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Diary Design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2초

효율적 정보매체로서의 대학 다이어리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iversity Diary Design as an Effective Information Media)

  • 박수진;이미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151-162
    • /
    • 2003
  • 오늘날의 소비성향은 타인과의 구별을 통한 차별화 된 개성표현과 자기동일성(identity)의 측면에서 설명 할 수 있다. 일반기업에서는 이러한 소비의 패턴을 이해하고 철저히 상품을 마케팅하여 제시하고 있는데 반해서 대학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아직까지 보수적인 사고에 기반하여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 유연히 대응하지 못 한 채 주 소비대상인 신세대의 취향을 읽어내지 못하는 결과물을 생산하곤 한다. 연간 수 천 만 원 대의 경비를 지출하며 제작되는 대표적인 대학 홍보물 중의 하나인 대학 다이어리가 그 한 예로서, 최근 대학에서 개선의 노력을 하고 있는 광고나 홍보팜플렛 등에 비해 대학 다이어리는 전문적인 디자인 기획이나 배려의 사각지대로 남아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각 대학에서 만들어지는 대학 다이어리의 효용성을 확대하기 위해 대학 아이덴티티와 정보에 대해 고찰해 보았으며, 실재 사례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소비자로서 대학생의 요구를 읽어냄으로써 대학 다이어리의 실질적인 디자인개선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 PDF

재가 독거노인에 대한 건강다이어리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a Health Diary Program in Solitary Elderly)

  • 이명숙;임현자;김경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66-975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o evaluate a health diary program for solitary elderly.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re were 30 subjects the experimental group and 54 in the control group among solitary elderly over age 65.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health diary program,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perceived health status, ADL, IADL, Blood pressure, blood sugar, quality of life, self 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health diary program was performed for 50minutes, twice a week for 8 weeks.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3 to June 23, 2006.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health status, blood sugar, ADL, IADL, quality of life, self 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stolic & diastolic blood pressure. Conclusion: A health diary program showed good effects on improving health status, quality of life, self 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erefore, we recommend this program be utilized as a health promoting program for the solitary elderly in the community.

A Novel on a Crops Management Growth System using Web and Design Development Method

  • Jung, Se-Hoon;Kim, Jong Chan;Kim, Cheeyong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4권2호
    • /
    • pp.93-98
    • /
    • 2017
  • A new cultivation diary system based on environment sensor data and Web 2.0 with Flex is suggested, to improve the previous system using the subjective data of cultivators. The proposed system is designed by applying an object-oriented model called mini-architecture, in order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software as well as promote stability to overall system design. The environment sensor data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used to develop the new reliable diary. Also, an active interface based on Web 2.0 and Android as the user GUI are implemented to maximize the convenience while recording the cultivation diary. The resul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hows that the data from sensors has 99.1% of correlation with that of analogue.

빅데이터 기반의 텍스트를 활용한 개인 행복도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아키텍쳐 설계 (Peronsal Happiness Analysis using Big Data Based Text Design Monitoring System Architecture Design)

  • 심종성;김희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04-506
    • /
    • 2019
  • 전 세계의 수많은 SNS의 텍스트와 일기의 데이터가 업로드 되지만 그 데이터들을 내용을 공유하고 기록하는 것에 미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소셜빅데이터는 취향, 관심사 파악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자신의 상태와 정보를 분석하고 나타내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행복 다이어리 시스템은 SNS의 데이터와 자체의 일기를 적어 그것들을 빅데이터 시스템에 저장하고 감성분석을 이용하여 자신의 일기와 SNS데이터를 통해 행복도를 나타낼 수 있는 시스템 설계를 다룬다.

  • PDF

심부전 환자의 자가간호 증진을 위한 심장일지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Heart Health Diary for Self-Care Enhancement of Patients with Heart Failure)

  • 심재란;황선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881-89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eart health diary to promote self-care ability among patients with heart failure (HF), and to identify the diary's effect on self-care adherence, self-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Methods: A 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dopted using block randomization. A calender-typed health diary was developed and it included a self-care checklist and education information on HF management.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guided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8 weeks and wrote a daily health diary during that period.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a tertiary medical center from February to April 2016. To verify the hypotheses, data for the experimental group (n=28) and control group (n=33) were analys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with SPSS/WIN 21.0. Results: At the end of 8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self-care adherence (t=-2.48, p =.016) and exercise related self-efficacy (t=-3.44, p =.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a patient-directed heart health diary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improving HF patients' self-care adherence and exercise self-efficacy. Strategies to promote dietary self-efficacy are necessary along with further studies including repeated research with an increasing intervention period. Healthcare providers need to encourage the utilization of a health diary for HF patients as a tool for evaluation and for implementation that leads to self-care.

교수자의 편의성 창출을 위한 학생 지도 스마트수첩 설계 및 구현 (Guidance for the convenience of instructors to creat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diary)

  • 장혜숙;박기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37-143
    • /
    • 2013
  • 교육현장에서 교수가 학생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기본 정보와 강의 정보가 필요하다. 현재 교수들이 학생을 지도하기 위한 교무수첩은 비 전자식과 전자식을 모두 사용하고 있다. 전자식 교무수첩은 데스크 탑 PC에서 구동되기 때문에 휴대할 수 없어 활용도가 매우 적다. 그리고 모바일용은 플랫폼별로 구동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추가비용과 별도의 교육을 받아야 사용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비이동식과 모바일용 시스템으로 학생지도를 관리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 이다. 본 논문에서는 교수들이 개인 스마트 기기로 언제 어디서든 학생들의 정보를 손쉽게 확인 하여 지도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수첩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감사의 일기쓰기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내외 통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Effects of Gratitude Diary Writing by Smart Device on Self-Esteem and Internal & External Locus of Control in Adolescent)

  • 원수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68-73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에게 감사의 일기쓰기를 적용하여 자아존중감, 내외 통제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하였다. 무작위 대조군 전후설계 연구로 대상자는 실험군 20명, 대조군 19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자아존중감(t=5.142, p=<.001), 내외 통제성(t=5.821 p=<.001)은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감사의 일기쓰기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청소년에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 중재 방법임을 입증하였다. 향후 광범위한 표본을 선정하여 감사의 일기쓰기 효과가 검증 된다면 감사 일기쓰기 활동 일반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유치원 교육실습에서 교육일기 쓰기가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 교육신념 및 교사가 느끼는 조직건강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s of Student-teaching in Kindergarten through Educational Diary on Pre-service Teacher Efficacy, Teacher's Educational Belief and Organizational Health)

  • 김종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578-5587
    • /
    • 2011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실습에서 피드백이 주어지지 않는 교육일기 쓰기가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효능감, 교육신념, 그리고 그들이 느끼는 실습유치원의 조직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충남의 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4학년 34명을 대상으로, 이질통제집단전후검사 설계 방식에 의해 실험이 이루어졌고, 자료에 따라 $x^2$분석과 t-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교육실습 일기 쓰기가 교사효능감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교사신념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이 느낀 실습학교의 조직건강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실습 지도교사의 피드백이 기본 전제 조건인 반성적 저널쓰기를 실용성 차원에서 실습일기 쓰기로 대체할 수 있다는데 있다. 지도교사의 피드백이 없이 단지 교육 실습일기 쓰기만으로도 교사효능감은 증진된다는 것이다.

Application of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in Studies with Rotation Workers in the Resources and Related Construction Sectors: A Systematic Review

  • Bernard Yeboah-Asiamah Asare;Suzanne Robinson;Dominika Kwasnicka;Daniel Powell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1호
    • /
    • pp.10-16
    • /
    • 2023
  • Whilst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EMA) can provide important insights over time and across contexts among rotation workers whose work periods alternate with leave at home, it can also be challenging to implement in the resources and construction sectors. This review aimed to provide a summary of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EMA studies assessing health outcomes and related behaviors in rotation workers. Systematic searches in PubMed, Medline, EMBASE, CINAHL, PsycINFO, and Scopus were done to include 23 studies using EMA methods in assessing health-related outcomes and behaviors. EMA designs included daily diary: assessments once per day typically fixed at the end of day (47.8%), within day fixed interval time-based design: assessments on multiple times per day at certain times of day (17.4%) and combination of both designs (34.8%). Studies employed paper and pencil diaries (73.9%) and one or more electronic methods (60.9%): wrist-worn actigraphy device (52.2%) and online-based diaries (26.1%) for data collection. Most of the studies (91.3%) did not report prompting -EMAs by schedule alerts or compliance. Daily diary and within day fixed interval dairies designs are common, with the increasing use of electronic EMA delivery techniques. It is unclear how well participants adhere to assessment schedules, as these are inadequately reported. Researchers should report compliance-related information.

건강다이어리 프로그램이 저소득 관절염 여성노인의 낙상관련 심리적 변수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Health Diary Program on Fall-Related Outcomes in Low-Income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 이명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3호
    • /
    • pp.167-178
    • /
    • 2011
  • 본 연구는 관절염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건강다이어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여 낙상위험이 있는 관절염 여성노인을 위한 간호중재 서비스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2010년 9월 27일부터 11월 26일까지 대상자의 집을 방문하여 낙상예방을 위한 교육과 자가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시작전 사전 평가를 하였고 종료 후 실험 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의 지역사회에 거주하며 의사로부터 관절염 진단을 받은 국민기초생활수급자 혹은 건강보험료 부과 하위 20%에 해당되는 65세 이상의 여성 노인으로서 연구자가 연령대별로 짝지어 실험군에 24명 대조군에 24명을 배정하였다. 중재는 8주 프로그램 이었으며 낙상관련 심리적 변수(낙상두려움, 낙상 효능감, 낙상지식), 일상 활동수행 정도, 기분상태를 측정하였다. 프로그램 1회 소요 시간은 약 50분 정도이며 관절염 질환이해 및 재활, 낙상관련 예방교육 등 2영역 교육내용을 16회로 나누어 제공하였으며, 매회 건강증진을 위한 자가 간호 수행정도점검과 개인별 상담으로 구성하였다. 이해력과 학습력을 높이기 위해 다이어리 전 내용을 그림으로 제작하였으며 매일의 건강증진 활동 실천을 확인하기 위해 자가 간호 수행표를 만들어 해당항목에 스티커를 부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낙상관련 심리적 변수, 일상 활동수행정도, 기분상태 변수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낙상예방 다이어리 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낙상 두려움, 낙상 지식, 기분상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낙상효능감, 일상 활동수행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의 낙상예방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관절염 여성노인의 낙상예방 지식, 낙상 두려움, 기분상태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어 프로그램 적용의 합리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낙상위험 정도에 따른 대상자 비교를 하지 않았으므로 낙상예방 프로그램의 구성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낙상위험요인을 중등도로 분류하고 이를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등 연령별로 교육효과를 비교하는 추후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