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entrants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8초

대학생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연구 (A Study about Research of Needs for Development of Sex Education Program on University Entrants)

  • 염계정;김일옥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9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needs about sex education of university entrants in Korea,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levels of sex-related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Methods: Totally 188 freshman year of two different university were recruited to reply. The design of study was a exploratory research, using a cross-sectional surve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the experiences and needs about sex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WIN 21.0 program. Results: 95.2% of the experienced sex education but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sex education was 38.3%. The sex education methods that subjects wanted were comfortable and interesting using videos and practices. Sex-related knowledge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sex. Sexual attitude differed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sex, the line of dating and the route of information about sex.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ex-related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female entrants. Conclusion: So sex education program, composed of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should be interesting and helpful in order to fit current trends and fulfill university entrants' needs.

  • PDF

기술 사업화에 있어 후발자의 시장 추격 전략: 진입시간차, 기업의 역량 및 제휴 관점에서 (Catching-up to the Market Leader: Role of Entry Time-lag, Alliance, and Capability in the Catch-up Success)

  • 김혜전;장성용;송재용
    • 기술혁신연구
    • /
    • 제20권1호
    • /
    • pp.141-167
    • /
    • 2012
  • 기술 혁신과 더불어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제품의 성공적 시장진입은 지속적 혁신의 기반이 된다. 본 연구는 기술집약적인 제약 산업에서 신약의 성공적 출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있다. 특히 선발자의 우위와 후발자의 우위에 대한 상반된 이론하에서 언제 선발자의 우위가 후발자에 의해 완화되어 후발제품이 시장 선도제품을 추월할 수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선발제품과 후발제품의 시장 진입 시간차가 커서 후발자가 선발자의 정보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을 때, 제품의 향상과 차별화가 가능하여 후발제품이 선발제품을 추월할 확률은 높아진다. 또한 후발자의 마케팅 역량이 크면 선발제품의 고객기반을 보다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어 후발제품이 선발제품을 추월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입이 늦어진 후발자의 입장에서 뒤처진 시간을 활용하여 오히려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는 후발자의 우위를 재조명하며, 우수한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된 신제품이라 할지라도 높은 마케팅 역량이 뒷받침되어야 선발자의 우위를 극복하고 시장 추격의 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빅뱅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과정지향심리학 이론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and Effect Verification of BigBang Group Counseling Program- Focusing on the Process Oriented Psychology)

  • 양명숙;전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43-5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정지향심리학적 접근을 통하여 대학 신입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절차는 프로그램 개발절차와 프로그램 효과검증 절차로 이루어졌고, 세부적으로 6단계의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구안하여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신입생 116명이었고, 총 15개의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집단원 자체 사전사후 평가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과 정신건강 점수의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하였고, 경험보고서 분석을 통해 구성된 프로그램의 목표를 달성하였다고 평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대학 신입생이 경험하는 다양한 역경과 스트레스를 프로그램의 하위목표인 자기이해, 역경과 도전의 상대성에 대한 알아차림, 그리고 자기반영의 우주로의 확장을 통하여 심리적 안녕감 증진과 정신건강을 향상을 돕는데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신입생을 위한 다양한 교육방법이나 교육정책을 제안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대학교 신입생들에서 지각된 스트레스 및 취약성 변인과 신체화 경향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tress, Vulnerability Variables, and Somatization Tendency in University Entrants)

  • 김학렬;조준호;조용래
    • 정신신체의학
    • /
    • 제5권1호
    • /
    • pp.63-72
    • /
    • 1997
  •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vulnerability variables, and somatization tendency,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of perceived stress, styles of stress coping(passive and active copings), self-perception, gender, and somatization tendency were administered to university entrants(n=2,02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erceived stress, styles of stress coping(passive and active copings), self-perception, and gender accounted for 15.56% of the total variance in somatization tendenc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all predictor variables to somatization tendency, the highest was perceived stress, and the next in order were passive coping style, self-perception, and gender, whereas direct effect of active coping style was not significant. 2) The two-way and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of perceived stress X vulnerability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3) The two-way and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of gender X psychosocial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To conclude, perceived stress and vulnerability variables independently contribute to somatization tendency in university entrants, and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vulnerability variables as well as perceived stress must be considered to account for somatization tendency.

  • PDF

조기진급 및 조기졸업이 대학 조기입학자의 사회,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rade Skipping and Early Graduation on Social and Emotional Adjustments of Early College Entrants)

  • 이미순;조석희;이현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16권2호
    • /
    • pp.143-166
    • /
    • 2006
  • 본 연구는 조기진급 및 조기졸업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금까지 교육현장에서 본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를 학생의 사회 정서적 측면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고 실증적으로 자료를 제시하였다. K 대학교에 재학 중인 5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검사(Coopersmith, 1967, 1981, 1984)와 학교생활에 대한 지각검사(이미순, 이현주, 2006)를 실시하였다. 조기진급 및 조기졸업의 유무에 따른 자아존중감을 연구하기 위해 학생의 GPA를 공변량으로 설정한 후, 다변량 공분산 분석(MANCOVA)를 실시하였고, 대학에 입학하기 전 고등학교 생활에 대한 지각의 차이는 다변량 분산 분석(MANOVA)를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사회 정서적측면에 대한 우려와 달리 조기진급 및 조기졸업에 의한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집단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조기진급 및 조기졸업을 한 후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이 자신을 부정적으로 지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조기진급 및 조기졸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자신을 보다 긍정적으로 지각하였고, 고등학교 재학 중에 조기졸업에 대한 기회와 정보가 많았다고 응답하였다.

짝독서프로그램이 대학 신입생의 인성, 자아탄력성, 대학생활 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eer Group Reading Program on Tenacity, Self-Resilience,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University Entrants)

  • 황은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32-542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짝독서프로그램이 대학 신입생의 인성, 자아탄력성, 대학생활 적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실험설계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S 대학교 신입생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진행되었다. 실험군에게는 짝독서프로그램을, 대조군에게는 교양 프로그램을 각 13주간 제공하였다. 짝독서프로그램은 3~4명 학생으로 각 팀을 구성하여, 팀별 다른 도서를 매주 1권씩 돌아가면서 읽고, 매주 1회 전체 모여서 팀별 독서 감상문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Chi-square test와 t-test를 활용하여 두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총 73명으로, 실험군 34명, 대조군 39명이 참여하였다. 이 연구결과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전에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인성, 자아탄력성, 대학생활 적응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중재 후에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인성 (p<.01), 자아탄력성 (p=.020)이 향상되어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학 신입생의 인성, 자아탄력성, 대학생활 적응도를 높이기 위해 독서를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System Performance with Variation of Outdoor Unit Layouts at Building Re-entrants

  • Koh, Jae-Yoon;Lee, Hyun-Gu;Zhai, John
    • International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 /
    • 제16권1호
    • /
    • pp.15-21
    • /
    • 2008
  • Air-cooled split-type air conditioners (AC) are very popular in high-rise residential and commercial buildings in Korea. The performance of such AC systems varies significantly with system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Particularly, the outdoor condensing unit of the system, if poorly cooled due to high density of AC distribution and restricted outdoor space, will result in large decrease of cooling efficiency and increase of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and may further jeopardize the system reliability. This paper presents a numerical analysis on the thermal and energy performance of a group of air-cooled air conditioners installed at a courtyard of a high-rise building. The study introduces a series of new energy performance indices to assess the group performance of the AC condensers with different outdoor unit layouts. The results not only indicate the COP of the systems, but also quantify the system capacity and energy consumption. The evaluation method and indices developed are useful for guiding the design of the distribution plan of the AC units at building re-entrants.

긍정심리학을 활용한 집단지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국가안보관련학과 신입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group guidance program using positive psychology for national security related university entrants' psychological wellbeing)

  • 정주섭
    • 시큐리티연구
    • /
    • 제48호
    • /
    • pp.235-258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의 국가안보 관련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학을 활용한 집단지도 프로그램이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활을 시작하는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최근 10여 년 동안 심리학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긍정심리학을 바탕으로, 집단지도를 통하여 긍정심리를 증진시키게 되면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가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집단지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가안보관련 학과의 신입생들 중 남녀 39명 (남 19명, 여 20명)을 선정하고 이 중 집단지도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19명(남 10명, 여 9명)으로 하였고, 비교집단은 20명 (남 9명, 여 11명)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2개의 소규모 집단 (남학생 집단, 여학생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의 대표자를 선정하고 프로그램을 이끌어 가도록 하였고, 주1회 50분씩 총 10회 차의 집단지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긍정심리학을 활용한 집단지도 프로그램은 국가안보 관련학과 대학 신입생에게 심리적 안녕감의 증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하위변인에 대한 프로그램 전과 후의 집단 간의 비교에서는 4가지 하위요인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개인적 성장, 긍정적 대인관계)에서 매우 유의미하게 또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가지 하위요인(삶의 목적)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일부 대학신입생들의 B형 간염에 대한 지식과 실천 (Knowledge and Practice of College Entrants Toward Hepatitis B)

  • 지성애;정규철;박종윤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1권1호
    • /
    • pp.31-46
    • /
    • 1988
  • In order to designate a present status necessary for establishment of preventive measures and guidelines of health education against hepatitis B in the course of secondary school education, knowledge and practice toward hepatitis B virus infection was surveyed by a questionnare method on total of 4,855 college entrants in the academic year of 1987 and analyzed the data collected using IBM PC(Trigem 88-II) with SAS package program. About two per cent of college entrants had past history of HBV infections not showing any difference between both sexes and geographical regions. About one third(33.7%) of total students had tested hepatitis B surface antigen(HBsAg), only 4% had tested hepatitis B surface antibody(HBsAb) and vaccination rate amounted to 24.6%, one fourth of total subjects. Both serological tests and vaccination were most commonly performed during adolescence, showing higher rates in female students than in male students. The rates also seemed to be higher in those from urban cities than those from rural cities. Students who had acquired correct knowledge that hepatitis B was infected by virus were amounted to 78.5% of college entrants, and remaining 21.5% had misunderstood that rickettsia, bacteria, fungi or parasites were causal agents. Female students were better aware of the causal agents than male studen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places of growth. As for mode of transmission of HBV, 51.5% of male students and 47.7% of female students had correct knowledge. A very few student had known that fact that HBV was transmitted by body fluids such as tear(6.9%), nasal discharge(10.1%) and semen or vaginal secretion(19.2%) and majority(75%) of students had misunderstood that hepatitis B virus would be transmitted per os through food ingestion. Approximately one half(48.9%) of college entrants had knew correctly whom to be vaccinated. Approximately one half of the students knew that hepatr;ma(57.8%) and liver cirrhosis(57.4%) might complicate with hepatitis B virus infection, whereas 12.0%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bronchitis was one of the complications of hepatitis B infection. In summary of the above results, we highly recommend that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eradication of hepatitis B virus infection should be introduced in curricula of secondary school education in this country.

  • PDF

대학구조개혁정책의 쟁점과 대응 과제에 관한 연구 - 학령인구 감소에 대한 새로운 대학구조개혁 패러다임 탐색 - (Major Issues of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and Discussion for New Alternatives)

  • 반상진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2호
    • /
    • pp.14-2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umber of university entrants influenced by the population decline of school age, to discuss the major issues of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initiated by government, and to suggest the mid- to long-term policy agenda on university restructur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university enrollment changes, university enrollment quota will decrease to 29% of year 2013. And the ratio of private university enrollment and the entrants of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s will increase.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highly concerned that high school graduates will be more concentrated to private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s. The government policy on university restructuring have several problems on the direction, the pursuing strategies, and the negative impacts of it. This study suggested the new paradigm for the university development and also the alternative strategies such as the balanced development in universities, financial support system, school-to-work policy, university collaboration system, and an enactment of university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