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Libraries in North America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도서관서비스 연구 - 북미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ibrary Ser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ocused on North American University Libraries)

  • 김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31-247
    • /
    • 2020
  • 인공지능(AI)이 4차 산업혁명 중에서도 미래유망기술로 부각됨에 따라 도서관을 포함한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인공지능기술을 적용하고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이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미치고 있는 영향과 이슈, 그리고 시사점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은 북미지역 대학도서관 IT전문가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인터뷰결과와 국내외 관련 문헌들을 통해 결론과 논의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로 북미지역 대학도서관들은 인공지능 시스템을 기반으로 정보 접근과 검색을 효율화하는 인프라구축에 노력하고, 대학내 인공지능 연구소들과도 협업하여 새로운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향후 도서관과 사서의 역할 변화, 프라이버시, 그리고 데이터품질에 대한 이슈들을 제기하였다. 논의를 통해 대학의 사서들이 지식을 보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되기 위한 사서 재교육의 필요성과 대학 도서관의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투자와 도서관에 인공지능 연구소를 세우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환경 변화에 따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도 논의되었다.

대학도서관 현황변화 비교분석 - 한국, 북미, 영국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Current Status and Changes of Academic Libraries between South Korea, North America, and the United Kingdom)

  • 최재황;이종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83-30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와 북미, 영국 대학도서관 통계지표를 비교하여 국내 대학도서관 현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의 학술정보통계시스템, 미국의 대학 및 연구도서관 협회 통계보고서, 영국의 대학 및 국립대학 도서관협회 통계보고서를 활용하여 비교 가능한 통계지표를 식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국내와 북미 주요 대학 간의 비교에서는 대부분의 지표에서 북미 대학의 도서관 여건이 국내에 비해 우수하였는데, 특히 북미 대학이 국내 대학에 비해 재학생 수 기준 소장 장서 수, 도서관 직원 수, 자료구입비가 월등히 많았다. 다음으로 국내와 영국 대학을 비교한 결과, 국내 대학이 영국 대학에 비해 재학생 수 기준 소장 장서 수, 도서관 건물 연면적, 도서관 열람석 수 등에 우위를 보이는 반면, 영국 대학은 국내 대학에 비해 재학생 수 기준 도서관 직원 수, 자료구입비, 상호대차 신청 건수, 도서관 이용자 PC 수 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인력, 예산 투입에 대한 국가와 대학 차원의 지원이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대학도서관의 온라인 연구지원 가이드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Online Research Guides of University Libraries)

  • 최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29-248
    • /
    • 2010
  • 대학에서 연구가 중요한 활동으로 주목을 받게 되면서 대학도서관에서도 연구지원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북미 및 국내 60개 대학의 디지털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상으로 연구지원 가이드를 제공하는 현황을 조사하여 13개의 주요 내용유형을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대학도서관이 연구지원 가이드 내용을 구성하는데 고려해야 할 5개의 주요 영역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지원 가이드가 온라인상으로 제공되는 방식과 가이드를 통해 사서와 이용자가 소통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원 가이드를 제작, 제공하는 주체는 사서이며 대학도서관의 사서 역할은 향후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에서 이용자를 위한 정보를 생산하는 역할로 확장될 것으로 예측된다.

북미 지역 대학도서관의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 특성 연구 - 서비스 간 계층 구조와 직책 및 직책별 직무내용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Data-related Service in North American University Libraries: Focusing 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Services, Job Titles, and Job Descriptions)

  • 김규환;박종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453-475
    • /
    • 2023
  • 본 연구는 북미 지역 50개 대학도서관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명과 서비스명 간의 계층 관계, 연구데이터 서비스 담당자의 직책명과 직무내용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북미 지역 대학도서관의 경우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명 간에는 분명한 계층 관계가 존재하였고 이를 통해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명들의 계층 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 담당자의 직책명으로는 'Librarian'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고 'Librarian'이 담당하는 직무내용이 가장 폭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Librarian' 외에 'Specialist', 'Analyst' 등의 다양한 연구데이터 관련 전문인력의 직책명이 사용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다양한 직책명의 존재는 대학도서관이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의 전문성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파악되었다. 국내 대학도서관의 연구데이터 서비스 구성체계는 '연구데이터 서비스'를 최상위 서비스명으로 하고 '연구데이터 관리 서비스', 'GIS 서비스', '데이터 시각화 서비스'를 하위 서비스명으로 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초기에는 기존 대학도서관 사서 간에 업무조정을 통해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점진적으로 연구데이터 관련 전문 인력의 신규 채용을 고려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북미 대학도서관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을 중심으로 (A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Training Programs at the University Libraries in North America: Focusing on Data Literacy Competencies)

  • 김지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3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북미에서 연구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121개 대학도서관 중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51개 기관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12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에 기반을 두어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내용 분석을 위해 집합 교육 프로그램의 제목 317개와 온라인 튜토리얼의 상위 목차 제목 42개를 수집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12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에 따라 코딩을 수행하였다. 집합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는 데이터 처리 및 분석 역량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수의 기관에서 데이터 관리 및 조직 역량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었다. 데이터 시각화 및 표현은 집합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세 번째로 많이 다루어지는 역량이었다. 그러나 나머지 9개 역량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나 교육 프로그램 내용이 특정 역량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집합 교육 없이 자체 개발한 온라인 튜토리얼을 제공하는 기관은 5곳이었으며 목차 제목을 분석한 결과 데이터 보존, 윤리 및 데이터 인용, 데이터 관리 및 조직 역량에 대한 교육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어 집합 교육 프로그램에서 강조되는 역량과 차이를 보였다. 효과적인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서는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전통적으로 교육하고 강조해왔던 역량뿐만 아니라 데이터 처리와 분석, 데이터 시각화와 표현 등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 도출에 필요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에 대한 이해와 지원이 요청된다. 또한 연구데이터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사서들의 계속 교육을 지원하는 교육 자원의 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전문도서관의 주제목록형태에 관한 일연구 (A Study on Classified Catalogs of Research or Special Libraries in Korea)

  • 유소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9권
    • /
    • pp.75-98
    • /
    • 1982
  • This study attempted at first to find out a more suitable form of catalog to guide library users who need subject approach through a literature survey, secondly to see how and which catalog form is kept by Korean research or special libraries through an analysing questionnaires, and thirdly to evaluate these data and explore the ways to improve the function of classified catalog in Korean research or special librar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s that a classified catalog is more desirable form of catalog in research or special libraries in Korea because of the diversity of languages of the literatures needed by researchers,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librarians and the problems of subject heading lists. Above mentioned questionnaire survey shows that more than $70\%$ of research or special libraries in Korea uses classified catalogs. However, among those libraries - only $8\%$ has the index of cassified catalog which is prerequisite for the catalog users. This survey also indicates that recently many libraries began or converted classified catalogs to subject catalogs. The writer explains the beginnings or convertings of classified catalog to subject catalog is due to the fact that many libraries do not have the index of a classified catalog which is badly needed by the library users. Based on these findings, writer said that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present classified catalog, it should include it's index to guide the library users who are not familier with the classifing system of the subjects. Through the entire paper, the writer has attempted to develop a point of argument by comparing a classified catalog with a subject catalog. Writer's point is not only a subject catalog using the particular language terms as a communication tool has problems in itself, but also the prevailing of this catalog form in North America is caused by their different situations from ours.

  • PDF

세계 암 보완대체의학의 현황에 대한 연구 (Review for the Current Status of Cance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the World)

  • 권해경;김정선;유화승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1
    • /
    • 2009
  • Objectives: Many countries have been us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for treating cancer and it has been given more weight than before. This study aimed to look into its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 way to suggest the way which Korean oriental medicine goes to. Methods: We searched internet web sites that are relative with CAM in oncology parts and made lists for this study. We downloaded the essays in the form of electronic files in that web sites and copied the originals consulting to each libraries and relative institution. Results: North America was processing the standardization of CAM based evidences and China was making their traditional medicine representative medicine of CAM. India was developing their traditional medicine because of their domestic need and its results were recognized by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CAM was regulated and studied legally in Europe. Japan was using mushroom for immune therapy clinically. Mexico had a large scale of medical valley in Tijuana area and made it international. Conclusions: The efforts to develop and study CAM for treating cancer are increasing in the world. We need to know the current status of CAM in the world, and make our way that Korean oriental medicine goes to.

  • PDF

Identification of bird species and their prey using DNA barcode on feces from Korean traditional village groves and forests (maeulsoop)

  • Joo, Sungbae;Park, Sangkyu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6호
    • /
    • pp.488-497
    • /
    • 2012
  • A DNA barcode based on 648 bp of cytochrome c oxidase I (COI) gene aims to build species-specific libraries for animal groups. However, it is hard to recover full-length (648 bp) barcode gene from environmental fecal samples due to DNA degradation. In this study, we designed a new primer set (K_Bird), which amplifies a 226 bp fragment targeted an inner position of full-length COI barcode based on 102 species of Korean birds to improve amplification success, and we attempted to identify bird species from 39 avian fecal samples collected during 4 months from Jinan, South Korea. Simultaneously, we conducted a dietary analysis using a universal DNA mini-barcode (Uni_Minibar) from same fecal samples. In silico analysis on newly designed mini-barcode represented that genetic distances were 0.5% in species and 9.1% in genera. Intraspecific variations of 149 species out of 174 species (86%) between Korea and North America were within the threshold (5.3% threshold in this study). From environmental fecal samples collected in Jinan, we identified seven avian species, which have high similarity (99-100%) with registered COI sequences in GenBank. Eight kinds of prey species, such as moth, spider, fly, and dragonfly, were identified in dietary analysis. We suppose that our strategy applying mini-barcode for environmental fecal samples, might be a useful and convenient tool for species identification and dietary analysis for birds.

디지털 리포지터리의 지속가능한 협력 모델로서 하티트러스트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HathiTrust as a Sustainable Cooperative Model of Digital Repositories)

  • 이유경;성윤아;정영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43-464
    • /
    • 2016
  • 세계의 많은 기관들은 학술 정보 유통을 위해 디지털 리포지터리들을 구축해왔다. 동시에 디지털 리포지터리들은 증가하는 디지털 자원을 어떻게 장기적으로 보존하고 지속가능한 정보 환경 구축할 것인가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하티트러스트(HathiTrust) 파트너십은 미국 연구도서관들의 디지털 리포지터리의 지속가능한 협력 모델의 필요성에 의해 시작하여 전 세계의 리포지터리들과의 체결을 통해 점차 확장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티트러스트의 설립배경부터 구축, 운영 및 정책, 현황 및 이용 서비스에 이르는 전반적인 사례와 실질적인 운영 과정 등을 다루었고 또한 하티트러스트의 효과와 앞으로 기대되는 가능성 등을 파트너십 단위 기관의 시각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하티트러스트를 통해 파트너십 기관들은 효과적인 운영 비용, 디지털 콘텐츠의 공동 관리 및 장기 보존, 저작권 관리의 용이성, 접근성 확대 등의 특장점이 있으며, 향후에는 인쇄물의 공동보존서고 운영, 빅데이터 분석 토대 마련 등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Suggesting Structure and Direction of 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Applying Design Thinking Methods

  • 이경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339-363
    • /
    • 2023
  • In response to the changing needs of users and library service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library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that reflects such change and to foster competent librarians. Recent studies abroad have emphasized the need for librarians who can apply design thinking methods which is a problem-solving methodology that expansively explores various alternatives and derives results, in response to recent changes and problems occurring in libraries. In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how design thinking methods can be taught an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and librarians involved in the course, a case study is conducted of a class that applied design thinking methods and students and librarians have been interviewed who had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he class. By reflecting on the needs of students and librarians', this study explored new directions of what forms courses can take for future libraria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mong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design thinking, the value of cooperation, problem-solving ability, flexibility and iteration of design characteristics was considered as the value of a class for LIS students and librarians where design thinking methods were applied. From the findings, the research suggests future directions of creating more structured courses that involve an element of design thi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