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al Testing Machine

검색결과 793건 처리시간 0.024초

백서에서 치아이동 후 보정기간 동안 교합이 치주조직섬유의 재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cclusion on the Reorganization of Periodontal Fibers during Retention Periods after Tooth Movement in Rats)

  • 정권희;박영준;이기헌;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3-111
    • /
    • 2003
  • 본 연구는 실험적 치아이동 후 보정기간 동안 교합이 치주조직섬유의 물리적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체중 200g 내외의 Sprague-Dawley계 백서 수컷에서 상악 양측 제1대구치와 2대구치 사이에 교정용 고무줄을 삽입하여 4일 동안 치아를 이동시킨 다음, 각 실험동물의 하악 좌측 제1, 2, 3대구치를 발치하여 우측은 대합치가 있는 교합측으로, 좌측은 비교합측으로 구분하였다. 상악 제1대구치와 2대구치 사이의 인접면에 유지구를 형성하고 광중합형 레진으로 채워 보정을 시행한 후 시작 0일, 4일, 8일, 12일, 16일 또는 20일 경과한 후 백서를 희생시킨 다음, 만능물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상악 제1대구치를 발치할 때 필요한 최대인장강도를 측정 좌우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합측은 비보정군에서 보정 4일, 8일, 12일, 16일, 20일군으로 갈수록 최대 인장강도가 증가하였고, 보정 12일군 이후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비교합측은 비보정 군에서 보정 4일, 8일, 12일, 16일, 20일군으로 갈수록 최대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경 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교합측과 비교합측의 최대인장강도를 비교한 결과 보정 8일군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0.05), 보정 12일군 이후 보정 20일군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는 실험적 치아이동 후 보정기간 동안 교합이 치주조직 섬유의 재형성에 영향을 미침으로 보정장치의 선택, 기간설정 등 보정계획 시 교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브라켓 기저부 형태에 따른 전단, 인장, 전단/인장복합결합강도의 비교 (Comparison of shear, tensile and shear/tensile combined bonding strengths in bracket base configurations)

  • 이춘봉;이승호;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99-611
    • /
    • 1999
  • 금속 브라켓의 결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브라켓 기저부의 형태와 결합 부위에 적용되는 힘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형태가 다른 5종의 금속브라켓의 기저부와 결합강도 측정후 접착파절양상을 stere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를 통해 관찰하고 결합 부위에 적용되는 힘은 전단결합강도, 인장결합강도, 전단/인장복합결합강도로 구분하고 결합강도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브라켓 기저부 형태에 따른 모든 군에서 전단결합강토(SBS)가 제일 컸으며, 인장결합강도(TBS)는 SBS의 50%정도 수준이었고 전단/인장복합결합강도(S/T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30%정도이었다. 2. 브라켓의 결합강도는 Micro-Loc base가 가장 크고($SBS:22.86{\pm}1.37kgf,\;TBS:11.37{\pm}1.43kgf,\;S/TBS:6.69{\pm}0.34kgf$), Integral base가 가장 작았다($SBS:10.52{\pm}1.27kgf,\;TBS:4.27{\pm}1.08kgf,\;S/TBS:2.94{\pm}0.58kgf). 3. 단위면적당 결합강도 비교시, Integral base가 가장 작았고(p<0.05), 전단결합강도와 인장결합강도에서는 Micro-Loc과 Chessboard base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p>0.05), Non-Etched Foil Mesh와 Micro-Etched Foil Mesh base간의 전단결합강도와 인장결합강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전단/인장복합결합강도에서는 Micro-Etched Foil Mesh base가 Non-Etched Foil Mesh base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4. 전단, 인장, 전단/인장복합결합강도 측정후 접착파절은 브라켓/레진 계면에서 일어나 ARI score가 작게 나타났다.

  • PDF

교정용 브라켓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른 결합강도의 비교 (Comparison of bracket bond strength in various directions of force)

  • 이현정;이형순;전영미;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59-370
    • /
    • 2003
  • 본 연구는 교정용 금속 브라켓에 다양한 방향에서의 복합적인 응력을 가하여 힘의 방향과 적용점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의 결합강도를 비교하고, 브라켓의 유지력을 평가하는데 기준이 되는 최소결합강도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일정 한 표면특성을 갖는 금속봉에 Micro-Loc base, Chessboard base, Non-etched Foil-Mesh base 등 서로 다른 기저 면 형태를 가지는 3가지 종류의 금속 브라켓을 부착시키고, $0^{\circ},\;15^{\circ},\;30^{\circ},\;45^{\circ},\;60^{\circ},\;75^{\circ},\;90^{\circ}$의 Peel 결합강도$(_0PBS, \;_{15}PBS,\;_{30}PBS,\;_{45}PBS,\;_{60}PBS,\;_{75}PBS,\;_{90}PBS)$ 및 전단결합강도(SBS)와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한 브라켓의 결합강도를 측정하고, 각 브라켓의 기저면 면적을 고려하여 단위면적당 결합강도를 산출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icro-Loc base와 Chessboard base 및 Non-etched Foil-Mesh base 브라켓 모두에서 전단결합강도(SBS)가 가장 컸다(P<0.01). 2. Peel 응력의 방향 변화에 따른 peel 결합강도(PBS)의 변화양상은 Micro-Loc base와 Chessboard base, Non-etched Foil-Mesh base 브라켓 모두에서 유사하였으며 (p>0.05), peel 응력의 적용 각이 증가할수록 peel 결합강도(PBS)는 감소하였고 $60^{\circ}$에서 최저값을 보였다(p<0.05). 3. Micro-Loc base에서 최저 peel 결합강도$(_{60}P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29\%$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토(TBS)에 대해서는 $52\%$ 수준이었고, Chessboard base에서 최저 Peel bond strength$(_{60}P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34\%$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해서는 $61\%$ 수준이었으며,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최저 Peel 결합 강도$(_{60}P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34\%$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해서는 $55\%$ 수준이었다. 4. 단위 면적 당 결합강도에 있어서 전단결합강도(SBS)와 인장결합강도(TBS) 및 $75^{\circ}\;와\;90^{\circ}$ peel 결합강도는 Micro-Loc base와 Chessboard base에서 차이 가 없었으며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가장 작았고(p<0.05), $0^{\circ},\;15^{\circ},\;30^{\circ},\;60^{\circ}$ peel응력을 적용한 결과 Chessboard base에서 가장 큰 Peel결합강도를,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가장 작은 결합강도를 보였다(p<0.05).

글래스 아이오노머 이장재와 복합레진간의 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ND STRENGTHS BETWEEN GLASS IONOMER CEMENT BASES AND COMPOSITE RESINS)

  • 김민희;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20-527
    • /
    • 1999
  • 본 연구는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sandwich technique을 임상에 적용함에 있어서, GIC 이장재에 대한 이중중합형 레진과 비교적 근래에 소개된 compomer의 결합력을 측정하여 기존의 광중합형, 화학중합형 복합레진과 비교하고, 가장 우수한 결합력을 보이는 glass ionomer-composite resin의 조합을 밝혀내고자 시도되었다. 이장용 재료로는, 광중합형 GIC인 Vitrebond와 화학중합형 GIC인 Ketac-fil을 사용하였으며, 이 두 가지의 이장재에 대해, 광중합형 복합 레진인 Z-100, 화학중합형 복합 레진인 Clearfil, compomer인 Dyract, 그리고 이중중합형 복합 레진인 Bis-core를 축조하여 각 군당 10개씩, 총 8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편은 $37^{\circ}C$의 증류수에 24시간동안 보관한 후, full load scale 50kg, cross-head speed 1mm/min 조건의 만능 시험기에서 그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실험결과는 student t-test로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Vitrebond를 이장재로 사용한 경우, Z-100이 가장 낮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며, 나머지 세 재료는 결합력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Ketac-fil을 이장재로 사용한 경우, Clearfil이 가장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고, Dyract, Bis-core가 중등도의 결합강도를, Z-100이 가장 낮은 결합강도를 보였다(P<0.05). 3. Clearfil은 Vitrebond 상방에서는 타 재료들과 비슷한 결합강도를 보였으나, Ketac-fil 상방에서는 가장 강한 결합강도를 보임으로써, GIC 이장재의 종류에 따른 결합력의 차이를 보였으나 (P<0.05), 나머지 세 재료의 경우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4. Vitrebond를 사용할 때보다 Ketac-fil을 이장재로 사용할 때, 상부에 축조되는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른 결합력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P<0.05).

  • PDF

수 종의 도재 수복물에 부착된 세라믹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와 파절양상에 열순환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rmocycling on shear bond strength and mode of failure of ceramic orthodontic brackets bonded to different porcelain restorations)

  • 강상욱;손우성;박수병;김성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25-233
    • /
    • 2009
  • 본 연구는 도재 수복물에 부착된 단결정 세라믹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와 파절양상에 열순환과 도재 수복물의 종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도재전장관에 사용되는 재료들 중 Ceramco 3, Empress II, Zi-ceram/Vintage ZR 세 가지를 선택하여 각 20개씩 총 60개의 시편을 원반형태(두께 2 mm, 직경 12 mm)로 제작하였다. 동일한 접착 술식으로 세라믹 브라켓을 부착한 후 열순환을 시행한 실험군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 두 군으로 나누어 전단접착강도와 파절양상을 평가하였다. 열순환을 하지 않은 대조군의 전단접착강도는 Ceramco 3는 $7.06\;{\pm}\;1.76\;MPa$, Empress II는 $7.55\;{\pm}\;2.38\;MPa$ 그리고 Zi-ceram/Vintage ZR은 $7.19\;{\pm}\;1.38\;MPa$로 추천되는 전단접착 강도(6 - 8 MPa)에 적합한 강도를 보였으나 열순환을 시행한 실험군은 전단접착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 < 0.05) 열순환 후의 전단접착강도는 Ceramco 3는 $4.88\;{\pm}\;1.00\;MPa$, Empress II는 $5.46\;{\pm}\;1.35\;MPa$ 그리고 Zi-ceram/Vintage ZR은 $4.84\;{\pm}\;1.01\;MPa$로 임상적으로 추천되는 것보다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도재의 종류에 따른 전단접착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파절양상은 대조군에서는 모두 브라켓 기저부와 접착제 사이에서 파절이 일어났으며, 실험군에서는 2개의 시편(Ceramco 3과 Zi-ceram/Vintage ZR군에서 각 1개)만이 접착제내 파절을 보였으며 28개의 시편은 브라켓 기저부와 접착제 사이에서 파절이 일어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보았을 때 도재 수복물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열순환에 의해 전단접착강도가 약화되므로 실제 임상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도재 표면 처리가 따른 세라믹 브라켓의 전단 접착 강도 및 탈락 양상 (Shear bond strength and debonding failure mode of ceramic brackets according to the surface treatment of porcelain)

  • 이정남;이철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03-812
    • /
    • 1998
  • 도재의 표면처리가 세라믹 브라켓의 전단 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브라켓 탈락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60개의 ceradent 도재 시편을 glazing 후 군당 10개씩 여섯 군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1군(silane), 2군(etching+silane), 3군(stone+silane), 4군(sandblasting+silane), 5군(stone+etching+silane), 6군(sandblasting+etching+silane)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라믹 브라켓을 접착한 후 전단 접착강도를 측정하고 탈락양상을 육안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주 결론을 얻었다. 1. 표면처리 후 silane을 도포한 2군부터 6군은 silane만을 도포한 1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전단 접착강도의 증가를 보였다(P<0.05). 2. 한 가지 방법 이상으로 표면처리한 3군부터 6군은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etching 표면 처리한 2군은 sandblasting 표면 처리한 4군과 복합 표면 처리한 5,6 군에 비해 전단 접착 강도가 낮았다. (p<0.05) 4. sandblasting 표면 처리한 4군은 주사 전자 현미경 소견상 복합 처리한 5,6군보다 감소된 요철 정도를 보였으나 전단접착 강도 측정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볼 때 도재에 세라믹 브라켓을 접착하기 위해서는 한가지 이상의 방법에 의한 도재의 표면처리 후 silane을 도포해야 임상적으로 적절한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으며, 술식의 간편성을 고려할 때 sandblasting 후 silane 처리를 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백서의 실험적 치아이동시 osteonectin 및 osteocalcin의 발현 (THE EXPRESSION OF OSTEONECTIN AND OSTEOCALCIN IN THE EXPERIMENTAL TOOTH MOVEMENT IN RAT)

  • 배성렬;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99-716
    • /
    • 1998
  • 본 연구는 열을 이용한 금속 브라켓의 재생 처리시, 기저부 형태와 브라켓 재생 방법에 따른 전단접착강도 및 브라켓 탈락 양상을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교정 치료를 위해 발거된 건전한 소구치 252개를 수집하고, Type I, Type II, Type III 스탠다드 브라켓을 각각 재생 방법에 따라 네 군으로 나누어 준비된 소구치에 접착하고,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4466)으로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브라켓의 탈락 양상을 관찰하고 브라켓 기저부의 주사전자현미경 소견을 관찰하였다. SPSS 통계처 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브라켓 기저부 형태에 따른 전단접착강도는 유의차가 있었으며(p<0.001), 그 크기는 Type III(round indentation, micro-etched base), Typ I(foil-mesh base), Type II(grooved integral base, micro-etched)의 순이었다. 2. 생 방법에 따른 전단접착강도는, Type I, Tpe II 브라켓에서는 Big Jane에 1분간 처리시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p<0.05), Type III 브라켓에서는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Type I, Type II 브라켓은 기저부-레진 계면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탈락하였고, Type III 브라켓에서는 레진의 절반 가량이 치면에 잔존하는 탈락 양상이 가장 많았다. 4. 탈락 양상에 따라 탈락시의 전단접착강도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는데(p<0.05),브라켓 탈락시 접착제의 절반 가량이 치면에 잔존하는 경우 전단접착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브라켓 재생 후 기저부에 남아 있는 접착제는 전단접착강도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Self-etching Primer를 이용한 교정용 브라켓 부착시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bond strength and adhesive failure pattern in bracket bonding with self-etching primer)

  • 김유경;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25-332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산부식과 전처리 과정을 결합하여 접착 단계를 단순화시킨 self-etching primer의 임상적인 유용성 을 판단하고자, self-etching primer로 브라켓을 접착하는 방법과 기존의 $37\%$ 인산으로 부식하여 접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광중합시 사용되는 광원 및 브라켓 종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와 접착파절양상에 관하여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사람의 상하악 소구치를 포매하여 만든 시편을 부식 및 전처리 방법에 따라 각각 $37\%$ 인산으로 산부식 후 Transbond XT primer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과 Transbond Plus self-etching primer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으로, 광원 종류에 따라 가시광선과 plasma arc light을 이용하여 중합한 군으로 나누었고, 브라켓 종류에 따라 금속브라켓과 세라믹 브라켓을 사용하여 접착한 군으로 분류하여 각 군간의 전단결합강도와 접착파절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광원과 브라켓 종류가 동일한 조건일 때, self-etching primer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과 XT primer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간의 전단결합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다. 2. 금속브라켓을 접착한 경우, 광원과 부식 및 전처리 방법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다. 3. Self-etching primer와 XT primer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 모두에서 세라믹 브라켓을 사용하여 접착한 군의 전단결합 강도는 금속브라켓을 사용하여 접착한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컸다(p<0.001). 4. 접착제 잔류지수는 self-etching primer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과 XT primer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에서 통계적인 유의한 차가 없었으며, 세라믹 브라켓을 사용하여 접착한 군에서 금속브라켓을 사용하여 접착한 군보다 유의하게 커서, 법랑질-레진 접착 계면 부위의 파절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Transbond Plus self-etching primer를 사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하는 것은 적절한 결합강도를 얻으면서도 사용이 간편하고 시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근관 세척법이 Resilon/Epiphany sealer와 Gutta-percha/AH 26 sealer의 근관 상아질과의 접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RRIGATION METHODS ON THE ADHESION OF RESILON/EPIPHANY SEALER AND GUTTA-PERCHA/AH 26 SEALER TO INTRACANAL DENTIN)

  • 김서경;황윤찬;황인남;오원만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2호
    • /
    • pp.98-10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근관 세척법이 두 가지 근관 충전재 (Gutta-percha/AH 26 sealer, Resilon/Epiphany sealer)의 근관 상아질과의 접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총 30개의 발거된 상악 전치를 각각 5개씩 6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근관 성형을 하고 마지막 세척을 다음과 같이 시행한 후 G1, G2, G3 군은 Gutta-percha/AH 26 sealer로, R1, R2, R3 군은 Resilon/Epiphany sealer로 근관 충전하였다. G1, R1군 : 5.25% NaOCl 세척 G2, R2군 : 5.25% NaOCl 세척 후 sterile saline세척 G3, R3군 : 5.25% NaOCl 세척 후 17% EDTA, sterile saline 순으로 세척 각 군의 충전된 치아를 아크릴 레진에 매몰하고 약 1 mm두께로 절단한 후 만능 물성 시험기상에서 push-out bond strength를 측정하였고 실험 후 파절 양상을 Image-analyzing microscope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Gutta-percha/AH 26 sealer 충전군에서 Resilon/Epiphany sealer 충전군보다 push-out bond strength가 높게 나타났다 (p < 0.05). 2. Resilon/Epiphany sealer 충전군 중 17% EDTA, sterile saline순으로 세척시 5.25% NaOCl 세척에 비해 push-out bond strength가 높게 나타났다 (p < 0.05). 3. 파절 양상을 분석시 모든 군은 접착성과 혼합성 파절 양상을 나타내었고, G1, G2, R1 군은 응집성 파절 양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Resilon/Epiphany sealer 충전군은 Gutta-percha/AH 26 sealer 충전군에 비해 응집성과 혼합성 파절 양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All-in-one 접착제에서 초음파진동이 법랑질과 상아질의 결합강도와 레진침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LTRASONIC VIBRATION ON ENAMEL AND DENTIN BOND STRENGTH AND RESIN INFILTRATION IN ALL-IN-ONE ADHESIVE SYSTEMS)

  • 이범의;장기택;이상훈;김종철;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6-78
    • /
    • 2004
  • 초기의 접착 시스템은 여러 단계의 술식을 필요로 하였으며 술자의 기술과 재료의 성질에 크게 좌우되었으나 최근 산부식, priming, adhesive를 한번에 적용할 수 있는 all-in-one adhesive system이 등장하였다. 치과에서의 vibration의 이용은 치석의 제거 및 접착제의 점도를 낮추는데 이용되어왔으며 vibration은 접착제의 흐름성을 향상시켜 film thickness를 낮추어 수복물 주위의 미세누출을 줄이는데 도움을 준다. 이에 저자들은 all-in-one adhesive system에서 vibration이 법랑질과 상아질의 접착강도와 레진침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법랑질 시편은 발거 후 실온에서 0.1% thymol 용액에서 보관된 30개의 건전한 사람의 대구치를 무작위로 10개씩 세군으로 나누고 근원심 방향으로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각각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고 초음파진동여부를 다르게 하였고, 아크릴레진을 이용하여 직경 1-inch의 PVC관에 매몰한 후 협설면이 아크릴봉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220-, 600-grit 연마지로 순차적으로 연마하였고 군당 10개씩 여섯 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과 2군은 Prompt L-Pop(3M-ESPE, Seefeld, Germany), 3군과 4군은 One-Up Bond F(Tokuyama Corp., Tokyo, Japan), 5군과 6군은 AQ bond(Sun Medical Co., Kyoto, Japan)를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도포하였다. 2군, 4군, 6군은 초음파 치석제거기를 이용하여 치면에 대고 15초간 진동을 가한 후 광중합하였다. 상아질 시편은 치관부 법랑질을 제거한 후 상아질면을 아크릴 봉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고 법랑질 시편과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이후 직경 2mm, 높이 3mm의 Teflon mold(Ultradent, U.S.A.)를 이용하여 복합레진을 충전한 후 40초씩 두 번에 나누어 광중합한 후 24시간동안 실온에서 증류수에 보관하였다. 열순환 시행한 후, 만능측정기(Instron 4465)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Resin tag의 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각 군의 시편의 치질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사진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법랑질에서 초음파 진동을 가한 군(2, 4, 6군)은 가하지 않은 군(1, 3, 5군)에 비해 평균 전단결합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 차이는 Ad bond 군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2. 상아질에서 초음파 진동을 가한 군(2, 4, 6군)은 가하지 않은 군(1, 3, 5군)에 비해 평균 전단결합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그 차이는 One-Up Bond F군을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전자 현미경 관찰에서 초음파 진동을 가한 군에서 더 많은 법랑질의 소실과 상아질에서 resin tag의 길이가 길었고 lateral branch의 수도 많이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