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per Extremity's Function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1초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대한 경두개 직류자극술 효과 :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ivenes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tDCS)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원경아;양민아;박혜연;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1호
    • /
    • pp.7-23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에 대한 경두개 직류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의 효과를 살펴본 연구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 2009년부터 2018년 현재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NDSL과 RISS를 통해 검색하였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통해 총 14개의 실험연구 논문이 선정되었다. 이를 PEDro 척도를 사용하여 질적 평가를 시행하고, 이 중 12개 논문에 대해서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 고찰한 문헌 14편은 모두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문헌들이었다.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효과 크기는 상지 근력 0.19로 '작은 효과크기', 상지 움직임 0.49로 '보통 효과크기'를 보였다. 상지 움직임의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또한 양극(anode) 모드는 '큰 효과크기'를. 음극(cathode) 모드는 '보통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양극 모드의 효과크기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상지기능이 제한된 뇌졸중 환자에게 tDCS는 유용한 재활 기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국내 임상가들에게 뇌졸중 환자를 위한 새로운 재활 기법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효과적인 중재를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뇌졸중 환자의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훈련 효과: 예비연구 (Effects of Occupation-Base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for Chronic Stroke: Pilot Study)

  • 김선호;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2호
    • /
    • pp.47-58
    • /
    • 2017
  • 목적: 뇌졸중 환자에게 의미 있는 작업을 기반으로 한 양측성 상지 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연구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를 가진 환자 4명을 대상으로 실험군(2명)과 대조군(2명)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2016년 5월부터 8월까지 진행하였으며, 대상자 당 총 5주간, 주 3회, 회기 당 60분의 작업기반 양측성상지훈련 중재와 전통적 양측성 상지 훈련을 각 각 실시하였다. 중재 전 후로 EMG, 가속도계, ARAT, Y-BAT, SIS, COPM를 실시하여 각 군간 비교 하였다.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노쪽 손목폄근과 앞 어깨 세모근의 근 활성도, SIS에서 손 기능(Hand function), 기억력(Memory)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중재 전 후 큰 변화량을 나타냈으며, 양손의 사용량을 측정한 가속도계와 COPM, Y-BIT, ARAT평가의 잡기(grasp), 집기(pinch), 대동작 (gross movement)항목에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중재 전 후 큰 변화량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이 신경학적 변화를 통한 상지기능 회복 및 사회참여 등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 프로토콜의 내용에 대해 높은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개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이를 토대로 많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대조군 실험 연구를 통한 효과 검증과 효과지속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상지에 발생한 악성 및 침윤성 양성골종양에 대한 사지 구제술 (Limb Salvage in the Treatment of the Upper Extremity Bone Tumors)

  • 한수봉;신규호;김범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54-163
    • /
    • 1995
  • 1986년 3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 교실에서 상지에 발생한 악성 및 침윤성 양성 골종양에 대하여 사지구제술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13명의 상지에 발생한 악성 및 침윤성 양성골종양 환자에 대해 사지 구제술을 시술 하였다. 2. 사지 구제 술의 내용은 8 례가 Tikhoff -Linberg 수술, 2 례가 분절절제 및 재접합술, 2 례가 종양삽입물 치환술 그리고 1 례가 분절절제술 및 유리혈관부착 생비골이식술이었다. 3. 13 례중 3 례가 골육종, 4 례가 연골육종, 3 례가 거대세포종, 1 례가 병적 골절을 동반한 유잉육종, 1 례가 연골아세포종, 1 례가 전완부 건 및 근육과 원위요골 및 척골을 동시에 침범한 평활근 육종이었다. 4. 추시기간은 술수 1년에서부터 7년 5개월로 평균 4년 5개월이었다. 5. 총 13명의 환자 중 1 례의 상완골에 발생한 병적 골절을 동반한 유잉 육종의 환자에서 국소재발 및 다발성 골전이가 나타나 수술 후 4년 4개월만에 사망하였고 나머지 12 례의 환자는 국소재발이나 원격전이의 소견은 없었다. 6. 상지에 발생한 악성 및 침윤성 양성 골종양의 치료로 여러방법의 사지구제술은 병의 치료 면이나 기능적인 면에서 만족스런 결과를 가져왔다.

  • PDF

성상신경절 차단후 총경동맥, 액와동맥, 상완동맥, 요골동맥의 혈류속도변화 (Flow Velocity Changes of Carotid, Axillary, Brachial and Radial Artery after Stellate Ganglion Block)

  • 서영선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8권1호
    • /
    • pp.55-59
    • /
    • 1995
  • Stellate ganglion block (SGB) is applicated frequently to increase the blood flow and to reduce the pain in head, neck and upper extremity. The effects of SGB are able to be estimated by clinical signs and symptoms of Horner's syndrome, skin warmth, anhydrosis, etc. The effects are also estimated by sympathetic function and the blood flow. Blood flow velocities and pulsatility indices of common carotid,d axillary, brachial and radial artery were measured by Doppler flowmeter after SGB with 1% lidocaine at C6 level. Blood velocities of all arteries were increased and pulsatility indices of all arteries were decreased. This results suggest that SGB increase the blood flow of head and upper extremity and Doppler flowmeter is a good indicator of the effects of SGB.

  • PDF

수근관증후군 뇌졸중 환자에서 경직정도에 따른 정중신경 단면적과 신경전도속도 및 상지기능의 비교 (Carpal Tunnel Syndrome in Stroke Patien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pasticity in Median Nerve Cross-Sectional Area and Nerve Conduction Velocity and Comparison of Upper Extremity Function)

  • 김태곤;정대인;김경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288-29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수근관증후군 뇌졸중 환자에서 경직정도에 따른 정중신경 단면적, 신경전도속도 및 상지기능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성인 뇌졸중 환자 42명에서 CTS군 21명과 Non-CTS군 21명으로 선정하였다. 측정방법으로는 정중신경 단면적, 신경전도속도, GST, FMAS, CTS-FSS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CTS군과 Non-CTS군 간 각 등급에서 정상측(p<.001)과 마비측(p<.001)의 정중신경 단면적, 정중 운동신경과 감각신경 기시잠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CTS군과 Non-CTS군 간 각 등급에서 GST(p<.05), FMAS(p<.05), CTS-FSS(p<.001)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수근관에 대한 병리역학적 내용을 제시함으로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훈련 시 고려해야할 내용 중 하나임을 제시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견관절 통증과 운동 기능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The Shoulder Pain after Stroke and the relationship with Motor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 이동진;안승헌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57-266
    • /
    • 2011
  • Purpose :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stroke shoulder pain, motor function, and pain-related quality of life(QOL) Methods : Volunteer sample of 62 chronic stroke survivors with post-stroke shoulder pain and glenohumeral subluxation. The patients answered the question in shoulder pain with the Brief Pain Inventory question 12 (BP1-12), Pain-related Quality of life(BPI-23). Therapists measured the performance of combined upper-limb movement including the hand-behind-neck(HBN), hand-behind-beck(HBB) maneuver, added passive pain-free shoulder external rotation range of motion, and Modified Ashworth Scale(MAS) score of the elbow flexors. Physical performance assessments were used to measure basic activity daily living(Modified Barthel Index-self care, MBI-S/C), motor function of upper limb(Fugl-Meyer Upper/Lower Extremity, FM-U/E). Results :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post-stroke shoulder pain is associated with the BPI 23, but not with the FM-U/E, MBI-S/C. Thus, the presence of shoulder pain is more important predicting pain-related QOL than its degree in predicting motor function of upper limb and basic activity daily living. Conclusion : Post-stroke shoulder pain was associated with reduced quality of life related to pain. The pain was not associated with the motor function of upper limb and basic activity daily living. The result imply that management of shoulder pain & anatomical position of shoulder joint after stroke should be emphasized. This provides a further incentive to develop effective rehabilita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strategies for post-stroke shoulder pain.

림프부종에 의한 신경포착증후군: 증례 보고 (A Case Report of Nerve Entrapment Syndrome with Lymphedema)

  • 김홍렬;안덕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95-98
    • /
    • 2010
  • Purpose: One of the most common cause of upper extremity lymphedema is breast cancer surgery. We experienced the nerve entrapment syndrome which was associated with postmastectomy lymphedema.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 of lymphedema induced nerve entrapment syndrome on upper extremity in Korea. Methods: A 54-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 tingling sensation on her right hand, which had been present for 1 year. On her history, she had a postmastectomy lymphedema on her right upper extremity for 20 years. Initial electromyography (EMG) showed that the ampulitude of the median, ulnar, and dorsal ulnar cutaneous nerve were decreased, and conduction block was also seen in median nerve across the wrist. In needle EMG, incomplete interference patterns were observed in the muscles innervated by median and ulnar nerves. In conclusion, electrophysiologic study and clinical findings suggested right median and ulnar neuropathy below the elbow. Therefore, we performed surgical procedures, which were release of carpal tunnel, Guyon's canal, and cubital tunnel. Results: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until the first two years. The tingling sensation and claw hand deformity were improved, however, the motor function decreased progressively. In 7 years after the operation, patient could not flex her wrist and thumb sufficiently. EMG which was performed recently showed that ulnar motor response was of low ampulitude. Moreover, median, ulnar, dorsal ulnar cutaneous, lateral antecubital cutaneous and median antebrachial cutaneous sensory response were unobtainable. Abnormal spontaneous activities were observed in upper arm muscles. In conclusion, multiple neuropathies were eventually developed at above elbow level. Conclusion: On treating nerve entrapments associated with lymphedema, medical professionals should be fully aware of the possibility of unpredictable results after the surgery, because of the pathophysiologic traits of chronic lymphedema.

Jeonbuk Tri-Pull Taping과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어깨관절 가동범위, 통증, 아탈구, 팔 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Effect of Jeonbuk Tri-Pull Taping and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Exercise on Shoulder Active Range of Motion, Pain, Subluxati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Stroke -A Case Study-)

  • 김범룡;강태우
    • PNF and Movement
    • /
    • 제17권2호
    • /
    • pp.167-175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effect of Jeonbuk tri-pull taping and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exercise on the shoulder's active range of motion, pain, subluxati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In this study, Jeonbuk tri-pull taping and PNF exercise were applied to three patients with stroke and subluxation. The tape was removed and new tape applied for two days every Monday, Wednesday, and Friday over six consecutive weeks. PNF exercise was applied five times a week for six weeks. To measure the range of motion, a smart phone clinometer application was used, and the degree of pain was measured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VAS). A jig measuring method was employed to measure the distance of subluxation. The Fugl-Meyer Assessment (FMA) was used to evaluate arm function, and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sults: The shoulder's active range of motion was improved in the patients compared to the range of pre-tests, and the pain and subluxation distance were reduced compared to those of pre-tests. Arm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pre-tests.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verified that Jeonbuk tri-pull taping and PNF exercise are useful when applied to patients with subluxation and stroke.

진동자극 방식이 뇌병변 환자의 상지경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bration Stimulation Method on Upper Limbs Spasticity in Patients with Brain Lesion)

  • 배세현;김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109-3116
    • /
    • 2011
  • 본 연구는 뇌병변으로 상지경직이 관찰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자극방식에 따른 진동자극이 경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병변으로 인해 상지경직이 있는 21명의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실험군 I: 길항근(상완삼두근)자극, 실험군II: 주동근(상완이두근)자극, 실험군III: 동시(상완삼두근 및 상완이두근)자극에 각 7명씩을 배정하여 진동자극을 실시하였다. 척수운동신경원 흥분성을 알아보기 위해 Neuro-EMG_Micro를 이용한 F파를 자극전, 자극 직후, 자극 10분 후, 자극 20분 후에 측정하였고, 임상적 평가로는 MAS(Modified Ashworth Scale)와 MFT(Manual Function Test)를 자극 전, 자극 20분 후에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MAS는 세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고, F파 진폭 및 F/M비에서는 세군 모두에서 자극 직후에서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실험군III에서 시간 경과상 변화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MFT에서는 실험군II와 III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으며 특히, 실험군III에서 기능적 변화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직근에 대한 진동자극시 경직 주동근이나 길항근에 대한 단일 자극 방식보다는 동시자극 방식이 척수운동신경원의 흥분성 감소 및 상지 운동 기능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the 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in Stroke Patients)

  • 이종민
    • 재활치료과학
    • /
    • 제2권2호
    • /
    • pp.5-20
    • /
    • 2013
  • 강제유도 운동치료는 2주간 건측의 사용을 억제하기 위해 깨어 있는 시간의 90%를 제한하는 동시에 환측에 매일 6시간 이상 강도 높은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다. 하지만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임상 적용에 있어서 문제점을 보였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고안되었다.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의 적용이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어져 왔고, Motor Activity Log(MAL), Fugl-Meyer Assessment(FMA), Wolf Motor Function Test(WMFT), Action Research Arm Test(ARAT),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Stroke Impact Scale(SIS)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기능 향상에 대한 효과를 증명하였다.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치료 방법으로써 작업치료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