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rivation of Continuous Pollutant Loadograph using Distributed Model with 8-Day Measured Flow and Water Quality Data of MOE

환경부 8일 간격 유량·수질 관측자료와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연속오염부하곡선의 유도

  • Kim, Chul-Gyum (Hydrology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Kim, Nam-Won (Hydrology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김철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문연구실) ;
  • 김남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문연구실)
  • Received : 2008.11.18
  • Accepted : 2009.01.14
  • Published : 2009.01.30

Abstract

Reliable long-term flows by SWAT-K model were appli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am flow and pollutant load derived from 8-day measured data of Ministry of Environment (MOE) in order to obtain continuous loadograph and evaluate accuracy in water quality modeling for the Chungju dam watershed. The measured flow were compared with flow duration curve from the model, and it showed that measured values corresponded to the almost full range of stream flow conditions except at Odae A. And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R^2=0.60{\sim}0.97$) between measured flow and water quality load at all unit-watersheds. Applying this relationship to simulated flows, continuous loadograph was obtained and compared with modeled pollutant loads.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during some dry and flood seasons, those were not significant and overall trend showed a good agreement. From the results, we would be able to derive a continuous loadograph based on measured data at 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s) unit-watersheds on a national scale, in which stream flow and water quality have been measured at 8-day intervals since 2004, and this could be helpful to utilize distributed water quality models with difficulty in calibrating and validating parameters from lack of measured data at present.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수자원

References

  1. 김남원, 이병주, 이정은(2006). SWAT을 활용한 충주댐 유역의 융설 영향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9(10), pp. 833-844 https://doi.org/10.3741/JKWRA.2006.39.10.833
  2. 김남원, 이병주, 이정은(2007a). 공간모의유량을 이용한 갈수량 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7(4B), pp. 431-440
  3. 김남원, 이정우, 이병주, 이정은(2007b). 비선형 저류방정식을 이용한 일 단위 하도추적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7(5B), pp. 533-542
  4. 김남원, 이정은, 이병주(2007c). 한강유역의 다목적댐 운영에 따른 유황변동 특성 분석 및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7(1B), pp. 53-63
  5. 김상단, 강두기, 김문수, 신현석(2007). 유역모형 구축을 위한 8일간격 유량측정자료의 일유량 확장 가능성.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3(1), pp. 64-71
  6. 김재철, 김상단(2007). 오염총량관리 유량측정자료를 이용한 낙동강 유역 유황분석.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3(3), pp. 332-338
  7. 김철겸, 김남원(2008). 충주댐 유역의 오염원에 따른 오염부하량 발생 특성.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4(4), pp. 465-472
  8. 김철겸, 이정은, 김남원(2007). 충주댐 상류유역의 유사 발생에 대한 시공간적인 특성.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0(11), pp. 887-898 https://doi.org/10.3741/JKWRA.2007.40.11.887
  9. 나은혜, 박석순(2003). 로그선형모델을 이용한 팔당호 유입지류 수질의 연속성 시뮬레이션과 경향 분석. 한국하천호수학회지, 36(3), pp. 336-343
  10. 박경훈(2003). 금호강 유역의 환경특성이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4), pp. 85-98
  11. 서동일, 이종현, 이은형, 고익환(2004). QUAL2E를 이용한 금강 하류의 수질 모델링 및 오차 원인 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26(8), pp. 933-940
  12. 유병로, 정승권, 전계원(2004). 공간정보를 이용한 분포형유역 수질 모의.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7(11), pp. 897-913 https://doi.org/10.3741/JKWRA.2004.37.11.897
  13. 이은형, 서동일(2002). 용담댐의 영향분석을 위한 금강의 수질모델링.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5(5), pp. 525-539 https://doi.org/10.3741/JKWRA.2002.35.5.525
  14. 이정은, 김남원, 정일문, 이정우(2008). 유역수문모형과 빈도 해석을 이용한 충주댐 상류유역 지하수 개발가능량의 평가. 자원환경지질, 41(4), pp. 443-451
  15. 임경재, 허성구, 박윤식, 김종건, 박준호, 최대현, 강현우(2007). SWAT ArcView GIS Extension Patch 개발. 강원대학교 농업공학부 GIS 환경시스템 연구실, No. 0708, http://www.EnvSys.co.kr/~swat
  16. 전경수, 강주환(2004). 하천 수질모형에 의한 비점 오염 부하량과 모형 매개변수의 동시 추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7(12), pp. 1009-1018 https://doi.org/10.3741/JKWRA.2004.37.12.1009
  17. 전계원, 안상진(2004). Web기반 홍수유출 및 수질예측 시스템의 개발: 1. 모형의 구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4(4B), pp. 321-331
  18. 정상만, 박정규, 박영기, 김이현(2004). 모형을 이용한 미호천 유역의 하천수질 예측.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0(3), pp. 223-230
  19. 최형섭, 조인철, 변종환, 문병현, 허종수(2003). 합천호 수질 및 영양단계에 대한 평가. 한국환경농학회지, 22(1), pp. 1-6 https://doi.org/10.5338/KJEA.2003.22.1.001
  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7). 수자원의지속적확보기술개발사업: 지표수 수문성분 해석시스템 개발. 과학기술부
  21. 한수희, 강두기, 신현석, 유재정, 김상단(2007a). 비편향 회귀분석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본류 부유사량 산정방법의 신뢰도 향상.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3(2), pp. 251-259
  22. 한수희, 신현석, 김상단(2007b). 낙동강 유역관리를 위한 부하량 유황곡선의 적용 가능성.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3(5), pp. 620-627
  23. Arnold, J. G., Srinivasan, R., Muttiah, R. S., and Williams, J. R. (1998). Large area hydrological modelling and assessment, Part I: Model development.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JAWRA), 34(1), pp. 73-89 https://doi.org/10.1111/j.1752-1688.1998.tb05961.x
  24. Nash, J. E. and Sutcliffe, J. 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10(3), pp. 282-290 https://doi.org/10.1016/0022-1694(70)90255-6
  25. Neitsch, S. L., Arnold, J. G., Kiniry, J. R., and Williams, J. R. (2001).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0), U.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6. Van Liew, M. W. and Garbrecht, J. (2003). Hydrologic simulation of the Little Washita river experimental watershed using SWAT.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9(2), pp. 413-426 https://doi.org/10.1111/j.1752-1688.2003.tb0439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