-5 TM satellite images of two years. Over the areas where the land use had been changed (e.g., from sea to wetlands, towns, etc.) due to the Lake Shihwa development project, the skin temperature decreased by up to $8^{\circ}C$ in the winter case while increased by as much as $14^{\circ}C$ in the summer case. Changes in the water vapor mixing ratio were mostly affected by advection and topography in both seasons, with considerable increase in the summer case due to continuous sea breeze. Local decrease in water vapor occurred over high land use change areas and/or over downstream of such areas where alteration in wind fields were induced by changes in skin temperature and surface roughness at the areas of land use changes. The albedo increased by about 0.1% in the regions where sea was converted into wetland. In the regions where urban areas were developed, such as Songdo New Town an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he albedo increased by up to 0.16%.

면세점의 브랜드파워 구축 방안과 아이덴티티디자인 개발 - 서울 삼성동의 SKM 면세점을 중심으로 - (Plan for Building a Brand Power of Dutyfree Shop and Identity Design Development - Focused on the SKM Dutyfree Shop at Samsung-dong, Seoul -)

  • 이경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6호
    • /
    • pp.15-20
    • /
    • 2006
  • SKM 면세점은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하여 훌륭한 지리적 조건과 유리한 주변환경, 넓은 매장 등 여러가지 장점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그림 2]의 'SKM Dutyfree' 구 심볼은 낮은 브랜드 인지도와 위치정보의 비효율적 전달이 가장 큰 문제로 드러났다. 이에 첫째, 면세점브랜드 'SKM Dutyfree'를 상대적으로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COEX'의 사용허가를 취득하여 'COEX Dutyfree'로 브랜드 네임을 변경하였으며 둘째, 도시적 이미지와 위치정보의 효율적 전달을 위한 시각적 이미지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컨셉은 첫째, 기존 COEX의 이미지와 도시 구조물 이미지 전달. 둘째, 코엑스몰 호텔 백화점 전시장 공항터미널 등을 아우르는 국제적이고 도시적인 이미지와 위치정보의 조합. 셋째, 타 면세점 보다 젊고 다이나믹한 이미지 전달을 목표로 하여 [그림 1]의 새로운 아이덴티티디자인으로 개발되었다.

  • PDF

수도권 공용 헬기장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A Efficient Strategy Option to Develop Public Heliport in the Metropolitan Area)

  • 이영종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98-102
    • /
    • 2015
  • 본 논문은 수도권 공용 잠실헬기장에 대한 효율적 활용 운영관리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우선 잠실 헬기장에 대한 일반 운영 및 시설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 하였다. 그리고, 잠실 헬기장과 같은 도심형 해외 헬기장 사례로 뉴욕과 텍사스(미국), 런던(영국) 에 대하여 예를 제시하여 잠실 헬기장과 비교 분석 하였다. 운영, 시설 설치 및 관리에 대하여 본 연구는 비행장 운영주체에 기준을 두어 그 대안을 제시하여, 그 주체로 하여금 운영시설, 기반 시설 물론이며, 안전시설까지도 보강하는 기준 방안을 제시한다. 위치특성상 다른 국가와 달리 잠실헬기장은 인근에 군 공항 시설이 공존하고 있어 이에 대한 운영 관계와 비행로 안전 측면에 연구에서 제외했다.

도심지 터널 용출수 발생구간에서의 수리 역해석 및 수리-역학 연계해석을 통한 안정성 해석 연구 (A study on hydraulic back analysis for an urban tunnel site and stability analysis based on hydro-mechanical coupling analysis)

  • 박인준;송명규;신휴성;박용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397-404
    • /
    • 2008
  • 본 연구는 인천국제공항철도 신설 공사구간 중 서울지하철 2호선 하부에서 TRcM 공법으로 통과하는 구간의 수리 및 굴착 안정성에 대해 검토한 내용이다. 본 검토 대상 구간에서는 터널 굴착과정에서 하루 최대 86.4 ton의 예상치 못한 과다 용출수가 발생하였으며, 과다 용출수의 발생에 대한 원인 분석을 위해 관측정에서 계측된 지하수위 저하거동과 가장 적합한 수리해석 파라미터를 찾기 위한 수리 역해석을 실시하였다. 본 수리 역해석에서는 TRcM 구간에 접한 홍익대학교 정거장 굴착시의 측정된 자료중 TRcM 구간 굴착전까지의 지하수위 계측결과를 사용하였다. 암종별 수리전도계수와 서울지하철 2호선의 배수경계조건, 과업구간의 강우강도 등을 변화시켜가며 수리 역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계측된 자료와 유사한 최종 지하수위 및 지하수위 저하 경향을 보이는 수리해석 조건을 얻을 수 있었다. 다음, 지반의 굴착에 의한 역학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지하수를 고려하지 않은 역학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순수 역학적 해석 결과, 지표침하 0.85 mm, TRcM 구간 천단침하 1.32 mm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합거동 해석결과 지표침하 1.2 mm, TRcM 구간 최대 천단침하 1.72 mm으로 나타나 지하수위 저하에 의해 추가 변위가 발생하나 침하량이 크지 않아 안정성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지방자치단체·LH 협력사업 도출을 통한 거버넌스 구축방안 : 제주특별자치도를 대상으로 (Establishment of governance through development of LH cooperation project with local government: Focusing on Jeju Area)

  • 이미홍;성장환;송영일
    • 토지주택연구
    • /
    • 제8권4호
    • /
    • pp.285-294
    • /
    • 2017
  • Recently, as the paradigm of regional development has been transformed into characterization, decentralization and cooperation, small and medium scale development is in the spotlight. In particular, as the transfer of planning authority to local governments accelerates, LH is in the process of seeking to transform itself into a system that is in line with local government dem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aborate the regional pending projects that meet the demand of the region.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s the area where land and housing prices have increased more than three times recently, which is the area of interest in recent years due to the various demand for development projects. Another objective is to establish a local government based on LH's system, it is aimed to derive a collaboration method with local government, province corporation and local researchers. The criteria for deriving the cooperation projects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LH are basically the ones that can be carried out by LH and future-oriented projects. The process of deriving has undergone the process of statutory planning, unscrupulous plan analysis, and consultation of experts' advisory committees. In order to derive the regional cooperation project, four criteria such as local uniqueness, future possibility, business promotion efficiency, and local cooperation project were set. Major projects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re improvement of the surrounding traffic system, construction of the hinterland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second airport, and establishment of Cruise Port(Jeju Port, Seogwipo Port). The role of each entity in the implementation of regional cooperation projects is as follows. Local government should request subsidies for the projects in case of lack of budget support and secure them through competition with other regions. In addition, it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facility once it has been supported and completed smoothl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ffects each region through approval and subsidy of the development plan. After the development project is completed, it evaluates the development project through monitoring and plays a role of continuously improving the system. As a business operator, the provincial corporation will carry out small-scale projects including non-physical projects such as community participation. In the case of LH regional headquarters, the general manager of the region will establish a comprehensive business plan, secure development availability, and carry out large-scale growth promotion projects.

인공잡음 제거를 위한 기준점 이용 탄성파 측정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Seismic Measurement System with a reference for the Reduction of Artificial Noise)

  • 황학수;이태섭;성낙훈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권4호
    • /
    • pp.180-183
    • /
    • 1999
  • 도시화된 인구밀접지역과 인공잡음(예, 소음, 진동, 전력선 등)이 매우 심한 환경에서 양질의 탄성파 자료를 획득하기 위하여 기준점을 이용한 실험적 수준의 탄성파 측정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소음과 전자파 잡음에 대한 상관측정(소음에 대한 상관측정의 센서는 마이크와 수진기 사용, 전자파에 대한 상관측정의 센서는 EM루프와 수진기 사용)을 각각 김포공항과 전라북도 김제시에서 수행하였으며, 또한 각 잡음의 측정 시계열에 대해 스펙트림 분석도 실시하였다. 소음에 의한 두 센서(마이크와 수진기)반응은 높은 상관성을 갖고 있으나, 두 센서 반응의 가장 큰 차이는 200Hz를 기준으로 저주파수 그리고 고주파수대역에서 일어나고 있다. 200Hz 이하의 주파수대역에서는 수진기를 통하여 측정한 잡음의 스펙트럴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크고(예, 10Hz와 100Hz에서 각각 20dB 이상 큼) 200Hz 이상의 상대적인 고주파수에서는 마이크를 통하여 측정된 잡음의 수준이 높다(예, 500Hz에서 30dB 이상). 전체적으로 수진기를 통하여 측정된 잡음의 스팩트럴 파워는 주로 600Hz 이하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에 마이크에 측정된 잡음의 파워는 주로 200Hz이상에서 분포하고 있다. 전력선 잡음을 가정하여 교류직류 인버터에서 발생한 전자파잡음에 대한 EM루프와 수진기를 통하여 측정한 전자파잡음은 각 센서에서 그 파형이 매우 일정하며, 또한 서로 간에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EM루프에 측정된 전자파잡음의 경우 60Hz에 대한 기수 조화주파수가 우수 조화주파수에 비하여 그 스펙트럴 에너지가 매우 크지만, 수진기의 경우는 그 차이가 거의 없었다.

  • PDF

세계화 시대의 국제물류 연구동향과 과제 (Review and Prospects on International Physical Distribution Studies of Geography in the Globtlization Era)

  • 한주성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7-74
    • /
    • 1998
  • 국제물류를 국제무역의 물적유통과 국제 화물유동으로 정의하고 방법론상의 변화를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과제를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국제물류에 관한 연구방법의 개발로 물류를 단지 수송의 현상으로써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과 소비를 결합하고 정보류를 포함한 종합적 로지스틱으로써 이해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국제물류 유동의 모델화에 관한 연구는 장차 도시를 포함한 지역간의 관계를 주목하는 미시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글로벌 경제로 국가뿐만 아니라 다국적 기업도 무역의 주체로 등장하기 때문에 문화적.행동론적 요소를 가미한 입지론과 경제지리학은 새로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국제물류를 배경으로 한 항만과 그 후배지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기업의 의사결정 행동으로서 항만의 이용을 야기시키는 요인까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넷째, 석유파동 이후 輕薄短小 화물, 유연적 전문화로 인한 다품종 소량 생산체제와 자유무역주의의 등장과, 신선도를 요하는 식료품이나 화훼 등의 고속수송의 필요성으로 항공 화물수송이 중요시되고 있기 때문에 국제공항을 중심으로 화물의 후배지와 지향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PDF

드론의 안전 비행을 위한 윈드라이다 저고도 바람 분석 방법 제시 (Analysis of Low Altitude Wind Profile Data from Wind Lidar for Drone Aviation Safety)

  • 김제원;류정희;나성준;성성철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50권12호
    • /
    • pp.899-907
    • /
    • 2022
  • 초경량 비행장치인 드론의 최대 허용 비행 고도는 지상 150m로 이는 난류의 영향을 받아 바람의 변동성이 강한 대기경계층 내에 존재한다. 또한 대기경계층 내에서의 바람 변동성은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다른 특성을 가지므로 드론 관련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서는 비행 지역에서의 각 고도의 바람 특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국제공항 인근에 위치한 항공기상관측장비 테스트베드에서 윈드라이다(WindMast 350M)를 사용하여 2022년 7월과 9월에 바람의 연직 구조 관측을 수행하였고, 이러한 관측된 바람 자료를 활용하여 드론의 안전비행을 위한 정보를 생산하는 분석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윈드라이다를 통해 수집된 바람 자료에 푸리에 변환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수평 풍속의 시간 규모 특징을 각 고도별로 살펴보았다. 또한 강수와 무강수 사례의 바람장의 스펙트럼으로부터 드론 비행에 중요한 바람의 시간 규모인 1시간 이하 규모의 수평 풍속의 분산을 분리하여 전체 규모에 대한 1시간 이하 규모의 기여도를 각 고도별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