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dentified species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1초

시판 김치의 발효 온도별 성분과 미생물 변화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flora in Commercial Kimchi)

  • 신동화;김문숙;한지숙;임대관;박완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7-145
    • /
    • 1996
  • 기업적으로 생산하는 공장의 김치를 시료로 하여 5, 15, $25^{\circ}C$에서 발효하면서 화학적 성분과 함께 젖산균과 효모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발효온도에 따른 숙성김치의 적정 pH인 4.2에 도달하는 시간은 $25^{\circ}C$의 경우 2일, $15^{\circ}C$의 경우 3일, $5^{\circ}C$의 경우 23일 소요되었다. 젖산량으로 산출한 최적 산도는 pH와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았다. 총균수는 발효온도 $25^{\circ}C$의 경우 2일, $15^{\circ}C$는 6일, $5^{\circ}C$는 12일에 최고 수준에 달하였다. 김치 발효동안 동정된 Lactobacilli 종은 L. brevis, L. plantarum, L. acidophilus와 3종의 미확인 균종이었다. L. brevis, L. plantarum은 $15^{\circ}C$, $25^{\circ}C$ 발효 온도에서 발효 시작에서부터 종결까지 일정수준을 유지하면서 나타났다. Leuconostoc종은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다.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는 발효 초기에는 균수가 증가하였다가 모든 발효온도에서 발효 후기에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Pediococcus종은 P. pentosaceus와 1종의 미확인종으로 밝혀졌으며 발효 초기에는 증가하였다가 후에 감소하였다. 발효 중기에 나타난 Streptococcus faecium subsp. casseliflavus와 Aerococcus viridans 또한 김치 발효중에 동정된 균이다. Crytococcus laurenti는 모든 발효온도에서 동정되었고 발효초기에 나타난 후 사라졌다가 $25^{\circ}C$ 발효온도에서만 10일 후에 다시 나타났다.

  • PDF

자연혼합배양에 의한 초기 먹이생물의 종 조성 변화 (Variations of Species Composition of Early Feeding Organisms Through Nature Mixed Culture)

  • 정민민;오봉세;구학동;이창훈;양문호;문태석;김삼연;김형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5권1호
    • /
    • pp.1-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자연혼합배양(nature mixed culture)이라는 기법을 이용하여 해수관상어를 사육하는데 성공하였고 자연혼합배양수조에서 해수관상어의 자어는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생존 가능하였다. 자연혼합배양수조에 출현한 플랑크톤성 미소생물은 모두 34종이었으며 그 중에는 Detonula pumila, Nitzschia sp., Fragilaria oceanica, Chaetoceros curvisetus, Stephanodiscus sp., Chaetoceros decipiens, Chaetoceros sp., Thalassiosira rotula, Eucampia zodiacus, Diploneis splendica, Nitzschia longissima, Surirella cuneata, Asterionella glacialis, Nitzschia spp., Chaetoceros debile, Thalassionema nitzschioides, Nitzschia, closterium, Skletonema costatum과 Licmophora sp와 같은 규조류가 19종, Euglena sp, Gonyaulax sp., Pyramimonas sp., Protoperidinium sp., Eutreptia, sp., Parapedinella sp., unidentified micro-flagellate, Gyrodinium sp., Scrippsiella trochoidea, Gymnodinium sanguineum, Chrysochromulina sp., Gymnodinium sp., Prorocentrum triestinum과 Micromonas sp.와 같은 편모조류가 14종 그리고 1종의 섬모충으로서 Mesodinium rubrum가 관찰되었다. 한편, 미소생물 종 중에서 편모조류의 한종인 Chrysochromulina sp.는 사육기간 동안 우점하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배양 개시 후 10일째부터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하였다.

소흑산도(小黑山島) 일대(一帶)에 서식(棲息)하는 어족(魚族) 자원(資源)과 그 특성(特性) (The Fish Fauna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Sohuksando Island, Korea)

  • 이충렬;주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4-73
    • /
    • 1996
  • 1993년 6월부터 1995년 8월까지 소흑산도(小黑山島) 주변에 서식(棲息)하고 있는 어류를 조사한 결과 모두 3강(綱) 14목(目) 59과(科) 97속(屬) 128종(種)이 서식(棲息)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중에서 농어목(目) 어류가 모두 27과(科) 44속(屬) 54종(種)으로 전체 어류의 42.2%로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다음이 횟대목(目) 어류로서 8과(科) 15속(屬) 25종(種)으로 19.5%에 해당되었다. 이외에도 가자미목(目) 어류가 5과(科) 13속(屬) 16종(種)으로 12.5%였고, 복어목(目) 어류가 3과(科) 4속(屬) 8종(種)으로 6.3%였다. 한편 이들 중 많은 종(種)을 포함(包含)하고 있는 분류군은 횟대목(目)의 양볼락과(科)로서 13종(種)이 확인(確認)되었고, 다음이 농어목(目) 어류의 민어과(科)와 가자미목(目)의 가자미과(科)로 각각 8종(種)씩 출현하고 있었다. 지금까지 우리 나라에서는 서식(棲息)이 확인되지 않았던 종(種)으로 Cypselurus unicolor, Signauns canaliculutus, Tarphops elegans 등의 3종(種)이 추가 확인되었고, 이 외에도 Raja sp., Scorpaenopsis sp. Sebasticus sp., Entomacrodus sp. 및 Psettodes sp. 등이 분류학적으로 주목되었다. 한편 본 해역에서 출현하고 있는 어종(魚種)중에서 경제적(經濟的)으로 부가가치(附加價値)가 높은 종(種)으로는 Raja kenojei, Sebastes schlegeli, Sebastes thompsoni, Lateolabrax japonicus, Nibea albiflora, Argyrosomus argentatus, Pseudosciaena poliactis, Miichthys miiuy, Mugil cephalus, Paralichthys olivaceus, Cynoglossus joyneri 및 Cynoglossus semilaevis 등(等)이고 이 중에서 Sebastes schlegeli와 Sebastes thompsoni는 소흑산도(小黑山島)를 상징(象徵)할 수 있는 대표적(代表的)인 어종(魚種)으로 사료(思料)되었다.

  • PDF

한강 하구 습지의 동물플랑크톤 분포 및 섭식 (The Distribution of Zooplankters with a Note on their Feeding in the Wet Lands of the Lower Han River)

  • 김세화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566-572
    • /
    • 2017
  • 2015년 10월부터 2016년 7월까지 가을, 겨울, 봄, 여름의 계절별로 한강 하구의 시암, 성동, 공릉천, 산남, 장항습지 등 5개 습지에서 동물플랑크톤 채집을 실시하였다. 25종의 윤충류를 포함하는 총 46종류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다. 기수종은 요각류 2종만이 출현하였고 10월에 성동과 장항습지에 출현한 15종류가 가장 다양하게 출현한 것이었다. 최대 출현량은 3월에 시암습지에서 윤충류의 대량 출현에 의해 $8,000indiv.\;L^{-1}$로 기록되었다. 3월에는 다른 정점에서도 $5,000indiv.\;L^{-1}$ 이상의 높은 출현량이 나타났지만 나머지 기간 중에서 수백 개체의 낮은 밀도가 지속되었다. 종다양성지수는 0.4~1.8 사이에서 변동하였다. 요각류 유생의 장내용물질 분석 결과 미동정물질들과 함께 규조류가 주먹이원인 것으로 밝혀졌다. 수온은 $10.1{\sim}28.2^{\circ}C$, pH는 7.1~8.6 용존산소량은 $4.5{\sim}11.0mg\;L^{-1}$ 사이에서 변동하여 정점에 따라 하계 수온상승에 의한 용존산소량 부족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흙 지붕 경사면의 혼합종자 파종에 의한 식생분포 연구 (A Study of Vegetation Distribution due to Mixed Seeding on a Slanted, Soiled Roof)

  • 정동양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110-120
    • /
    • 2009
  • The hipped roof on the research building, which was constructed 51.9m above sea level on a hillock b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June 1999, is composed of four inclined planes which are 12m in breadth, 8m in length and have a 30 degree gradient. For the roof vegetation, the yellow earth collected from around the building was laid on top. It was designed to supply the soil on the slope with water for a considerable period by making rainfall pool at the edges. In order to prevent the soil on the slope from being swept away, 31 sorts of grass seeds were imported from Germany and sown in the soil. At the present day, 10 years after the seeds began to sprout and inhabit the settled slope, 30 individual plant species were identified in the period between April 2008 and March 2009. Out of 31 species were seeded on the slanted, soiled roof, only 8 were still alive. It was confirmed that the Artemisia Princeps var, Chrysantheum, Prunella Vulgaris and Lespedeza Cuneata have been the major species inhabiting the east, west, south and north inclined planes respectively. The Phragmites Communis was inhabiting the edge of the roof where the water supply was adequate, while the Dianthus Barbatus was primarily inhabiting the south-east side of the roof. As a whole, 26 identifiable plants and 4 unidentified plants were observed on the inclined planes of the hipped roof. In consideration of the plant distribution on the slope,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ection of seeds may have had an effect on the slope vegetation. As for the yellow earth laid on the roof, it was discovered that about 2~3cm thickness around the ridge was swept away, but the rest of the slope was in relatively good condition. Accordingly, it has been proven that vegetations can be applied to hipped roofs by using ordinary plants without any special structural measures.

마산만일대(馬山灣一帶) 와편모조류(渦鞭毛操類) 휴면포자(休眠胞子)의 분포(分布)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in Masan Bay, Korea)

  • 이준백;유광일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4-312
    • /
    • 1991
  • 1986년 5월부터 1987년 3월까지 적도가 만연하고 있는 만산만일대 6개 정점의 저 질표층으로부터 외편모조류 휴면포자(시스트)를 분리하여 월별 및 정점별 분포를 조사 하였다. 조사기간 중 총 11종류의 와편모조류 휴면포자가 분리되었으며 6속 9종 2 미 동정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휴면포자의 현존량은 월별, 정점별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48-1,279 cell/$cm^3$의 분포범위를 보였다. 월별로 보면 7, 8월, 그리고 2월에 가장 높 았으나 그외 시기에는 낮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정점별로 보면 만 입구인 정점 4에서 가장 많고 만 내인 정점 1에서 가장 적게 분포하고 있으나 와편모조류 유영세포는 만 내에서 년중 가장 높은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반폐쇄적 만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마산만에서는 와편모조류의 유영세포와 휴면포자의 분포는 시, 공간적으로 다른 분포특성을 보이고 있다고 생각된다.

  • PDF

Modern Dinoflagellate Cysts Distribution off the Eastern Part of Geoje Island, Korea

  • Shin, Hyeon-Ho;Yoon, Yang-Ho;Matsuoka, Kazumi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2권1호
    • /
    • pp.31-39
    • /
    • 2007
  •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dinoflagellate cysts in surface sediments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eastern part of Geoje Island, Kore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0 stations in February of 2004 and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measured in February, May, September and November of 2004. Total 30 taxa of dinoflagellate cysts were identified representing 19 genera, 28 species and 2 unidentified species. Among these dinoflagellate cysts, Brigantedinium spp. of which relative proportion in th e total dinoflagellate cysts was 23.5%, was the most abundant at all stations except St. 1, and was followed by Spiniferites bulloideus (8.6%), Lingulodinium machaerophorum (8.2%) and Diplopsalis lenticula (6.7%). In addition, ellipsoidal cysts of the genus Alexandrium (Alexandrium catenella - tamarense type) and Gymnodinium catenatum, known to be causative organisms for PSP, occurred with high concentrations. Scrippsiella trochoidea was also found; however, its cyst concentration was low. Generally, species composition in the study area was similar to these reported from Jinhae Bay and Busan Harbor and several dinoflagellate cysts reflected the eutrophic condition. Cyst distribution in th e eastern part of Geoje Island seems to be influenced by the Tsushima Warm Current flowing from the southwest. The mean water temperature was $12.0^{\circ}C$ in February, $14.7^{\circ}C$ in May, $20.9^{\circ}C$ in September and $17.2^{\circ}C$ in November, which was most favorable for Alexandrium spp. growth. The abundances of dinoflagellate cysts rang e d from 528 to 2,834 cysts/g dry sediment. Higher concentrations were recognized in sediments of west area of the Jisimdo than at other stations. The cyst composition of this area was closely related to these of Jinhae Bay and Busan Harbor from which currents flow into this area. Higher cyst concentration in the west area of Jisimdo might be due to formation of the gyre.

A Harpacticoid Copepod Parasitic in the Cultivated Brown Alga Undaria pinnatifida in Korea

  • PARK Tai-Soo;RHO Yong-Gil;GONG Yong-Gun;LEE Dong-Yeub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39-442
    • /
    • 1990
  • 우리나라 양식미역에 바늘구멍을 뚫는 요각류 유생을 동정하기 위하여 남해안의 양식미역에 서식하는 요각류를 조사하고 미역에 바늘구멍을 뚫는 요각류 유생을 실험실에서 직접사육했다. 남해안의 양식미역 엽체에 서식하고 있는 요각류는 여러 종이 있는데, 이들 중 Ho와 Hong이 기술한 Amenephia orientalis와 다른 미동정종인 Scutellidium sp.가 이번 연구중 미역엽체 세척액속에 계속적으로 많은 양이 출현하였다. 이 두 종에 속하는 암컷중에는 포난개체가 많았다. 사육실험 결과를 보면, $15^{\circ}C$에서 구멍을 뚫는 유생은 15일만에 성체 또는 성체에 가까운 미성체까지 성장했다. 이들 성체 혹은 미성체는 모두 Amenephia orientalis로 동정되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양식미역에 기생하면서 미역엽체에 구멍을 뚫는 종은 Amenephia orientalis로 밝혀졌다.

  • PDF

양송이 푸른곰팡이병균(Trichoderma spp.)의 생장에 미치는 요인과 방제법 (Factors Affecting Growth of Trichoderma spp. with Special Reference to Control of Green Mildew in Agaricus bisporus)

  • 박원목;김동수;박용환;정후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1-95
    • /
    • 1971
  • 본 시험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푸른곰팡이병균의 종의 빈도와 발병환경 및 방제법을 구명코져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Trichoderma koningi, T. lignorum, T. glaucum과 미동정의 1종등 4종의 병원균이 분리되었고 이들의 빈도는 각각 $50\%\;32\%,\;13\%$$5\%$이었다. 푸른곰팡이병균은 감자배양액, 왁스만배양액과 리차드배양액에서 생육이 잘 되었으며 중성-염기성배지에서는 생육이 불량한 반면 산성에서 생육이 왕성하였으며 최적산도는 pH4였다. 양송이 수확기간 중 재배사내의 온도는 $15^{\circ}C$내외 일 때 본명의 발생이 적었고 수량이 많으며 $20^{\circ}C$이상에서는 본병의 발생이 격심하였다. 푸른곰팡이병균은 복토흙 소독시 $70^{\circ}C$에서 60분, 혹은 $80^{\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하므로서 완전히 사멸하였고 퇴비 후발효 과정에서도 사멸되었다.

  • PDF

익산 미륵사지석탑의 생물침해 방지를 위한 보존처리제 적용실험-K201 생물처리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emical treatment of biodeterioration about stone pagoda of Iksan Mireuksaji-Focusing on bio-treatment using K201)

  • 양희제;정용재;김사덕;김광훈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4호
    • /
    • pp.81-98
    • /
    • 2003
  • The biodeterioration on Iksan Mireuksaji pagoda has been studied with fucus on application of K201 as a chemical treatment. Total of 39species, including 10 algae, 16 lichens, 6 mosses and 7 unidentified bacteria and fungi,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on the surface of the pagoda. Most of them caused serious discoloration on the surface. The effectiveness and stability of K201 was examined by applying it on some part of the pagoda. A mild spraying of solution diluted to half of original reagent was good enough to eliminate all the deteriorating species on the surface. Most of discoloration disappeared after the treatment except the red color caused by iron subst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regent was compared with water wash. The stone was first washed with water and the dirt on the surface was scrubbed off from the surface. The initial surface of the stone was clearer in water wash. However, many of the deteriorating species reappear in 4 weeks after water wash. Although spraying of the reagent K201 could noteliminate all the remnant of dead organisms as good as scrubbing the surface, no deteriorating algae or lichen was observed until two month after treatment. Therefore, spraying method with chemicals seems more stable and reliable way to remove the biodeterioration than physical scrubbing of the surfa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