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saturated polyester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8초

MMA 개질 강화 플라스틱 복합관의 휨강성 (Flexural Rigidity of MMA-Modified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Composite Pipe)

  • 연규석;최종윤;백종만;권택정;정중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29-432
    • /
    • 2003
  • MMA-modified fiberglass-reinforced plastic composite pipe was produced by using the binder of MMA-modified unsaturated polyester resin in which low viscosity MMA was added to unsaturated polyester resin. Sixteen specimens were made of polymer mortar and fiberglass-reinforced plastic by the centrifugal method. For these specimens the external strength tests were carried out by taking the core thickness consisting of polymer mortar and the fiberglass content per unit area as experimental variables to figure out the effect of variations of these variables influencing on flexural rigidity that is an important property for the composite pipe. Results of this study are believ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more economical and practical design of MMA-modified fiberglass-reinforced plastic composite pipe.

  • PDF

저수축형 폴리머 콘크리트의 제조 및 물리.역학적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Low-shrinkage Polymer Concretes)

  • 황진하;연구석;이윤수;이기원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21-326
    • /
    • 2000
  • Many different polymer based concrete materials are known today, but the large setting or hardening shrinkage of polymer concrete is a problem to overcome in their practical applications. The setting shrinkage reaches about five to ren times he drying shrinkage ordinary cement concrete, i.e, 50 to $60\times10^{-4}$. This paper deals with a reduction in the hardening shrinkage of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ncrete which is treated with respect to shrinkage-reducing agent content, S/a ratio and catalyst content, and tested for length change during hardening, and flexural and compressive strength. It is show that the change of shrinkage-reducing agent content and S/a ratio affected the length change of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ncrete during hardening.

  • PDF

폐PET를 재활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Characteristic of Polymer Concrete Using Recycled PET Waste)

  • 조병완;구자갑;박승국;나선권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40-845
    • /
    • 2003
  • Polymer concrete (PC) using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based on recycl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lastic waste were used in our study for grasping its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compressive strength,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etc. by changing its quantity of resin, filler and dilution(SM) respectively. As a result of it, compressive, tensile and flexural strength of PC indicated 752kgf/$cm^2$, 80kgf/$cm^2$, and 243kgf/$cm^2$, kind of satisfaction successively. Judging from the above results, polymer concrete (PC) using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as a coupling are suitable for construction material both in the aspect of ECO-building materials and in the aspect of superior strength of PC so that it is good possibility of success as a product.

  • PDF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의 성능 향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Performance in Elevation of Porous Polymer Concrete)

  • 최규형;노병철;주명기;이복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953-95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불포화폴리에스터 수지(U.P.)를 이용한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투수성 및 강도 특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그 결과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의 공극률 및 투수계수는 폴리머 결합재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폴리머 결합재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투수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 PDF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Graphene Based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es

  • Swain, Sarojini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14권2호
    • /
    • pp.53-58
    • /
    • 2013
  • Graphene-based polymer nanocomposites are very promising candidates for new high-performance materials that offer improved mechanical, barrier,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Herein, an approach is presented to improve the mechanical,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unsaturated polyester resin (UPR) by using graphene nano sheets (GNS). The extent of dispersion of GNS into the polymer matrix was also observed by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which indicated homogeneous dispersion of GNS through the UPR matrix and strong interfacial adhesion between the GNS and UPR matrix were achieved in the UPR composite, which enhanced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 tensile strength of the nanocomposites improved at a tune of 52% at a GNS concentration of 0.05%. Again the flexural strength also increased around 92% at a GNS concentration of 0.05%. Similarly the thermal properties and the electrical properties for the nanocomposites were also improved as evidenced from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emetry (DSC) and dielectric strength measurement.

철도차량 내장재료용 페놀수지의 내열특성 (Fire Characteristics of Phenolic Resin for Interial Materials of Passenger Train)

  • 이철규;이덕희;정우성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29-34
    • /
    • 2004
  • 철도차량의 내장재료로 사용되는 페놀수지의 laminate Panel과 sandwich panel의 화재특성을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착화시간, 열방출율과 일산화탄소방출량을 비교, 조사하였다. 또한 기존 철도차량용 내장재료로 사용된 불포화 폴리에스터와 페놀수지와의 화재특성을 비교하였다. 페놀수지의 중량감소 및 열분해능을 DSC & TG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콘칼로미터 실험결과 착화시간, 열방출율 및 일산화탄소 생성량은 50kW 복사조건에서 더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동일한 복사열소건 하에서는 sandwich-페놀수지가 laminate-페놀수지보다 더 빨리 착화되었다. 기존 철도차량에 적용되었던 불포화 폴리에스터와 페놀수지와의 비교시험 결과 페놀수치의 화재성능이 발열량 및 일산화탄소 방출 모두에서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불포화 폴리에스터/비닐에스터 블렌드의 경화 거동, 열안정성 및 굴곡 특성 (Cure Behavior, Thermal Stability and Flexural Properties of Unsaturated Polyester/Vinyl Ester Blends)

  • 이종문;조동환
    • 폴리머
    • /
    • 제27권2호
    • /
    • pp.120-128
    • /
    • 2003
  • 불포화 폴리에스터(UPE), 비닐에스터(VE) 및 그 블렌드의 경화 거동에 미치는 촉매 반응촉진제 그리고 블렌드 조성의 영향을 시차주사열량(DSC) 분석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이들 수지의 DSC 열분석도는 각 변수에 크게 의존하였다. 115$^{\circ}C$에서 나타나는 작은 발열 피크는 주로 UPE/VE 블렌드를 구성하고 있는 UPE 성분에 의한 것이며, 134~138$^{\circ}C$ 사이에서 나타나는 큰 피크는 주로 VE 성분에 기인한 것이다. 또한 각 블렌드를 고온 18$0^{\circ}C$와 수십초의 빠른 경화 조건에 노출시킨 후 측정한 DSC 열분석도 결과는 고속에서 블렌드의 열성형 공정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준다. UPE에 대한 이전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수지 흐름시간의 측정 결과는 UPE/VE 블렌드에서도 세 영역치 경화 단계가 존재하고 있음을 제시해주었다. 즉, 유도단계, 전이단계, 거대 젤 형성단계, 경화된 UPE의 열안정성과 굴곡 특성은 UPE에 VE측 블렌딩함으로써 조성비에 따라 두드러지게 향상되었다.

글리콜 몰비가 다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화거동 및 점탄성 (Curing Behaviors and Viscoelastic of UPE Resins with Different Glycol Molar Ratios)

  • 이상효;박영훈;안승국;이장우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15-2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글리콜 몰비에 따른 경화거동을 실험하였다. 경화과정은 Tanaka 강체진자(rigid-body pendulum)형 점탄성 모델과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법을 이용하였다. 강체진자의 회전축부에 수지막을 형성하여 자유진동을 시키면 수지막의 점탄성 변화에 응답하여 pendulum의 진동주기 T 및 대수 감쇄율 ${\Delta}$가 변화한다. Pendulum의 회전축부에 있어서의 수지막의 역학적인 응답을 pendulum의 진동 운동으로 취급하고 T 및 ${\Delta}$를 이용, 수지막의 dynamic modulus(E') 및 modulus loss(E')을 구하는 계산식을 만들었다. 이 측정법과 계산식을 이용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화과정에 있어서의 점탄성 변화를 추적하여 수지막의 경화성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Neopentyl glycol(NPG)의 몰비가 증가할수록 진동주기의 감소폭 기울기에 의한 경화반응속도가 느리고, damping 값에 의한 점도값의 상승속도가 감소하는 경화거동을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