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al Design Guidelin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2초

고령화 세대의 스마트폰 사용자를 위한 GUI 디자인 융복합 가이드라인 연구 (Study of GUI design convergence guideline for the users of aged generation)

  • 전인규;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323-331
    • /
    • 2015
  • 21세기는 전 세계적으로 빠른 속도로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중 실버세대의 사용자들은 시각적, 청각적, 물리적인 노화가 진행되고 있고, 정보의 80% 이상을 처리하는 시각이 노화함에 따라 GUI 디자인융복합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GUI의 기본 구성 요소인 색상, 글자(text), 아이콘(icon) 요소에 대해 실버세대를 대상으로 조사함으로써 적합한 시각적인 요소를 도출하여 실버세대의 스마트폰 사용자를 위한 스마트폰 GUI 디자인 융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논문 및 관련서적 등의 내용을 고찰하여 UX디자인 전문가와 평가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설문에 필요한 화면을 디자인 및 제작하였다. 65세 이상의 고령자 101명을 조사하여 실버세대를 위한 스마트폰 GUI 디자인융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휠체어 사용자의 주거환경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s of Residential Space Design for Wheelchair Users)

  • 고영준;박현철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209-218
    • /
    • 2003
  • 노인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교통사고, 산업재해 등으로 인해 휠체어사용자의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어 커다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시설물에 대한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을 위한 편의시설 설치 및 이용에 관한 '편의 증진법'이 제정되어 현재는 신축되는 모든 건축물뿐만 아니라 도로, 공원 등도 가능한 한 모든 사람들이 큰 지장 없이 접근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공시설물 외에 횔체어사용자의 개인주거환 경에 대한 디자인적 측면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횔체어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적 특성이 전혀 고려되지 않고 일반적인 사람의 기준에 맞추어 설계된 주거환경에서 불편한 생활을 영위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휠체어사용자를 위한 주거환경 개발 시 그들의 신체적 특성을 감안하되 그들과 함께 생활하는 가족, 보호자 등이 모두 편리하게 생활 할 수 있는 주거공간개발에 필요한 디자인지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유니버설 디자인적 관점에서 휠체어사용자와 일반인이 모두 사용하기에 편리한 주거환경디자인 시에 적용될 수 있는 디자인지침을 각 주거공간별로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연구목표 달성을 위해 실태조사, 설문조사, 비디오관찰조사 방법을 활용하였다.

  • PDF

장애인을 위한 유니버설 웹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Universal Web USER INTERFACE Design for a Disabled)

  • 이중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91-200
    • /
    • 2007
  • 본 연구는 지식과 정보가 중심이 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장애인들은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획득이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장애인들이 웹을 통하여 보다 쉽게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웹 유저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유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황조사와 문헌연구를 통하여 장애인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할 프로토 타입을 개발하여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고 심층면접을 통하여 쇼핑페이지에 있어서 장애인 계층을 위한 웹 인터페이스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장애인 계층의 인터넷 사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다 커다란 시각적 요소의 사용과 단순화된 정보의 구조, 쉬운 마우스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디자인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인터넷 사용인구의 증가와 함께 장애인 사용자도 증가하는 현 추세에서 장애인들을 위한 웹 인터페이스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이 적용된다면 장애인 계층의 사용자는 보다 편리한 웹 사이트에서 쉽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때 장애인뿐만 아니라 모든 계층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이 가능할 것이다.

  • PDF

케어전문가의 실천적 경험에 입각한 노인요양시설 환경디자인 노력특성연구 (Design Characteristics of Nursing Home Environment Created by Care Professional Based on Practical Experience)

  • 이연숙;윤혜경;박은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21-28
    • /
    • 2011
  • This thesis aims to identify the design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plans for the facilities for the aged people with a focus on the users' needs and the concept of aging in place. For this purpose major environmental design factors were researched by analyzing spaces and interviewing the managers and supervisor of W nursing home in Jeju Island that was opened in 1980s. Surveyed factors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and by applying the design guideline theory of age friendly environment and nursing home facilities to them, five municipal composition factors of Kevin Lynch, universal design, environmental behavior model of John Zeisel principles were found. On the other hand, the environmental changes and development process of W nursing home is a showcase that reveals the importance of narrowing the gap in the opinions of the space users, the experts of architecture and administration which is emphasized in the principles of Inquiry by Design of John Zeisel.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effectively for the researchers who study the space designs for the age-friendly environment.

노인주거시설의 외부공간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ypes of Outdoor Living Environments for the Elderly)

  • 이시영;박보신;홍광호;심준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12호
    • /
    • pp.1383-139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itable outdoor spaces for Korean elderly, examining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existing outdoor spaces and presenting design guideline of outdoor space for elderly.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research papers and scholastic writings, related to elderly housing, and analyzed twelve cases of elderly housing complex. Additionally evaluation of usage pattern and physical trace carried out on twelve cases. As a result, first, the study showed that outdoor spaces for elderly were classified 5 types; entrance area of housing complex, building entrance area, outdoor living area, in & outdoor neutral area, and parking lots. Outdoor living area is subdivided into residents' public space, green space, health & sports space and landscape space. Characteristics of outdoor space are deeply related to safety, amenity, recognition and efficiency. Second, types of outdoor space in elderly facilities are very limited in verity, just facilitating with rest space, sport space, and garden space. Third, from a standpoint of barrier-free-design, twelve cases are not carefully concerning about outdoor space for elderly.

통합놀이터 가이드라인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Inclusive Playground Guidelines)

  • 김연금;김하나;맹수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5-84
    • /
    • 2018
  • 통합놀이터는 장애인 전용 놀이터가 아닌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모두가 함께 놀 수 있는 놀이터이며, 1960년대 미국에서 장애인들의 시민권이 추구되면서 이루어진 놀이터를 보는 사회적 인식 변화로 시작되었다. 이후 통합놀이터는 여러 나라에서 발전되었으며, 실천방식은 가이드라인의 형태로 정리되었다. 국내에서도 통합놀이터를 향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해외 사례나 가이드라인을 단편적으로 적용하는 데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나라의 통합놀이터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각의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통합놀이터의 개념, 디자인 원칙 및 세부 지침을 분석하여 국내 통합놀이터 디자인 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기초적 틀을 제공하려 한다.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목적은 구체적 설계 지침, 학문적 연구와 산업체 제품 연계, 추구 가치의 사회적 확산과 실현, 디자인 방법을 통한 추구 가치를 확장 등으로 나타났다. 목적에 따라 내용의 구성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공통적인 추구 가치는 장애인만을 위한 놀이터가 아닌 모두를 위한 놀이터로 몇몇 가이드라인에서는 이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난이도를 언급하고 있다. 디자인 원칙을 살펴보았을 때 접근성 향상은 공통적이나 경우에 따라 안정성, 독립성, 편의성, 놀이성 같은 원칙을 더하고 있다. 모든 가이드라인이 디자인 지침을 제공하지 않으며, 디자인 지침을 제공하고 있더라도 구체성의 정도와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디자인 지침은 장애아동 놀이 지원과 통합놀이의 유도로 크게 구분할 수 있고, 장애아동 놀이지원은 '공간 및 시설물의 치수 및 재질 확보', '보조장치 추가', '새로운 시설물 디자인' 세 단계로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다. 통합놀이 유도를 위한 디자인 지침은 '다양한 난이도와 교차 공간 조성', '협력하며 놀기의 조건 제공', '보호자의 효율적 지원을 위한 조건 제공'으로 요약된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환경에 집중하였으나, 사회적으로는 아동의 놀 권리 보장이 이루어져야 하고 장애인을 향한 사회적 태도는 배제에서 통합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또한 통합 놀이 프로그램의 개발 및 관련 종사자 양성, 놀이 환경의 유지 및 관리 등 다양한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통합놀이터 조성 이후의 운영과 관리를 위한 인적, 사회적 인프라 구축, 제도 정비를 다루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고령 사용자 조사를 통한 유니버설 디자인 휴대폰의 UI 가이드라인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ng UI Guideline for Mobile Phone through the User Research on Elderly Users)

  • 허정윤;김현정;박상현;심정화;박수정;김미영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86-291
    • /
    • 2007
  • 핸드폰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젊은 층뿐만 아니라 노년층 및 어린이들의 핸드폰 사용도 많이 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핸드폰은 대부분10~30대의 중급 이상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어, 이미 생활필수품이 된 휴대폰을 고령 사용자가 사용하기에는 많은 제약 사항이 존재한다. 이런 제약 사항들에는 작은 사이즈의 Font와 같은 물리적 제약에서 단순한 통화방식에 익숙하여 새로운 것을 유연하게 받아들이지 못해서 발생하는 인지적인 제약까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 사용자의 일상생활 중 휴대폰 관련된 불편 요소와 특이사항을 조사하여 도출하였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유니버설 디자인 휴대폰의 UI디자인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 사용자의 핸드폰 사용 행태를 관찰하여 현재 휴대폰에서의 사용 문제점을 포함하여 사용상의 특이점을 파악한 후 고령 사용자와 초급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 휴대폰의 UI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유니버설 디자인의 기본 개념을 살펴본 후 문맥적 사용자 조사 기법을 적용하여 1차 사용자 VOC(Voice of Customer)수집 후 주요 사용자 특성을 정의하였으며, 2차 심층 조사를 통해 핸드폰 사용시 노년층의 사용자의 Usage행태 조사를 수행하였다. 2차에 걸친 사용자 조사를 통해 도출된 요구 사항을 종합 분석하여 세분화된 휴대폰의 UI 요소에 따라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 사용자의 휴대폰 관련 요구사항을 공용성이 강조된 유니버설 디자인 휴대폰 개념으로 개발하기 위한 전략과 UI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The Development of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 Chung, Choong-Duk;Kang, Kyung-Hee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626-63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development frame for multicultural science program and develop a corresponding program using the frame. This study organized a development frame to design a multicultural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theory. This development frame consisted of the elements of purpose, teaching exampl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This program consisted of the guideline for class teaching courses, reading materials, student worksheet, and teachers' reference materials. Based on this development frame, a multicultural scienc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which was comprised of seven activitie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ach activity of the program included the concept and inquiry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In particular, by connecting the concept of science with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countries, the activity made students aware of cultural diversity and the commonness of science principles. Compared to other subjects, the science education field has not actively undertaken stud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rm of dealing with universal principles, science education is suitable for making students aware of commonness. Accordingly, this gives rise to the need to draw cultural characteristics based on basic studies such as the analysis of science textbooks in various countries and develop culturally responsive programs utilizing the outcomes.

사용자 인지특성을 고려한 PDA아이콘 설계지침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DAs Icon Design Guideline Considered User's Cognitive Human Factor)

  • 김상환;명노해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38-345
    • /
    • 2004
  •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have become ubiquitous and continued to gain popularity. Since PDAs have some special contexts such as mobility and limited screen size, icons are utilized frequently because icons allow us to do tasks more rapidly and effectively on PDAs like another information appliances. The study presents a cognitive approach to study human factors affecting icon design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analysis. In the experiment, a real PDA was used to investigate 29 attributes and2 preference ratings for 22 PDA icons by 20 Korean subjects. As a result, cognitive positioning about icons, attributes, and preference data were arranged on the two dimensional perceptual map. Attributes were grouped by simplicity, universality, activity, complexity, abstraction, static, and alphanumeric time. Subjects preferences were highly related with simplicity attributes group and positive to universality and activity attributes group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re are some icons unfitted to the mental model of Korean. However, when icons are designed for PDAs or similar information appliances to Korean, it should be designed simply and actively with universal image fitted on target users mental model.

도시철도 역사 승강장의 유니버설 디자인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iversal Design Guideline of the Urban Railway Station: Platform)

  • 강병근;김상운;신동홍;이주형;이주연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35-43
    • /
    • 2015
  • Purpose: A large number of the mobility impaired have increasingly used the railway station, so the application of UD(Universal Design) on urban railway station has been interested. However, the current criteria used in domestic areas have concerned about the effective administration of railway station facilities rather than the needs of he mobility impaired. Of diverse facilities in railway station, the platform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space due to many transportation users' riding or transfer in railway sta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etailed criteria in adapting ideas from UD to platform within railway station. Methods: This study explores the criteria by evaluating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First, all criteria related to platform in domestic and foreign areas are taken together and analyzed, and appropriate criteria first are established. Based on these, the current situation of platform facilities in railway station is evaluated. Then, the detailed criteria applicable to railway station platform are concluded, by reviewing types of the mobility impaired and principles of UD. Result: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criteria applied to railway station platforms lack ideas of UD, while the criteria used in foreign countries adequately reflect the ideas of UD on railway station platforms; therefore, the better criteria applicable to platform facilities in domestic railway station are necessary. Second, standard criteria used in domestic areas with newly additional criteria suggest that platform fac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ose criteria. Taken together, the better platform facilities should be provided to railway users through the application of UD to railway station platform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users in railway station platforms, the additional research on criteria of UD as well as diverse types of spaces within railway stations should have been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