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recorded Genus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9초

First Record of the Family Curtonotidae (Diptera: Ephydroidea) from Korea with One Unrecorded Species

  • Dongmin Kim;Young-Kun Kim;Sang Jae Suh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40권1호
    • /
    • pp.16-20
    • /
    • 2024
  • The family Curtonotidae, known as the Hunchbacked or Quasimodo fly, is a small group of acalyptrate flies belonging to the superfamily Ephydroidea. Until now, a total of 103 species under four genera have been recorded worldwide, mainly distributed in tropical and subtropical areas. Among them, only five species of the genus Curtonotum Macquart, 1843 have been recorded in the Palaearctic region, mainly in the Russian Far East, but there are still no previous reports in the Korean fanua. In this study, we firstly report the family Curtonotidae Duda, 1934 from Korea with Curtonotum maritimum Ozerov, 2007. Additionally, we provide taxonomic information and a key for the Palaearctic Curtonotum species.

New Record of Two Nolandia Species (Protozoa: Ciliophora: Colepidae) from South Korea

  • Je-Woong Yoon;Ji Hye Moon;Jae-Ho J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40권4호
    • /
    • pp.314-322
    • /
    • 2024
  • Two unrecorded ciliates from Korea, Nolandia nolandi (Kahl, 1930) Small and Lynn, 1985 and Nolandia sinica Chen et al., 2012, were collected from freshwater and brackish environments, respectively. Their morphology was examined based on the observation of living cells, protargol-impregnate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pecimens. The phylogenetic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18S rRNA gene sequence obtained from a single cell of each species. The Korean population of N. nolandi is characterized by a size of 35-50×15-26 ㎛ in vivo, elliptical body, 13 or 14 somatic ciliary rows with 10-12 transverse circles and single caudal cilium. Nolandia sinica is characterized by a size of 50-65×15-25 ㎛ in vivo, elliptical body, 16-19 ciliary rows with 13 or 14 transverse circles and single caudal cilium. In the phylogenetic analyses, the genus Nolandia showed non-monophyly.

한국산 투라치과(Lampridiformes: Trachipteridae)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the Family Trachipteridae (Lampridiformes) from Korea)

  • 지환성;윤상철;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3-282
    • /
    • 2009
  • 본 연구는 2006년 6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우리나라 동해, 남해 및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투라치, Trachipterus ishikawae (Jordan and Snyder, 1901) 7개체, 홍투라치, Zu cristatus (Bonelli, 1820) 4개체 및 1미기록종인 Desmodema polystictum (Ogilby, 1897) 2개체의 형태형질을 조사하여 한국산 투라치과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를 실시하였다. 한국 미기록종인 D. polystictum는 배쪽 가장자리가 매끄럽고, 체측에 어두운 수십개의 둥근 반문이 산재하는 특징을 보여, 새로운 한국명으로 "점투라치"를 제안한다. 홍투라치는 제1~제6 등지느러미 연조 및 배지느러미 연조가 길게 신장된 특징을 나타내었다. 투라치는 배쪽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돌기가 나 있으며, 체형은 가늘고 긴 일직선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계수형질에서는 등지느러미 연조수가 투라치(178~195개), 홍투라치(137~148개), 점투라치(125~130개) 순으로 많았고, 척추골수는 투라치(80~83개), 점투라치(72~74개), 홍투라치(64~68개) 순으로 많아 잘 구분되었다.

한국산 꽃구름버섯속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n Korean Stereum)

  • 임영운;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49-353
    • /
    • 1999
  • 현재까지 국내에 보고된 꽃구름버섯은 도합 5종으로서 그중 4종은 흰테꽃구름버섯(Stereum gausapatum), 꽃구름버섯(S. hirsutum), 갈색꽃구름버섯(S. ostrea), 및 배착꽃구름버섯(S. ochraceo-flavum)이며, 나머지 1종은 거북꽃구름 버섯속에 속하는 너털거북꽃구름버섯(Xylobolus spectabile)으로서 낭상체의 형태적 특징에 의하여 거북꽃구름버섯속(Xylobolus)에 속하여 왔으나, Boidin과 Chamuris는 배양학적 특징에 의하여 후자를 꽃구름버섯속(Stereum)으로 분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너털거북꽃구름버섯"(X. spectabile)을 꽃구름버섯속에 재분류하여 분류체계를 개선하고 우리말 이름을 "너털꽃구름버섯"(S. spectabile)으로 개칭하는 바이다. 또한 서울대학교 표본실(Seoul National University Fungal Collection, SFC)에 보관되어 있는 꽃구름버섯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종의 꽃구름버섯종들이 미기록종으로 동정되었으며, 이들 미기록종은 Stereum subtomentosum(갈색털꽃구름버섯, 신칭), S. peculiare(껍질 꽃구름버섯, 신칭), S. sanguinolentum(유혈꽃구름버섯, 신칭), S. striatum(줄무늬꽃구름버섯, 신칭), 및 S. complicatum(복합꽃구름버섯, 신칭)이었다. 이로서 한국산 꽃구름버섯 종들은 도합 10종에 이르며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꽃구름 버섯의 동정을 위하여 새로운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 PDF

쉬땅나무속(장미과-조팝나무아과)의 미기록 식물: 좀쉬땅나무 (First record of Sorbaria kirilowii (Rosaceae-Spiraeoideae) from Korea)

  • 송준호;장진성;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74-178
    • /
    • 2010
  • 경기도 포천시 내천면과 여주군 북내면에서 발견된 우리나라 장미과 내의 미기록 종인 Sorbaria kirilowii (Regel & Tiling) Maxim.을 확인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 종은 근연분류군인 쉬땅나무(Sorbaria sorbifolia (L.) A. Braun var. stellipila Maxim.)에 비해서 잎과 화경에 털이 없고, 원추화서는 넓게 퍼져 아래로 처지며, 꽃은 5-8mm로 작고, 꽃받침은 반원형, 둔두이며, 수술의 수가 적고, 비교적 짧으며, 골돌은 작고 털이 없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국명은 꽃과 열매의 크기가 쉬땅나무에 비해 작은 특징을 고려하여 '좀쉬땅나무'로 명명하였다.

한반도 미기록 식물: 애기개올미(사초과) (The First Record of Scleria caricina (R. Br.) Benth. (Cyperaceae) in Korea)

  • 장창석;이유미;박수현;김종환;조양훈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79-182
    • /
    • 2010
  • 전남 신안군에서 발견된 너도고랭이속(사초과)의 1분류군을 한반도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동남아시아 및 중국, 일본, 호주 북부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기존에 보고된 한국산 너도고랭이속의 다른 분류군과는 화서가 밀집되고, 암꽃 인편은 끝이 3갈래로 갈라지며, 수과는 항상 2개의 인편과 함께 탈락되므로 뚜렷이 구분된다. 국명은 식물체가 소형인 특징을 감안하여 '애기개올미'로 부여하였으며, 형태학적 형질을 근거로 분류군에 대한 기재를 하였고, 주요 형질에 대한 도해도와 한국산 너도고랭이속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반들산쇠고비(관중과): 미기록 양치식물 (Cyrtomium yamamotoi Tagawa (Dryopteridaceae), a New Addition to Fern Flora of the Republic of Korea)

  • 선은미;김혜원;이강협;이성권;손동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59-564
    • /
    • 2019
  • 반들산쇠고비(Cyrtomium yamamotoi Tagawa)는 관중과 쇠고비속(Cyrtomium Presl)에 속하는 미기록 양치식물이다. 지금까지 타이완, 중국, 일본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2018년 제주도 제주시와 전라남도 해남군에서도 자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종은 근연분류군인 쇠고비(C. fortunei J.Sm.)와 1회 우상복엽이고, 구형의 포막을 가지는 특징 등으로 매우 유사하지만, 반들산쇠고비는 피침평 또는 피침상 난형의 우편이 12쌍 이하이고, 포막의 중앙부는 암갈색 또는 흑색을 띠며,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는 특징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반들산쇠고비의 상세한 형태학적 기재와 한국산 쇠고비속의 명확한 동정을 위한 주요 형태 형질 사진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Two Unrecorded Apiospora Species Isolated from Marine Substrates in Korea with Eight New Combinations (A. piptatheri and A. rasikravindrae)

  • Kwon, Sun Lul;Cho, Minseo;Lee, Young Min;Kim, Changmu;Lee, Soo Min;Ahn, Byoung Jun;Lee, Hanbyul;Kim, Jae-Jin
    • Mycobiology
    • /
    • 제50권1호
    • /
    • pp.46-54
    • /
    • 2022
  • Although Apiospora Sacc. has previously been considered a sexual morph of Arthrinium species on the basis of phylogenetic,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diagnoses, a recent study delimited these as different species. Recently, 14 species, including eight new species, of marine Arthrinium have been reported from Korea. Six known species have previously been renamed as species in the genus Apiospora (A. arundinis, A. marii, A. piptatheri, A. rasikravindrae, A. sacchari, and A. saccharicola). However, the eight new species of marine Arthrinium (Ar. agari, Ar. arctoscopi, Ar. fermenti, Ar. koreanum, Ar. marinum, Ar. pusillispermum, Ar. sargassi, and Ar. taeanense) are yet to be studied, and thus the taxonomic status of these species remains to be clarified. In this study, we conducted phylogenetic analyses us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28S large subunit ribosomal RNA gene,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and beta-tubulin regions to confirm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these eight species. Based on these analyses, we re-identified the eight Arthrinium species as new combinations in Apiospora. Additionally, among the six known Apiospora species, two (A. piptatheri and A. rasikravindrae) have not previously been recorded in Korea.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we report these as new species in Korea. Herein, we present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detailing the morphologies of these species, along with phylogenetic trees and detailed descriptions.

A report on 29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solated from the Nakdonggang River, Republic of Korea

  • Ahyoung Choi;Ja Young Cho;Soo-Yeong Lee;Ji Young Jung;Kiwoon Baek;Seoni Hwang;Eui-Jin Kim;Jaeduk Goh
    • 환경생물
    • /
    • 제42권2호
    • /
    • pp.143-157
    • /
    • 2024
  • As part of the research program "Freshwater Prokaryotic Organisms Research and Discovery," fresh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Nakdonggang River. After plating the samples on several culture media and incubating aerobically, approximately 900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using 16S rRNA gene sequences. Among the bacterial isolates showing higher than 98.7%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with those of already confirmed bacterial species previously unreported in Korea, 29 strains were selected. These strains were phylogenetically diverse and belonged to 3 phyla, 6 classes, 13 orders, and 21 genera. At the genus level, these previously unreported species were found to be affiliated with Novosphingobium, Sphingomonas, Polymorphobacter, Croceibacterium, Devosia, Endobacterium, Agaricicola, Bradyrhizobium, Paracoccus, and Pseudotabrizicola of the class Alphaproteobacteria; Undibacterium, Azonexus, and Dechloromonas of the class Betaproteobacteria; Acinetobacter and Budvicia of the class Gammaproteobacteria; Streptomyces, Nocardioides, Mycobacterium, and Cellulomonas of the phylum Actinomycetota; Flavobacterium and Pedobacter of the phylum Bacteroidota. These species were further characterized by examining their Gram reaction, colony and cell morphologies, biochemical properties, and phylogenetic positions. Detailed descriptions of these 29 previously unreported species are provided.

숲고사리삼과 애기고사리삼(고사리삼과): 한반도 미기록 식물의 형태로 본 계통적 위치 (Sceptridium atrovirens and S. microphyllum (Ophioglossaceae): First report in Korea and its phylogenetic position based on morphology)

  • 이창숙;김유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8-75
    • /
    • 2012
  • 제주도 서귀포시 도순동에서 우리나라 고사리삼과의 미기록 분류군, 숲고사리삼과 애기고사리삼이 새로이 발견되었다. 숲고사리삼(Sceptridium atrovirens)은 고사리삼속의 다른 분류군에 비해서 굵은 땅속줄기와 뿌리를 갖으며, 불규칙하고 거친 톱니가 있으며, 비교적 길이가 작은 포자낭이삭을 갖는 점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국명은 서식지의 특징을 고려하여 '숲고사리삼'으로 신칭하였다. 또한, 애기고사리삼(Sceptridium microphyllum)은 고사리삼속의 다른 분류군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작고, 영양엽의 우편이 빽빽한 잎몸, 겨울에 부분적으로 벽돌색을 띠는 점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국명은 전체적으로 작은 특징을 고려하여 '애기고사리삼'으로 신칭하였다. 이들 미기록 식물들의 계통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들 식물과 유연종들의 형태적 형질 27개를 분석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주요형질에 대한 분류군의 기재 및 종의 해부도와 서식지 식물사진을 제시하였고, 아울러 한국산 고사리삼속 식물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