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actical use of GIS in calculation of pollutant loads for a coastal management

연안역 통합관리에서의 GIS 활용 방안 -오염부하량 산출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he purpose if the study is to apply GIS technique to sample area, Choensoo-Bay basin for an efficient and practical coastal zone management if pollution control. The basins, Unit if pollution control, are selected with qualitative analysis using DEM after considered river length, degree and area of basin through channel network analysis. Choensoo-Bay basin is divided with 6 zones to 33 subordinate zones. It is found to be a big difference of pollutant loads in each zone. The pollutant loads use to review for efficient zoning. And also the result apply to measurement of water quality and building for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본 연구에서는 천수만유역을 대상으로 오염부하량을 산출하고 연안을 관리하는데 Gli의 활용방안을 연구하였다 오염원 관리의 단위인 유역 범위는 하계망 분석을 통하여 하천의 길이, 차수, 유역면적 등을 고려한 후, 수치지도에서 DEM을 이용하여 정성적인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천수만 유역은 총 6개의 단위유역과 33개의 소유역으로 구분되었으며, 단위유역과 소유역별 오염부하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각 유역에서 산출된 오염부하략은 오염원 관리 측면에서 유역구분의 효용성을 검토하는 자료로 활용되며, 수질측정 및 환경기초시설의 입지 선정에도 이용 가능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