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locking Proces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델파이와 계층분석기법을 이용한 스마트폰 잠금 알고리즘 선호도 분석 (A Preference of Smartphone Locking Algorithms Using Delphi and AHP (Aanalytic Hierarchy Process))

  • 남수태;신성윤;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1228-1233
    • /
    • 2019
  • 최근 스마트폰 잠금 해제 방법에 암호화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알고리즘이 채택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미 상용화에 성공한 인간의 생체인식 기술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진보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는 지문인식, 얼굴인식, 홍채인식 등이 여기에 속한다. 본 연구의 평가항목에는 지문인식, 얼굴인식, 홍채인식, 패턴인식 그리고 패스워드 입력방식 포함하여 5가지 알고리즘이다. 이렇게 채택된 알고리즘을 기준으로 AHP 기법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우선순위 1위는 지문인식( .400)이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스마트폰 사용자가 선호하는 우선순위 2위는 패턴인식( .237)이 위치하였다. 따라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와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발사형 정찰로봇을 위한 보호체 설계 및 충격해석 (Protector Design and Shock Analysis for a Launch-Reconnaissance Robot)

  • 강봉수;박문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8호
    • /
    • pp.971-976
    • /
    • 2011
  • 본 논문은 원거리에 떨어진 작전지역으로 정찰로봇을 발사하여 투하하기 위해서 필요한 보호체의 설계개념에 대해서 서술한다. 개발된 보호체는 발사, 비행, 착지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에 위치한 정찰로봇을 보호하며 목표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해제기구에 의해 자동으로 보호체 외피가 분리.개방되어 내부의 정찰로봇이 용이하게 보호체를 이탈하여 정찰임무를 수행하도록 한다. 보호체와 정찰로봇의 유한요소 모델링을 통해서 지면과의 낙하충돌에 의한 충격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실제 실험결과와도 비교하여 모델링의 유효성을 분석하였다. 낙하테이블을 이용한 충격시험을 통해서 실리콘 재질로 충전된 보호체가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하여 내부의 정찰로봇을 보호하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애플리케이션 로그를 이용한 공유 자전거 시스템의 잠금장치 해제 방법 (Unlocking Shared Bike System by Exploiting an Application Log)

  • 조준완;이지은;김광조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719-728
    • /
    • 2019
  • 최근 자동차, 자전거 등 '탈 것'을 공유하는 공유 모빌리티 사업 시장이 점점 커지고 있으며 많은 사업자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공유 모빌리티의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정상적인 과금을 할 수 없다면 사업자는 사업을 지속 할 수 없으므로 보안에 허점이 있으면 안 된다. 하지만 공유 모빌리티 보안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한 공유 자전거 업체를 선정하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로그에 노출된 보안 취약점을 분석했다. 로그를 통해 자전거 잠금장치의 비밀번호와 AES-128 알고리즘의 암호화 키를 쉽게 얻을 수 있었고, 소프트웨어 역공학 기법을 활용하여 잠금 해제를 위한 데이터 생성 과정을 확인했다. 이를 이용하여 100%의 성공률로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과금 없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음을 보인다. 이를 통해 공유 모빌리티 사업에서 보안의 중요성을 알리고 새로운 보안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dvances towards Controlling Meiotic Recombination for Plant Breeding

  • Choi, Kyuha
    • Molecules and Cells
    • /
    • 제40권11호
    • /
    • pp.814-822
    • /
    • 2017
  • Meiotic homologous recombination generates new combinations of preexisting genetic variation and is a crucial process in plant breeding. Within the last decade, our understanding of plant meiotic recombination and genome diversity has advanced considerably. Innovation in DNA sequencing technology has led to the exploration of high-resolution genetic and epigenetic information in plant genomes, which has helped to accelerate plant breeding practices via high-throughput genotyping, and linkage and association mapping. In addition, great advances toward understanding the genetic and epigenetic control mechanisms of meiotic recombination have enabled the expansion of breeding programs and the unlocking of genetic diversity that can be used for crop improvement. This review highlights the recent literature on plant meiotic recombination and discusses the translation of this knowledge to the manipulation of meiotic recombination frequency and location with regards to crop plant breeding.

스마트 폰 잠금 해제 과정에서의 감성적 UX 요소가 전반적 기기 사용 경험과 향후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 Emotional Factor on User Experience with Smartphone Unlocking Process)

  • 이선화;신영수;임채린;백한나;이성호;김진우
    • 감성과학
    • /
    • 제17권4호
    • /
    • pp.79-88
    • /
    • 2014
  • 스마트폰의 발전에 따라, 오늘날의 현대인들은 인터넷 뱅킹이나 결제, 금융, 상거래에 이르기까지 생활의 많은 업무들을 스마트폰을 통해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스마트폰의 유실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 문제가 대두되면서, 사용자들의 불안감 또한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최근에는 스마트 기기의 잠금장치와 관련한 다양한 보안 시스템 및 기술들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잠금장치와 같은 보안기능들은 역설적이게도 사용자들에게 잠금 해제 과정에서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제공하게 된다. 이는 곧 사용자의 편리한 사용이라는 가치와 기기 내 저장 정보 자체의 안전한 유지라는 가치 사이의 상반 관계를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연구에서는 잠금 해제 과정에서의 안전함과 편리성 사이의 상반 관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자기은폐성'이라는 개념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에 기반을 둔 실험을 통하여, 스마트폰 사용 경험과 향후 사용의도에 대한 측정도 시도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자기은폐성이 적용된 보안기능은 스마트폰 사용 경험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향후 스마트폰 사용 의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스마트 기기의 잠금 해제 과정에서 보다 최적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의사 결정 방법론을 기반한 암호화 알고리즘 선호도 분석 (Analysis of Preference for Encryption Algorithm Based on Decision Methodology)

  • 진찬용;신성윤;남수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7-168
    • /
    • 2019
  • 최근 스마트폰 잠금 해제 방법으로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다양한 알고리즘이 채택하고 있다. 이미 상용화에 성공한 인간의 생체인식 기술로 해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방법에는 지문인식, 얼굴인식 및 홍채인식 등이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상용화된 생체인식 기술 및 패턴인식 및 암호입력 방법을 평가항목으로 선정 하였다. 평가항목은 지문인식, 얼굴인식 홍채인식, 패턴인식 및 암호 입력방법 등 다섯 가지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계층적 분석 방법론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사용자의 암호화 알고리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Quantified Lockscreen: 감정 마이닝과 자기정량화를 위한 개인화된 표정인식 및 모바일 잠금화면 통합 어플리케이션 (Quantified Lockscreen: Integration of Personalized Facial Expression Detection and Mobile Lockscreen application for Emotion Mining and Quantified Self)

  • 김성실;박준수;우운택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11호
    • /
    • pp.1459-1466
    • /
    • 2015
  • 잠금화면은 현대인들이 모바일 플랫폼에서 가장 자주 대면하는 인터페이스 중 하나이다.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일일 평균 150번 잠금해제를 수행하지만[1], 패턴인식, 비밀번호와 같은 잠금화면 인터페이스등은 보안 및 인증의 목적을 제외하곤 별 다른 이익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 현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용도의 기존 잠금화면을 전방 카메라를 활용한 얼굴 및 표정인식 어플리케이션으로 대체하여 표정 데이터를 수집한 뒤 실시간 표정 및 감정 변화 피드백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선 Quantified Lockscreen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실험을 통해 1) 잠금화면을 활용한 비침습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속적인 표정데이터 획득과 감정패턴을 분석할 수 있는 것을 검증했으며 2) 개인화된 학습 및 분석으로 표정인식 및 감정 검출의 정확도를 개선하였으며 3) 표정으로부터 추론된 감정 데이터의 타당성을 강화하기 위한 양괄식 검증기법을 도입하여 감정 검출의 다중채널 및 다중입력 방법론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착륙장치 작동기 내부 잠금장치 피로해석 (Fatigue Analysis for Locking Device in Landing Gear Retract Actuator)

  • 이정선;강신현;장우철;이승규;오성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1호
    • /
    • pp.91-96
    • /
    • 2012
  • 착륙장치 접개 작동기는 항공기 이착륙 시 착륙장치를 항공기 동체 내로 접어 올리거나 동체 밖으로 펼쳐 내려주는 역할을 한다. 접개 작동기 내부에는 착륙장치 펼침 상태에서 외란에 의해 착륙장치가 접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잠금장치가 장착된다. 이 잠금장치는 작동기 내부에 공급되는 유압을 통해 작동기 내부 구성품과 기계적으로 구속됨으로써 작동기 잠금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착륙장치 접힘/펼침에 따라 잠금장치의 잠김/풀림이 반복되므로, 잠금장치는 항공기 운용 중 반복되는 동일 하중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한 피로 파괴의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잠금장치에 대한 피로해석 과정 및 결과를 제시하고, 피로시험을 통해 그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Unlocking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BCL-2 Associated Protein Family: Exploring BCL-2 Inhibitors in Cancer Therapy

  • Bisan El Dakkak;Jalal Taneera;Waseem El-Huneidi;Eman Abu-Gharbieh;Rifat Hamoudi;Mohammad H. Semreen;Nelson C. Soares;Eman Y. Abu-Rish;Mahmoud Y. Alkawareek;Alaaldin M. Alkilany;Yasser Bustanji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2권3호
    • /
    • pp.267-280
    • /
    • 2024
  • Apoptosis, programmed cell death pathway, is a vital physiological mechanism that ensures cellular homeostasis and overall cellular well-being. In the context of cancer, where evasion of apoptosis is a hallmark, the overexpression of anti-apoptotic proteins like Bcl2, Bcl-xL and Mcl-1 has been documented. Consequently, these proteins have emerged as promising target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The BCL-2 protein family is central to apoptosis and plays a significant importance in determining cellular fate serving as a critical determinant in this biological process. This review offers a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the BCL-2 protein family, emphasizing its dual nature. Specifically, certain members of this family promote cell survival (known as anti-apoptotic proteins), while others are involved in facilitating cell death (referred to as pro-apoptotic and BH3-only proteins). The potential of directly targeting these proteins is examined, particularly due to their involvement in conferring resistance to traditional cancer therapies. The effectiveness of such targeting strategies is also discussed, considering the tumor's propensity for anti-apoptotic pathways. Furthermore, the review highlights emerging research on combination therapies, where BCL-2 inhibitors are used synergistically with other treatments to enhance therapeutic outcomes. By understanding and manipulating the BCL-2 family and its associated pathways, we open doors to innovative and more effective cancer treatments, offering hope for resistant and aggressive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