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story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6초

The Changes of Understory Vegetation by Partial Cutting in a Silvopastoral Practiced Natural Deciduous Stand

  • Kang, Sung Kee;Kim, Ji H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2호
    • /
    • pp.156-164
    • /
    • 2008
  •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multi-purpose management of natural deciduous fores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lement the partial cutting for stand regulation to examine agroforestry practice as well as other concurrent forest resource production,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tand characteristics and understory vegetation in a silvopasture practiced natural deciduous stand in the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Three different partial cutting intensities (68.1%, 48.6%, and control) were performed in the unmanaged natural deciduous stand in order to improve the growing condition, especially light condition, for introducing some commercial herbaceous plants on the forest floor to establish agroforestry and/or silvopastoral system. Dominated by Quercus varibilis Blume (50.5%) and Quercus dentata Thum. ex Murray (42.6%), eight tree species were composed of the study forest, including poles of Pinus desiflora Siebold & Zucc and sapling of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The total of 87 (13 tree species, 12 shrub species, 58 herbaceous species, and 4 woody climbers) vascular plant species were observed in study site after partial cutting treatments, while that of before partial cutting was 53 species (14 tree species, 8 shrubs species, 30 herbaceous species, and 1 woody climbers). The proportion of life form spectra in plot B was Mi (28.4%)-Na (23.0%)-Ge (17.5%)-Ch (10.8%)-He (9.5%)-MM (6.7%)-Th (4.1%).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hanges of life form spectra from before to after partial cutting treatment and among partial cutting gradients in this study. Partial cutting and scratching for forage sowing made plants invade easily on the forest floor, and light partial cutting (LPC) plot (500 stems/ha) had much higher number of undersory species than those of heavy partial cutting (HPC) plot (310 stems/ha) and control plot (1,270 stems/ha).

경상도지역의 소나무 적송(赤松) 군락에서 발견된 송이의 생물학 (Biology of Tricholoma matsutake found at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in the areas of Kyoung Sang Do.)

  • 이상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3-213
    • /
    • 1991
  • 경상도지역의 송이 생산지 5 곳 , 53 site(shiro; 송이울)를 방문하였다 . 송이생산지로써 알려진 곳들에 대한, 물리적 및 생태학적인 차이점을 비교한 결과, 일본의 송이 생산지와는 거의 동일한 면이 있었으나, 소나무연령 및 understory flora 에 대한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 우리나라의 송이 생산지는 크게 나누어 볼 때 내륙지방과 해안지방으로 나누어지며, 이의 생태학적인 차이점이 파악되었다. 송이울 별 관찰에서는 3가지의 특이한 종류의 흙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해안지역의 송이울은 일본보고와는 큰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우리나라의 송이는 소나무(적송)의 뿌리와 관련이 있으나, 아직 ectomycorrhizae라는 확신은 하지 못하였다. 각각의 송이울에서 분리된 송이균사는 생화학적인 혹은 배양적인 방법으로 구별을 시도하였으나, 송이균사에 대한 확증적인 어떤 특정을 찾기가 어려웠다. 이들에 대한 연구방법 및 송이 생산에 마치는 여러가지 고찰하였다.

  • PDF

제주도 한라산국립공원 영실.성판악 지역 굴거리나무림 식생구조 연구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of Daphniphyllum macropodum of Yeong-sil and Seong-panak in Hallasan (Mt.) National Park, Jeju-do)

  • 이승한;한봉호;김종엽;유소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7-204
    • /
    • 2014
  • 본 연구는 제주도 한라산국립공원 굴거리나무 식생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기 위해 영실 성판악지역을 중심으로 26개의 조사구($(20m{\times}20m)$)를 설정하고 조사하였다. 위 지역의 식생군집은 TWINSPAN을 이용한 Classification 분석과 DCA Ordination 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총 3개 군집으로 나타났다. 군집 I은 소나무-서어나무 군집, 군집 II는 서어나무-졸참나무 군집, 군집 III은 개서어나무 군집이었다. 이러한 식생구조 분석 결과, 모든 군집의 하층에서는 굴거리나무가 출현하였다. 추후 굴거리나무는 아교목층 및 관목층에서 주요종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이러한 군집분류결과는 해발고 차이와 동반출현종에 의한 영향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동반출현종은 굴거리나무 생육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자라는 종이다. 동반출현종으로는 아교목층에서 때죽나무, 졸참나무 등이었고, 관목층에서는 꽝꽝나무, 주목 등이었다.

Growing Three Wild Herbaceous Plants,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igularia stenocephala, and Panax ginseng in the Understory of Larix kaempferi Plantation

  • Song, Jae Mo;Yi, Jae-Seon;Cheong, Eun Ju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522-530
    • /
    • 2019
  • Two edible plants,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and Ligularia stenocephala, and one medicinal plant, Panax ginseng, were cultivated in the understory of an artificial Larix kaempferi plantation for ten years. Growth characteristics (number of leaves and flower stalks per plant, and leaf length and width), survival rate, and yield (fresh weight of plants) per unit area (1 ㎡) were investigated one year after planting, and six and ten years following cultivation. P. ginseng and L. stenocephala survived at a high percentage for two years after planting. Results showed that P. ginseng had longer and thicker roots when aged; however, a large number of plants died and the yield was low. In contrast, almost half of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died within two years of planting. The surviving plants grew well for ten years and the yield was increased. The leaf length and width of L. stenocephala increased; however, the survival rate and the number of leaves per plant decreased as the period of cultivation was extended. In contrast,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survived at a lower rate (50%) than the two other crops (98% for L. stenocephala and 83% for P. ginseng) during the early cultivation period, with little change in the survival rate over an extended time; however, the yields increased. This species show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lower stalks and leaves, and as a result, the larger leaves increased the yield. We evaluated the understory cultivation of three crops in a L. kaempferi plantation under natural conditions, with no irrigation or fertilization, and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showed the greatest growth potential among the three tested crops.

Changes in Understory Vegetation of a Thinned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Plantation in Yangpyeong, Korea

  • Son, Yo-Whan;Lee, Yoon-Young;Kim, Rae-Hyun;Seo, Kyung-Won;Ban, Ji-Yeon;Seo, Kum-Young;Koo, Jin-Woo;Kyung, Ji-Hyun;Noh, Nam-Ji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6호
    • /
    • pp.363-367
    • /
    • 2004
  •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PAR) beneath the forest canopy, understory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and biomass were measured in a Larix leptolepis plantation seven years after thinning in Yangpyeong. Four different thinning intensities (control, $10\%,\;20\%\;and\;40\%$ stocking reduction) were applied in 1997. The current PAR values were lower than those measured four years after thinning, and PAR at the heavy thinning plo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thinning intensities. A total of 23 species including 9 tall-trees and 14 shrubs were found for the high layer while a total of 82 species including 10 tall-trees, 29 shrubs, and 43 herbs for the low layer.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generally increased with thinning intensities, and the trends were more evident for the low layer. Aboveground biomass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thinning intensities for both shrubs and herbs. Also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iomass and the current number of stems per hectare.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thinning on light conditions at the forest floor,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and production of understory vegetation continued seven years after the treatment.

아까시나무림에서 인공 숲틈 처리에 대한 졸참나무 식재목 및 하층식생의 초기 반응 (Early Responses of Planted Quercus serrata Seedlings and Understory Vegetation to Artificial Gap Treatments in Black Locust Plantation)

  • 조용찬;김준수;이중효;이헌호;마호섭;이창석;조현제;배관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1호
    • /
    • pp.94-105
    • /
    • 2009
  • 아까시나무 임분은 우리나라 저지대에 주로 조성되어 있는 도입종 조림지로서, 인위적 또는 자연적 교란, 그리고 입지조건에 의해 온전한 숲의 종조성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으며, 천이가 느리거나 정체되어 있다. 또한 그것의 개체들이 인접 자연림으로 침투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아까시나무 임분에서의 천이를 촉진시켜 자연 식생을 회복시킬 필요가 있다. 복원 실험은 경상북도 포항시 용흥동의 아까시나무 임분에서 작은 숲틈(${\sim}57m^2$)을 조성하여 실시하였고, $5 m{\times}5m$ 방형구 내에서, 벌채 및 하층 식생 제거(CU), 벌채(C), 환상박피 및 하층 식생 제거(GU), 환상박피 (G) 및 대조구(Control)의 5개 실험구를 3반복으로 설치하였다. 각 처리구 별 수관 열림도(%), 빛(total estimated transmitted light, $mol{\cdot}m^{-1}{\cdot}day^{-1}$), 목표 종(졸참나무)의 생장(직경, 높이 및 엽면적)을 측정하였다. 하층식생의 반응(종조성 및 종다양성)은 각 처리구에 영구 소방형구를 설치하여 측정하였고, 피도변화, Multiresponse Permutation Procedures (MRPP) 및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DCA)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숲틈 조성 후, 광환경은 처리구 별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수관 열림도는 CU, C, GU, G, Control의 순으로 높았다. 졸참나무 유묘의 생존은 수고 및 엽면적 생장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목표 종의 생장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 후 증가하였다. 하층식생의 종조성 및 종다양성은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후자의 경우 약간 감소하였고, 각 소방형구의 총 피도는 약간 증가하였다. 아까시나무림에 대한 생태적 복원의 한 방법으로서 작은 규모의 숲틈을 조성한 결과, 급격한 환경 변화를 발생시키지 않았고, 수고 생장을 촉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복원 교란에 대한 하층식생의 반응은 연구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최소한의 교란을 통한 삼림 관리 및 복원 기법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가문비나무림의 지형특성에 따른 식물 지표종에 관한 연구 - 중국 백두산 일대에서 남한까지 - (Study on Plant Indicator Species of Picea jezoensis (Siebold & Zucc.) Carrière Forest by Topographic Characters - From China (Baekdu-san) to South Korea -)

  • 박병주;허태임;변준기;천광일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6호
    • /
    • pp.388-408
    • /
    • 2022
  • 이번 연구는 멸종위기에 처한 아고산 침엽수인 가문비나무의 지형특성에 따른 지표종을 선정하고, 생물다양성 평가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남한과 중국 내 가문비나무림은 남방한계선으로 지리적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위도는 식물생태계의 지리적 가치에 큰 영향을 미치며, 위도와 서식지의 차이는 산림의 종구성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지리적 차이뿐 아니라 환경변화로 아고산 식물서식지는 점차 쇠퇴하여 결국 멸종위기에 처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리적 가치가 높은 한국과 중국의 가문비나무림에 대한 개체군 모니터링으로 지표종을 선정할 필요가 있으며, 지표종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생물다양성 평가의 기초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개체군 모니터링은 한국과 중국의 가문비나무림에 87개의 원형조사구(400m2)를 설치하여 수행하였고, MRPP-test, NMS ordination 등의 과정을 통해 이에 근거하여 지표종을 선정 한 후 생물다양성 평가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지표종분석(Indicator Species Analysis) 결과, 해발고도별 지표종으로 상층식생에서 5분류군, 하층식생에서 18분류군을 선정하였다(p<0.05). 사면방위별 지표종으로는 상층식생 3분류군, 하층식생 16분류군을 선정하였다(p<0.05). 사면경사도별 지표종으로는 상층식생 6분류군, 하층식생 24분류군을 선정하였다(p<0.05). 자생지별 지표종으로는 상층식생 8분류군과 하층식생 65분류군을 선정하였다. 지표종들에 대한 MRPP-test 결과, 상층식생보다 하층식생에서 종조성이 다소 이질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NMS ordination 결과, 상층식생의 암석노출도와 하층식생의 위도에 따라 지표종의 환경적 요인과의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Ecological Indicators of Forest Degradation after Forest Fire and Clear-cutting in the Siberian Larch (Larix sibirica) Stand of Mongolia

  • Park, Yeong Dae;Lee, Don Koo;Stanturf, John A.;Woo, Su Young;Zoyo, Damdinjav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5호
    • /
    • pp.609-617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cological indicators of forest degradation after forest fire and clear-cutting in the Siberian larch (Larix sibirica Ledeb.) stand of Mongolia. The species abundance and biodiversity indices were higher in burned and clear-cut stands than those of reference stand, but boreal understory species, such as Vaccinium vitis-idaea, Pyrola incarnata, Linnea borealis and Maianthemum bifolium, completely disappeared and was replaced by sedge species, such as Carex duriuscula, C. lanceolata, C. pediformis, Poa attenuata and P. pratensis. During the research period, temperature increased by an average of $1.6^{\circ}C$ in burned stand and $1.7^{\circ}C$ in clear-cut stand compared to reference stand, but RH sharply decreased up to 15.7% in clear-cut stand. This result indicates that Larix sibirica stand became warmer and drier after forest fire and clear-cutting, and contributed to the abundance of sedge and grass species in the understory. Moreover, intense occupation of tall sedge grass after forest fire and clear-cutting had a vital role as obstacle on natural regeneration of Larix sibirica. The similarity of species composition between reference and burned stands was higher (73.6%) than between reference and clear-cut stands (63.8%). Soil moistu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forest fire and clear-cutting, and the extent of decrease was more severe in the clear-cut stand. The chemical properties at soil organic layer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forest fire and clear-cutting but not the mineral horizons. Inorganic nitrogen of the forest floor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lear-cut stand ($1.1{\pm}0.4mg{\cdot}kg^{-1}$) than that of the burned ($4.5{\pm}2.3mg{\cdot}kg^{-1}$) and reference stands ($5.0{\pm}2.3mg{\cdot}kg^{-1}$). Available P of the forest floor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fire, whereas it decreased after clear-cutt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istence of boreal understory vegetation, and changes in soil moisture and available P are distinct attributes applicable as ecological indicators for identifying forest degradation in Mongolia.

경상북도 신갈나무 성숙림에서 15% 군상잔존벌 이후 초기 하층식생 변화 (Initial Responses of Understory Vegetation to 15% Aggregated Retention Harvest in Mature Oak (Quercus mongolica) Forest in Gyungsangbukdo)

  • ;김준수;조용찬;배상원;윤충원;변봉규;배관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2호
    • /
    • pp.239-24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15% 군상잔존벌채의 식생 및 종다양성 보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봉화군 신갈나무 성숙림(임령 100년 이상)에서 처리 전 후 조사를 통하여 직접적인 식생 변화를 관찰하였다. 벌채구(0.85), 잔존구(0.15) 및 대조구(1.0)에 1의 초본방형구를 각각 192개, 36개, 300개 설치한 후 하층식생의 피도 및 종다양성의 변화, 초본 및 목본의 생육형별 변화, 그리고 군집 변화(서열분석)등을 분석하였다. 서열분석 결과, 잔존구는 벌채구와 비교하여 전체적인 식생 속성 변화가 낮게 나타났다. 처리 직후, 벌채구는 기계적 피해에 의해 피도가 약간 감소(15.6%에서 14.7%)하였으며, 종풍부도(14종에서 22종)는 증가하였다. 잔존구 및 대조구는 피도 및 종풍부도 모두 증가하였다. 생육형 측면에서 15% 잔존벌채 이후 초기변화는 목본성 종 보다는 초본성 종의 양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처리 이후, 잔존구는 가장자리 증가에 의한 환경 변화 및 그에 따른 반응을 나타냈고, 벌채구는 벌채교란에 기인한 기계적 피해를 포함한 임분 구조 변화에 의한 반응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임분 처리 전 자료를 수집하여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지속적 관찰의 필요성이 높다.

공단지역에 우점하고 있는 덩굴식물류의 식생변화 (Vegetation of Liana Dominating in the Vicinity of Onsan Industrial Complex)

  • 박은희;김종갑;이정환;조현서;민재기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6호
    • /
    • pp.335-345
    • /
    • 2004
  • 우리나라 공업단지 중 화학비료를 생산하고 있는 온산공단주변의 해송림이 쇠퇴된 이후 그곳에 덩굴식물류의 우점현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하층식생에 덩굴식물류의 중요치는 청미래덩굴(Smilax china)이 13.2로 가장 높았으며, 인동(Lonicera japonica)이 11.7, 계요등(Paederia scandens) 11.5, 댕댕이덩굴(Cocclus trilobus)이 7.7의 순으로 높아 대기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훼손지역의 1차 식생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각 조사지별 목본류의 종수와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 우점도를 층위별로 나타낸 결과상층, 중층 식생에서는 종수,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 우점도가 산림지역이 공단지 역보다 높게 나타나 공단 주변 식생의 단순함을 보였으며, 하층 식생에서는 공단지역이 산림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덩굴식물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높은 것이 원인인 것 같다. 초본류 조사에서는 총 59종이 출현하였으며, 고사리, 기름새, 닭의장풀, 미국자리공, 멍석딸기, 억새, 실새풀 등에서 중요치가 높아 대기오염지역의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종수,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 우점도에서는 지역간의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공단지역이 산림지역보다는 덩굴식물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인접한 경기화학의 영향으로 상층식생의 쇠퇴에 따른 광조건에 의하여 열대성 식물인 덩굴식물이 우점종으로 나타나 생태계의 교란으로 인한 사막화 현상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