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water Sensor Network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초

수중 네트워크의 링크 적응을 위한 기계 학습 기반 MCS 예측 모델 적용 방안 (Machine Learning-based MCS Prediction Models for Link Adaptation in Underwater Networks)

  • 변정훈;조오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7
    • /
    • 2020
  • 본 논문은 수중 IoT 네트워크에서 센서의 전력 소비를 줄이고 네트워크의 처리량을 향상하는 수중 링크적응 방법을 제안한다. 링크 적응 방법의 하나인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기술은 SNR(Signal Noise Rate)과 BER(Bit Error Rate)의 강한 상관관계를 이용하지만, 수중에 바로 적용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수중 환경에 적합한 머신러닝 기반의 AMC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MCS(Modulation Coding and Scheme) 예측 모델은 수중 채널 환경에서 목표 BER 값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 방법을 예측한다. 예측된 통신 방법을 실제 수중 무선 통신에서 적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높은 정확도의 BER 예측 모델을 사용해 MCS 예측 모델의 성능을 확인한다. 결과적으로 제안하는 AMC 기술은 통신 성공 확률을 올림으로써 머신러닝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시켰다.

수중 음파 센서네트워크에 기존 네트워크 보안을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과 논쟁점 (Considerations and Issues for Applying the Existing Network Security to Underwater Acoustic Sensor Networks)

  • 신동현;이승준;김창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1940-1950
    • /
    • 2017
  • The security threat types in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s environment are almost the same as the terrestrial, but the security of mechanisms the terrestrial RF-based networks environment can not be directly applied due to not only the limited resources of each node but also unsafe channel such as low propagation delay, high bit error rate etc. Nevertheless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on the security of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networks. Therefore, in 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rrestrial communication networks and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networks, and identifies issues that are the starting points of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s security research.

수중통신에 활용가능한 다양한 플랫폼에서의 암호 알고리즘 성능비교 (Analysis of the Cryptographic Algorithms's Performance on Various Devices Suitable for Underwater Communication)

  • 윤채원;이재훈;이옥연;신수영;박수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5권3호
    • /
    • pp.71-78
    • /
    • 2016
  • 최근 환경오염에 의한 수질관리, 재난방지, 해양자원탐사 및 군사목적 등으로 수중환경에서의 음파통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수중네트워크는 물이라는 특수한 환경으로 인해 많은 제약사항이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으며 더불어 보안의 필요성도 함께 중요시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중 음파통신에서 활용가능한 다양한 플랫폼에서 AES, ARIA, LEA 암호 알고리즘의 성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향후 수중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에 효율적으로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다중 홉 수중 음향 센서네트워크를 위한 MAC 프로토콜 설계 (Developing a new MAC Protocol for Multi-hop Underwater Acoustic Sensor Networks)

  • 임찬숙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97-103
    • /
    • 2008
  • 최근에 제안된 수중 음향 센서 네트워크용 MAC 프로토콜인 T-Lohi는 저가형 음향 모뎀들이 밀집되어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도록 설계된 프로토콜이다. 그러나 T-Lohi는 각 노드들이 모든 노드들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어 멀티 홉 라우팅이 필요한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때 hidden terminal 문제로 인해 많은 패킷 충돌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T-Lohi처럼 톤을 사용하여 전력 소모에 있어서의 경제성을 추구하면서도 RTS/CTS handshaking을 통해 hidden terminal 문제를 해결한 새로운 MAC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모의실험 결과는 새로운 MAC프로토콜이 T-Lohi와 비교했을 때 패킷 손실을 훨씬 줄이면서도 좋은 네트워크 활용률을 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수중항만공사용 로봇의 센서리스 유압 서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ensorless Hydraulic Servo System for Underwater Harbor Construction)

  • 김태성;김치효;박근우;이민기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08-713
    • /
    • 2004
  • This research develops a sensorless hydraulic servo system of Parallel-Typed robot for harbour construction. Purpose of the robot is to mechanize the construction, which is accomplished through a joystick's operating by a stoneworker (or diver). The robot is attached on the end of an excavator as its attachment or transported by a crane to reach the desired place. The embedded compact controller is installed on the robot body and controlled by wireless telecommunication. For underwater work, it is necessary to waterproof the robot and its sensors. Especially, a sensor waterproof is a main drawback for the underwater robot. This leads us to develop a hydraulic robot position controller using an observer which g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without any position sensor. We design a neural network to identify the displacement change according to the command voltage to servo valve. To verify the sensorless controller, this paper presents the performance of the sensorless control for which the position is given by the observer comparing with that of the sensor control for which the position is measured by LVDT sensors.

  • PDF

Energy efficient watchman based flooding algorithm for IoT-enabled underwater wireless sensor and actor networks

  • Draz, Umar;Ali, Tariq;Zafar, Nazir Ahmad;Alwadie, Abdullah Saeed;Irfan, Muhammad;Yasin, Sana;Ali, Amjad;Khattak, Muazzam A. Khan
    • ETRI Journal
    • /
    • 제43권3호
    • /
    • pp.414-426
    • /
    • 2021
  • In the task of data routing in Internet of Things enabled volatile underwater environments, providing better transmission and maximizing network communication performance are always challenging. Many network issues such as void holes and network isolation occur because of long routing distances between nodes. Void holes usually occur around the sink because nodes die early due to the high energy consumed to forward packets sent and received from other nodes. These void holes are a major challenge for I-UWSANs and cause high end-to-end delay, data packet loss, and energy consumption. They also affect the data delivery ratio. Hence, this paper presents an energy efficient watchman based flooding algorithm to address void holes. First, the proposed technique is formally verified by the Z-Eves toolbox to ensure its validity and correctness. Second, simulation is used to evaluate the energy consumption, packet loss, packet delivery ratio, and throughput of the network.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well-known algorithms like energy-aware scalable reliable and void-hole mitigation routing and angle based flooding. The extensiv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performs better than the benchmark techniques.

수중 센서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단일 반송파 디지털 변조기법의 실험적 고찰 (Experimental Results of Single Carrier Digital Modulation for Underwater Sensor Networks)

  • 김세영;한정우;김기만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3-4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단일 반송파 기반의 디지털 변조 기법들의 성능을 수중 통신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통신 실험은 실제 해상에서 수행되었으며 적용된 변조기법은 위상 비동기 방식인 ASK, FSK와 위상 동기 방식의 QPSK이다. 통신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이미지 파일을 600bps~3Kbps의 전송률을 가지는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하였다.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BER을 추정한 결과 ASK와 FSK의 경우 보상 알고리즘 없이 $10^{-3}{\sim}10^{-4}$의 오차율을 나타내었고, QPSK의 경우 선형 등화기를 이용하여 $10^{-4}$의 오차율을 가지는 통신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효율적인 에너지와 커버리지 클러스터링 방법 (An Energy and Coverage Efficient Clustering Method for Wireless Sensor Network)

  • 공지;장개;김승해;조기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A)
    • /
    • pp.261-262
    • /
    • 2008
  • Due to technological advances, the manufacturing of small and low cost of sensors becomes technically and economically feasible. In recent years, an increasing interest in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WSN) in various applications, including large scale environment monitoring, battle field surveillance, security management and location tracking. In these applications, hundreds of sensor nodes are left to be unattended to report monitored data to users. Since sensor nodes are placed randomly and sometimes are deployed in underwater. It is impossible to replace batteries often when batteries run out. Therefore, reducing energy consumption is the most important design consideration for sensor networks.

  • PDF

수중 음파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Step-wised Out-test 메커니즘 (Step-wised Out-test Mechanism for Underwater Acoustic Networks)

  • 무흐리딘 이브라기모브;윤남열;신수영;남궁정일;김창화;박수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4호
    • /
    • pp.106-114
    • /
    • 2015
  • 수중 음파 센서 네트워크의 다각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상에서의 연결이 손실되는 경우가 여전히 존재한다. 특히 해양 환경에서 네트워크상의 연결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연결 단절을 유발하는 많은 다양한 문제점으로 인해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수중 음파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새로운 테스트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통신 프로세스의 문제점 및 에러가 발생하는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서 장애 없이 네트워크 배포시 가장 중요한 부분들에 대해 조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수중 음파 통신 네트워크(UWASN)를 위한 Step-wised Out-test 메커니즘을 도입하고 실험을 통하여 out-test 기능을 이용한 수중 단말의 작동을 엄격하게 점검하였다. 구현 및 실험 결과를 통해서 Out-test 기능의 유용성 및 우수성을 입증하였고 향후 가능한 개선을 제시하였다.

해양센서네트워크에서 채널예약방식을 이용한 매체접근제어 (Medium Access Control Using Channel Reservation Scheme in Underwater Acoustic Sensor Networks)

  • 장길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0B호
    • /
    • pp.955-96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해양센서네트워크에서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한 매체접근제어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수중환경에서는 지상에 비해 전송지연이 길며 데이터 전송률이 낮은 점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관리하며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데이터충돌을 줄이기 위해 채널예약방식을 사용하며,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숨겨진 노드문제와 노출된 노드문제를 제어할 수 있는 매커니즘을 사용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슬롯기반의 전송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전송프레임은 전송예약을 위한 예약구간을 별도로 두어 노드 간 충돌을 줄인다. 전송예약과정에서 송수신 노드 간에 예약정보를 이용하여 숨겨진 노드문제와 노출된 노드문제를 해결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평균에너지 소비량, 충돌횟수비율, 처리율, 평균지연시간 관점에서 제안된 프로토콜의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수중환경의 기존 MAC 프로토콜과 비교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제안된 방식이 기존의 방식에 비해 성능이 우수함을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