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t pollutant load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2초

도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연 기반해법의 적용 (The Application of Nature-Based Technologies for Addressing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 ;;이정민;;전민수;최혜선;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67-376
    • /
    • 2022
  • LID 기술은 다양한 토지이용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원(NPS)을 저감하는 기술이다. 점오염과 비점오염원의 증가와는 별도로 불투수지역 내 도심지는 일반적으로 도시기후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LID 기술이 도시열섬현상(UHI)을 저감에 대한 영향분석을 공주대학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공공부지인 학교는 보행자의 통향량, 차량운행이 특정시기에 증가되기에 일반적인 원단위 부하량보다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LID 시설은 강우유출수 내 오염물질을 여재부 내 흡착, 여과 등을 통해 오염물질이 저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LID 시설 내 강우유출수 저감 및 저류를 통해 유역 내 불투수면적보다 최대 7.2 ℃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LID 시설은 비점오염물질 저감 및 도시열섬 현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경부 8일 간격 유량·수질 관측자료와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연속오염부하곡선의 유도 (Derivation of Continuous Pollutant Loadograph using Distributed Model with 8-Day Measured Flow and Water Quality Data of MOE)

  • 김철겸;김남원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5-135
    • /
    • 2009
  • Reliable long-term flows by SWAT-K model were appli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am flow and pollutant load derived from 8-day measured data of Ministry of Environment (MOE) in order to obtain continuous loadograph and evaluate accuracy in water quality modeling for the Chungju dam watershed. The measured flow were compared with flow duration curve from the model, and it showed that measured values corresponded to the almost full range of stream flow conditions except at Odae A. And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R^2=0.60{\sim}0.97$) between measured flow and water quality load at all unit-watersheds. Applying this relationship to simulated flows, continuous loadograph was obtained and compared with modeled pollutant loads.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during some dry and flood seasons, those were not significant and overall trend showed a good agreement. From the results, we would be able to derive a continuous loadograph based on measured data at 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s) unit-watersheds on a national scale, in which stream flow and water quality have been measured at 8-day intervals since 2004, and this could be helpful to utilize distributed water quality models with difficulty in calibrating and validating parameters from lack of measured data at present.

연안역 통합관리에서의 GIS 활용 방안 -오염부하량 산출을 중심으로- (The practical use of GIS in calculation of pollutant loads for a coastal management)

  • 최정민;권석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1-7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천수만유역을 대상으로 오염부하량을 산출하고 연안을 관리하는데 Gli의 활용방안을 연구하였다 오염원 관리의 단위인 유역 범위는 하계망 분석을 통하여 하천의 길이, 차수, 유역면적 등을 고려한 후, 수치지도에서 DEM을 이용하여 정성적인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천수만 유역은 총 6개의 단위유역과 33개의 소유역으로 구분되었으며, 단위유역과 소유역별 오염부하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각 유역에서 산출된 오염부하략은 오염원 관리 측면에서 유역구분의 효용성을 검토하는 자료로 활용되며, 수질측정 및 환경기초시설의 입지 선정에도 이용 가능하다.

  • PDF

관개기 대구획 광역논에서의 오염부하 원단위 (Unit Loads of Pollutants in a Paddy Fields Area with Large-Scaled Plots during Irrigation Seasons)

  • 오승영;김진수;김규성;김선종;윤춘경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36-147
    • /
    • 2002
  • Characteristics of unit loads of pollutants were investigated at a paddy fields area(Soro-ri) with large-scaled plots on loam soil during irrigation seasons of 1999 ∼2000. The average irrigation requirement of experimental paddy area are estimated at over 3,000 mm. The unit loads of pollutants in paddy fields area are determined by subtracting irrigation water load from outflow load (percolated and surface outflow loads). Surface outflow load in rainy days was calculated using the relationships of discharge and load, which are grouped into fertilizing and non-fertilizing periods. The ratios of the surface outflow load in rainy days to the total surface outflow load are 16.4% for T-N, 26.8% for T-P, and 23.3% far CODc,. The unit loads of pollutants show month-to-month and year-to-year variations, and monthly unit load of pollutants can show negative values, indicating that the paddy area acts as the pollutants sink. The average unit loads of the pollutants during irrigation seasons were estimated at 18.2 kg/ha fur T-N, 0.31 kg/ha for T-P, and 43.3 kg/ha for CODc,, which are smaller than the reported values for Kosei area in Japan.

농촌의 비닐하우스 재배지역에서 배출되는 강우유출수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Runoff discharged from vinyl greenhouse growing area in farming area)

  • 전제찬;이상협;권구호;이재운;권헌각;민경석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13-422
    • /
    • 2014
  • 국내의 수질정책은 하천으로 방류되는 방류수의 농도를 규제하는 방식에서 총량을 규제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또한 수질오염총량관리제가 실시되어 각 수계의 구역별로 목표 수질이 정해지게 되었다. 수질오염총량관리제가 성공적으로 이행되기 위해서는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부하량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의 밭지역을 대상으로 27회의 강우유출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하여 밭지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부하량 및 원단위 등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유기물질인 BOD 및 $COD_{Mn}$의 경우 오염물질의 평균 유출농도는 10.5mg/L와 19.6mg/L로 나타났으며, 영양염류인 TN과 TP는 4.5mg/L 및 2.4mg/L로 분석되었다. 한편,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제시한 원단위 산정 공식에 의해 산정된 원단위는 BOD $31.8kg/km^2/yr$, $COD_{Mn}$ $56.7kg/km^2/yr$, TOC $8.5kg/km^2/yr$, TSS $560.9kg/km^2/yr$, TN과 TP는 각각 $8.3kg/km^2/yr$$5.1kg/km^2/yr$로 산정되었다.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는 연구자마다 그 결과 값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에 정확한 원단위 산정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Modeling the Effects of Low Impact Development on Runoff and Pollutant Loads from an Apartment Complex

  • Jeon, Ji-Hong;Lim, Kyoung-Jae;Choi, Dong-Hyuk;Kim, Tae-Dong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167-172
    • /
    • 2010
  • The effects of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s, such as green roofs and porous pavements, on the runoff and pollutant load from an apartment complex were simulated using the Site Evaluation Tool (SET). The study site was the Olympic Village, a preexisting apartment complex in Seoul, South Korea, which has a high percentage of impervious surfaces (approximately 72% of the total area). Using the SET, the effects of replacing parking lots, sidewalks and driveways (37.5% of the total area) having porous pavements and rooftops (14.5% of the total area) with green roofs were simulated.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d that LID techniques reduced the surface runoff, and peak flow and pollutant load, and increased the evapotranspiration and soil infiltration of precipitation. Per unit area, the green roofs were better than the porous pavements at reducing the surface runoff and pollutant loads, while the porous pavements were better than green roofs at enhancing the infiltration to soil. This study showed that LID methods can be useful for urban stormwater management and that the SET is a useful tool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LID on urban hydrology and pollutant loads from various land covers.

농촌 소유역에서 EMC를 이용한 오염물질 부하량 산정기법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EMC-based Empirical Model for Estimating Pollutant Loads from Small Agricultural Watersheds)

  • 김영철;김건하;이동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691-70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유역과 강우특성을 통합하여 오염물질 부하량을 계산할 수 있는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기법의 기본적인 개념은 특정유역에서 강우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유량 가중평균 농도, 즉 EMC 변화는 오로지 강우패턴에 의해 결정된다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가정은 적어도 유역의 토지이용에 급격한 변화가 없고(적어도 강우가 집중되는 경작기간동안) 점 오염원이 적은 농촌유역에서는 타당하다. 따라서, 다양한 농촌유역과 강우 패턴 조건에서 조사된 많은 EMC 자료가 있다면 EMC와 토지이용, 그리고 강우특성 사이의 유용한 경험적인 관계식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9개의 서로 다른 유역에서 51개의 독립적인 강우사상에서 조사된 EMC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시 발생하는 EMC 값을 예측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통계학적인 검토결과 개발된 경험식은 실제 측정한 EMC 값을 양호한 수준에서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을 뿐만 아니라 EMC 자료와 유효 강우량에 기초하여 강우일, 주, 월, 년 단위의 부하량을 산출이 가능하였다. 또한, EMC 값과 유효 강우량에 의해 계산된 부하량으로부터 산출한 원 단위를 기존의 잘 알려진 경험적 원 단위와 비교 평가하였다.

격자기반의 지형 및 지리정보자료와 GIS분석기법을 이용한 유역의 유출량 및 오염부하량 추정 (Estimation of Flows and Pollutant Loads from GIS Analysis using Cell-based Geospatial and Georgraphic Information Data)

  • 조재명;이미란;윤홍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1-392
    • /
    • 2011
  • 본 연구는 하천 유역에 대한 수문분석의 대표적인 요소인 유출량과 오염부하량을 추정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수문학적 모델링 방법과는 달리 GIS분석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을 위한 기본 자료로는 토양도, 토지이용도, 수계도, 강수량 등의 유역형태 및 기상학적 특성을 정량화한 지리정보자료와 수치표고모형과 같은 지형 자료를 이용하였다. 토양, 토지 이용 인자에 대한 기준값으로는 미국토양보존국(S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토양 분류 기준 및 유출곡선지수(CN)와 환경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토양의 기대평균농도(EMC)를 적용하였다. 고흥군 고읍천 유역의 2010년 7월~8윌의 9개 강우사상에 대하여 유출량 및 오염부하량의 추정값과 실측값을 비교한 결과, 유출량은 평균 3.86%의 차이를 갖으며, 오염부하량은 평균 5.67%의 차이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각 강우사상별 분석결과 추정 유출량은 강우량이 적을수록 그 오차가 매우 커지며, 추정 오염부하량은 강우량 및 계절의 변화에 따라 오차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우리나라의 토양 및 토지이용에 적합한 배수 분류기준과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기대평균농도가 제시된다면 보다 정확한 유출량 및 오염부하량의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GIS를 이용한 주암호 유역의 오염부하량 산정 및 수질모의 (Calculation of Pollutant Loads and Simulation of Water Quality in Juam Lake Watershed using GIS)

  • 김철;김석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87-98
    • /
    • 2002
  • 광주 전남의 상수원인 주암호 유역에 대해 GIS를 이용하여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 부하량을 산정하였으며 기 개발된 모형을 이용하여 수질을 모의하였다. 점오염원 부하량은 환경부에서 발표한 원단위(1998)를 이용하여 산정하였고, 비점오염원 부하량은 유출곡선지수를 이용한 SCS방법으로 직접유출량을 계산한 후 우리나라 유역의 특성에 맞는 토지이용별 기대평균농도 값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수질모의는 미국환경청에서 개발한 WASP모형(2001)을 이용하였으며 대상유역을 GIS를 이용하여 경사, 방향, 고도, 토양, 토지이용과 강우량에 따라 44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고, 그중 하나의 소유역에 대해 모형을 적용하였다. 모형의 결과치를 수질관측치와 비교한 결과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Loading in Namdae-cheon Watershed

  • Choi, Jin-Kyu;Son, Jae-Gwon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49-56
    • /
    • 2003
  •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ing from watershed may cause a problem to the water quality of the reservoir and stream. The characteristics of stream flow and water quality were monitored to investigate the runoff loading of the Namdae-cheon watershed from May in 1999 to October in 2003. Stage-discharge rating curve at the stream gauging site was established, and annual stream runoff of the study watershed was estimated as 499.4∼1,330.8mm during four years. The concentrations of total-nitrogen and total-phosphorus of stream water quality ranged from 0.76 to 6.95mg/L and from 0.0010 to 0.2276 mg/L, respectively, where T-N was generally higher than the water quality standard 1.0 mg/L for agricultural water use. The loads by unit generation of pollutant mass with respect to population, livestock, land use in this watershed were calculated. The runoff pollutant loadings by concentrations of total-N and total-P were estimated during study period, where the annual runoff loading of total-P was much less than the load by pollutant mass unit generation. The relations between stream discharge and water quality were analysed, and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for total-N but low for total-P. These results will be used to develop the monitoring techniques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agricultural water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